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olumn 칼럼

자꾸 떨어지는 면접의 비밀

URL복사

Wednesday, July 01, 2015, 11:07:36

[언론고시 특강] (33)

언론계 입문을 위한 지상 특강. 국내 유일, 국내 최다 12만명의 회원수를 자랑하는 <언론고시카페-아랑>의 운영진의 협조를 받아 <인더뉴스>의 청춘 독자들께 촌철살인 언론사 취업팁을 전합니다. [편집자주]

 

[아랑카페 운영자] 바쁘다는 핑계로 3개월 만에 펜을 들었다. <인더뉴스>의 언론고시생 독자들에게 미안한 마음이다. 돌아온 언론고시 특강 칼럼은 시즌2라는 느낌으로 면접 이야기부터 풀어보려 한다.

 

아는 친구 A가 면접에 자꾸 떨어진다. 최종 면접만 4번째다. 프로듀서 부문인데 왜 자꾸 떨어질까. 경력이나 스펙 같은 정량적 지표는 물론 창의력이나 열정 같은 정성적인 지표에서도 큰 문제가 없어 보이는데 말이다. 언론고시 쪽에 7년째 관심을 갖고 있지만 여전히 어렵다. 특히나 기자와는 사뭇 다른 PD라는 직군의 특수성도 감안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본인도 탈락의 이유는 잘 알 것이다. 당장 자신보다 준비가 잘 되지 않았고, 경력도 짧았던 아는 후배가 합격했던 것에서 실마리를 찾은 듯하다. 그 후배는 톡톡 튀고, 가능성을 여실히 보여줬을 것이다. 자신은 어느 정도 PD라는 분야에 대해 잔뼈가 굵었다고 생각하니 자신이 생각하는 연출 패러다임에 함몰돼 면접관에게 설파(?)한 것이 아닐까. 스스로 말은 안하지만 비슷할 것이다.

 

사실 최종면접까지 올라온 사람들의 실력차이가 그리 크지 않다. 일부 현직들이 말하는 것처럼 선풍기를 돌려 멀리 나가는 이력서를 합격시켜도 될 만큼 대동소이한 실력은 아니다. 하지만 조금 트레이닝 시키면 큰 차이는 없을 정도는 될 것이다. 그것이 수습 교육 아닐까.

 

꼭 최종에서만 탈락하는 아는 친구 A의 유형을 나름대로 나눠봤다. 자신의 케이스는 아닐지 조심스럽게 반추해 보기 바란다.

 

# 유형1. 필기시험 점수가 딸린다

 

최종면접은 꼭 합격시킬 사람들만 오는 자리가 아니다. 물론 상당수의 언론사에서는 최종면접 응시자들이 그동안 보였던 성과(필기시험 점수, 1차 면접 점수, 실무평가 결과 등)를 합산해 등수를 매겨놓기도 한다. 어떤 곳에서는 제로베이스를 철저히 지킨다는 이야기도 있다. 하지만 2~3배수 지원자를 올려놓은 상황에서, 언론계 경력 20~30년을 헤아리는 최종면접 심사위원들이 5분의 면접으로 지원자의 역량을 평가하지 못할 것이라 생각하는 것은 순진한 발상이다.

 

결론부터 말하자. 10명 뽑는다고 치자. 당신의 등수는 15등쯤 했을 가능성이 있다. 어디를 가도 15등짜리 성적인 거다. 50명을 뽑는 필기시험은 당연히 통과하고, 20~25명으로 추리는 실무평가도 그럭저럭 통과할 수 있다. 하지만 단 10명으로 압축되는 최종면접 과정에서 당신의 능력은 어정쩡하다’ ‘아쉽다등의 평가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떨어지는 거다.

 

일부 학생들은 다른 언론사에서 합격해 나가는 지원자가 있는데 계속 떨어지는 이유가 무엇이냐고 물어볼 수도 있겠다. 그만큼 새로운 지원자들도 유입된다는 것을 왜 모르겠는가. 그리고 계속 탈락하는 와중에서 자신의 능력을 조금 더 길러 그 제한선을 넘기는 사람들은 현직이라는 타이틀을 달게 된다. 지하철 2호선처럼 내릴 때 되면 내리는 것이 아니라 말이다.

 

# 유형2. 면접에서 치명적인 실수를 한다

 

필자의 개인적인 경험을 말하지 않을 수가 없겠다. 어떤 경제매체의 면접에서였다. 우리 회사의 문제점이 뭐냐는 사주의 질문에 재미가 없다는 질문을 했다. 당연히 떨어졌다. 이를 나의 멘토였던 어떤 언론사 국장과 면담을 하면서 이야기 했다. 그분은 이런 말을 했다.

 

이 녀석아. 당연히 미래지향적 인사이트경제 뉴스의 깊이가 있다는 이야기를 했어야지. 우리 회사 기사가 재미없다는 사람한테 누가 점수를 주겠냐.”

 

여기까지가 내가 놓쳤던 절반이다. 나머지 절반이 더 중요하다.

 

아무리 훌륭한 언론인도 늙으면 노인이 되기 마련이다. 그걸 잊지 마라. 내가 하고 싶은 말을 70%를 하면 면접관이 듣고 싶어 하는 말도 30%를 해야 한다. 아까 네가 말한 답은 다소 어렵고 깊이가 있다는 점이 일반 독자에게 어려움으로 다가오지만, 또 이를 쉽게 풀어주는 NIE(신문활용교육) 섹션이 좋은 길잡이가 되기도 합니다라는 말로 했으면 어떻겠느냐.”

 

할 말이 없었다. 그 덕에 이후에 합격을 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 유형3. 그냥 매력이 없다

 

1번 유형과 비슷할 수 있다. 실력이 없는데 3배수를 올려야 하니 그냥 최종면접에 올라간 경우다. 면접을 해보면 실력이 없거나 왜 이 지원자를 뽑아야 하는지 이유를 찾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물론 대다수의 지원자들은 자신이 개성과 실력, 인성을 겸비했다고 생각하지만 현직에게 냉정하게 상담을 해 보시라.

 

# 유형4. 아는 척을 심하게 한다.

 

자신이 언론사 지망생이 아니라 언론학자로 착각하는 경우다. 해당 매체를 과도하게 비평을 하려 하거나, 편집국장을 가르치려 하는 경우다. 의외로 많다. 논조에 대해서 이렇게 가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강변을 하거나, 기사에 케이스(사례)나 전문가 멘트가 부실하다는 식으로 싸잡아서 비판을 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이는 자신이 입사를 해서 기사를 쓸 때 개선을 하면 되는 것이지, 편집국장에게 훈계를 하는 문제는 아니다. 국장 등 면접관들이 어떻게 받아들일지도 뻔하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아랑카페운영자 기자 mirip@inthenews.co.kr


SK하이닉스, 6세대 HBM 개발 위해 TSMC와 협력

SK하이닉스, 6세대 HBM 개발 위해 TSMC와 협력

2024.04.19 10:02:01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SK하이닉스[000660]가 차세대 HBM 생산과 어드밴스드 패키징 기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대만 TSMC와 협력하기로 했다고 19일 밝혔습니다. 양사는 2026년 양산 예정인 HBM4(6세대 HBM) 개발을 위해 최근 대만 타이페이에서 기술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습니다. SK하이닉스는 "AI 메모리 글로벌 리더인 당사는 파운드리 1위 기업 TSMC와 힘을 합쳐 또 한번의 HBM 기술 혁신을 이끌어 내겠다"며 "고객-파운드리-메모리로 이어지는 3자간 기술 협업을 바탕으로 메모리 성능의 한계를 돌파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양사는 우선 HBM 패키지 내 최하단에 탑재되는 베이스 다이(Base Die)의 성능 개선에 나섭니다. HBM은 베이스 다이 위에 D램 단품 칩인 코어 다이(Core Die)를 쌓아 올린 뒤 이를 TSV 기술로 수직 연결해 만들어집니다. 베이스 다이는 GPU와 연결돼 HBM을 컨트롤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SK하이닉스는 5세대인 HBM3E까지는 자체 공정으로 베이스 다이를 만들었으나 HBM4부터는 로직(Logic) 선단 공정을 활용할 계획입니다. 다이를 생산하는 데 초미세 공정을 적용하면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성능과 전력 효율 등 고객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HBM을 생산한다는 것이 SK하이닉스의 설명입니다. 이와 함께, 양사는 SK하이닉스의 HBM과 TSMC의 'CoWoS(Chip on Wafer on Substrate)' 기술 결합을 최적화하기 위해 협력하고, HBM 관련 고객사 요청에 공동 대응하기로 했습니다. 'CoWoS'는 TSMC가 특허권을 갖고 있는 고유의 공정으로 특수 기판 인터포저(Interposer) 위에 로직 칩인 GPU/xPU와 HBM을 올려 연결하는 패키징 방식입니다. 김주선 SK하이닉스 사장(AI Infra담당)은 "TSMC와의 협업을 통해 최고 성능의 HBM4를 개발하는 것은 물론, 글로벌 고객들과의 개방형 협업에도 속도를 낼 것"이라며 "앞으로 당사는 고객맞춤형 메모리 플랫폼 경쟁력을 높여 '토털 AI 메모리 프로바이더'의 위상을 확고히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