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Zoom in 줌인 Bank 은행

국민銀, 임단협 타결..勞 “윤종규 회장 퇴진투쟁 지속”

URL복사

Thursday, February 22, 2018, 10:02:28

노사 양측, 중노위 조정안 모두 수용..노조 “내달 주총서 정관개정·사외이사 추천 역량 집중”

[인더뉴스 정재혁 기자] KB국민은행 노사가 해를 넘겨 진행된 2017년 임금·단체협상(이하 임단협)을 마무리 지었다. 노조 측은 임단협 타결은 환영하지만, 윤종규 KB금융 회장의 퇴진 투쟁은 지속한다는 입장이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KB국민은행지부는 지난 21일, 중앙노동위원회의 조정안을 노사 양측이 모두 수용해 2017년 임단협을 마무리했다고 22일 밝혔다. 

 

조정안에 대한 조합원 찬반투표 결과는 21일 19시 기준 투표참여율 89.1%, 찬성 93.8%, 반대 6.2%로 제적조합원의 과반을 넘겨 통과됐다. 사측 역시 공식적으로 수용의사를 밝혔다. 

 

이번 임단협 합의 주요 내용은 ▲임금 일반직 2.65%, 2차 정규직 등 저임금직군 4.0% 인상 ▲기능직원·사무직원 변동성과급 확대 ▲L0 직급(2차 정규직) 승격인원 타 직급 수준으로 상향 ▲임금피크 지급률 5년간 250%에서 265%로 확대 등이다.

 

KB국민은행 노조 관계자는 “조직 내에서 근로조건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직군에 대한 처우 개선과 비정규직을 축소하고 정규직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내용 등을 담았다”고 말했다. 

 

한편, KB국민은행 노사는 지난달 22일 노조 측이 중앙노동위원회 조정을 신청함으로써 협상이냐 파업이냐의 기로에 섰었다. 조정시한인 지난 6일까지도 합의점을 찾지 못한 노사 양측은 조정기간을 연장하기로 했고, 13일에는 세종정부청사 중앙노동위원회에서 12시간을 넘기는 추가교섭을 진행했다. 

 

오랜 시간 노사 양측의 입장을 듣고 교섭 타결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 조정위원들 조정안을 제시했고, 사측과 노측은 각자 내부 논의와 검토를 거쳤다. 특히, 노동조합 측은 조정안에 대해 집행부의 공약사항이었던 조합원 찬반투표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박홍배 KB국민은행지부 위원장은 “오랜 진통을 겪었지만 노사가 늦게라도 임단협에 합의하게 된 것은 다행”이라며 “금번 합의가 노사관계 회복의 디딤돌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부당노동행위와 친인척 채용비리 발생 등에 따른 윤종규 회장 퇴진투쟁은 노사 교섭과는 별개의 문제이므로 계속 이어나가겠다”며 “향후 금융회사 지배구조 문제의 근본적 개선을 위해 3월 정기주총에서 KB금융지주 정관 개정과 사외이사추천 주주제안을 성공시키는 데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정재혁 기자 jjh27@inthenews.co.kr


온실가스 배출량 최소 ‘그린철강’ 국내 기업 무관심

온실가스 배출량 최소 ‘그린철강’ 국내 기업 무관심

2024.03.18 17:16:24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국내 철강 제조 및 소비 기업이 '그린철강' 조달 목표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린철강이란 제조 공정에서 화석연료를 쓰지 않아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화한 철강으로 넷제로(탄소 순 배출량 0) 달성 로드맵 과정에서 중요한 품목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18일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이 철강 소비 기업 150곳과 50개 생산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한국 철강산업의 그린철강 전환 보고서'에 따르면 "그린철강에 대한 목표도 없고 향후 목표에 대한 계획도 없다"고 답한 비율이 소비 기업과 생산 기업에서 각각 90%와 58%로 집계 됐습니다. "목표를 세우지 않았지만, 향후 목표 수립을 고려하고 있다"는 응답 비율은 생산 기업에선 42%, 소비 기업에선 9%에 불과했습니다. 철강산업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7%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온실가스 다배출 산업'으로 꼽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2020년 기준, 9300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했습니다. 국가 온실가스 총 배출량의 14.2%가 철강산업에서 나온 셈입니다. 때문에 보고서는 "넷제로 달성을 위해서는 그린철강 도입이 필수적이며, 이를 외면하는 기업들의 넷제로 목표는 현실적인 변화 없이 목표만 제시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실제로 EU는 2026년부터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실시해 탄소 관세를 부과할 방침입니다. CBAM은 탄소배출량 규제가 강한 EU기업들이 불이익을 받는 것을 막겠다며 만든 무역 장벽의 일종입니다. 미국에서도 2022년 6월 발의된 청정경쟁법(The Clean Competition Act)이 추진 중이며 이 법안은 철강을 비롯한 수입제품에 대해 톤당 55달러의 탄소세를 부과하는 것을 골자로 합니다. 국내 철강기업들이 그린 철강에 소극적인 것은 '가격'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기업은 "비싼 가격 탓에 목표수립을 하지 않는다(62%)"는 응답이 가장 많았습니다. 생산 기업 역시 '원가 상승(31%)', '소비자 요구 없음(21%)' 순으로 소극적 대응의 원인을 가격에서 찾았습니다. 다만 생산기업과 소비기업 모두 ‘그린 철강이 미래 경쟁력에 있어 중요하다’고 인지를 하고 있었습니다. 5점 척도로 조사한 항목에서 소비기업은 평균 3.57점, 생산기업은 3.72점으로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보고서를 작성한 남나현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선임연구원은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그린 철강 수요 촉진의 열쇠"라며 "그린 철강 기준 확립과 공공조달 확대로 수요를 촉진하고, 그린 철강 생산시설 투자에 대한 재정 지원과 그린수소 및 재생에너지 확대로 생산기업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한국 철강산업의 그린철강 전환 보고서'는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홈페이지에서 내려 받을 수 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