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비즈니스온이 각 사업부 간 영업 연계 및 패키지 마케팅을 통해 사업적 시너지를 확대 중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37만 스마트빌 고객사 영업 기반을 통해 재무, HR, 전자계약, 데이터 사업까지 전 사업부문을 아우르는 Cross-selling 전략을 바탕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비즈니스온은 지난 2007년 설립돼 2017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다. 주로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서비스를 기반으로 전자계약, 매입통합, 지능형 빅데이터 등의 서비스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비즈니스온은 올해 1분기 잠정실적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43.1%, 70.5% 증가한 151억원, 50억원을 기록했다. 분기 최대 실적을 경신한 것. 심의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본업에서의 안정적인 성장과 더불어 자회사들의 실적 고성장이 호실적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이에 따른 영업레버리지 효과로 영업이익률 또한 자회사 연결 편입 이후 최고치를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넛지파트너스의 YETA 연말정산 솔루션 계절적 성수기와 더불어 플랜잇파트너스의 데이터 시각화 솔루션, 시프티 근태관리 솔루션 매출이 크게 증가하며 실적 성장에 기여했다. 여기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NH투자증권은 28일 SNT모티브에 대해 추가적인 신규 수주를 통한 중장기 성장 신뢰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목표주가 5만 5000원, 투자의견 ‘보유’를 유지했다. SNT모티브는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2.4%, 16.2% 증가한 2858억원, 269억원을 기록했다. NH투자증권은 기말환율 상승에 따른 외화관련이익 확대로 세전이익이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조수홍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분기 GM Bolt향 Drive unit 매출액은 462억원으로 매출비중 16.2%를 기록했다”며 “1분기 현대차그룹 전동화매출액은 796억원으로 지난해 4분기 745억원 대비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NH투자증권은 GM이 최근 컨퍼런스콜을 통해 연말 Bolt 단산 계획을 발표했다고 전했다. SNT모티브가 내년 DU 매출액 감소분을 현대차그룹 전동화 사업 확대 및 방산부문 매출증가, 엔진부품 고객다변화 등으로 상쇄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 연구원은 “전기차 생산규모가 확대되면서 현대차그룹의 구동모터 아웃소싱이 시작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며 “본격적인 주가 상승을 위해서는 전동화 사업의 중장기 성장 신뢰도를 높이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DB금융투자는 28일 포스코퓨처엠에 대해 장기공급계약을 통한 중장기 실적 가시성을 확보했다고 평가하며 목표주가를 26만 5000원에서 41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포스코퓨처엠은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전분기 대비 45.4%, 615.2% 증가한 1조 1532억원, 203억원을 기록했다. DB금융투자는 영업이익이 컨센서스 385억원을 하회했다고 분석했다. 정재헌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에너지소재 부문의 매출액이 고객사 재고 조정 및 비수기 영향으로 부진했던 전분기 대비 큰 폭으로 상승했다”며 “내화물 및 라임케미칼 부문 합산 영업이익은 흑자전환 하면서 수익성이 소폭 회복했다”고 설명했다. DB금융투자는 포스코퓨처엠의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전분기 대비 18.6%, 242.2% 증가한 1조 3469억원, 806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NCMA 양극재 출하가 2분기부터 온기 반영되고 N65 양극재 또한 IT 및 ESS 수요 회복에 따른 출하량 성장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정 연구원은 “포스코퓨처엠은 다수의 셀 업체와의 장기공급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공급 물량을 확보했다”며 “이를 통한 원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글로벌 팬덤 플랫폼 팬투(FANTOO)를 운영하는 한류뱅크는 제트캡)과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한류뱅크는 글로벌 항공모빌리티 제트캡(JETCAB)과 손잡고 전 세계 네트워크 구축에 나설 예정이다. 한류뱅크와 제트캡은 이번 협약을 통해 ▲개인 전세기(20인승 이하), 여객 전세기(500인승 이하), 화물 전세기 공동 판매 및 운영 ▲비즈니스 제트기 멤버십 공동 판매 운영 ▲한류 콘텐츠와 연계된 융복합 상품개발 운영 ▲기타 항공 관련 사업 및 한류 콘텐츠를 전 세계에 홍보하는 등 신뢰를 바탕으로 상호 우호 관계 증진을 위한 업무협력을 이어 나갈 방침이다. 한편, 한류뱅크의 지주사인 한류홀딩스는 지난 3월 SEC에 2022년도 감사보고서와 S-1 리포트를 제출한 바 있다. 지난 14일 최종 승인(Approval Letter)을 받아 최근 뉴욕, 서울, 부산 등에서 글로벌 로드쇼를 진행하고 있다. 국내 스타트업으로는 최초이며 한국 기업으로는 11번째 나스닥 상장이다.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예스티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차세대 지능형반도체 기술개발 사업(반도체 제조공정 장비)’에 선정돼 ‘반도체 구조결함 개선용 중수소 고압 어닐링 장비 개발’을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예스티는 고압 어닐링 장비와 관련해 알파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공정평가를 위한 베타 테스트를 준비 중이다. 이번 국책과제 선정으로 생산성 및 공정 성능 측면에서 더욱 고도화된 고압 어닐링 장비를 선제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기존 개발 중인 예스티의 고압 어닐링 장비는 자체 보유한 설계기술을 기반으로 150~900℃ 사이의 온도와 1~30기압까지의 공정 적용이 가능하다고 알려졌다. 차세대 고압 어닐링 장비에 대한 예스티의 개발 목표는 현재 개발 중인 베타기 대비 약 50% 증가한 웨이퍼 처리량과 공정 확대성이다. 예스티는 차세대 고압 어닐링 장비에도 자체 챔버 기술을 적용할 예정으로 이를 통해 장비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현재 경쟁사가 판매 중인 고압 어닐링 장비는 수입 제품이 적용돼 가격 및 관리 측면에서 고객 부담이 크다는 게 특징이다. 예스티의 장비는 자체 기술을 사용하는 만큼, 가격 경쟁력을 비롯해 세정 및 장비 셋업 시간을 크게 단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나이벡은 미국에서 개최되는 ‘염증성 장질환 컨퍼런스 2023(IBD INNOVATE Conference 2023)’에 참가해 자체 개발 중인 핵심 파이프라인 중 하나인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 ‘NIPEP-IBD’의 연구성과를 발표했다고 27일 밝혔다. 염증성 장질환 컨퍼런스는 미국의 ‘염증성 장질환협회’ 주최로 매년 개최되는 국제 학회다. 염증성 장질환치료제를 연구하는 세계적인 석학들과 글로벌 제약사들이 참가하는 행사다. 이번 행사에서 나이벡은 ‘장점막 재생을 증진시키는 기전의 펩타이드 기반 IBD 치료제의 소개’를 주제로 개발 중인 NIPEP-IBD의 임상 자료를 공개했으며, 해당 자료에서 재생 촉진을 통한 염증지표 개선 확인 등의 성과를 발표해 큰 주목을 받았다. NIPEP-IBD는 단순히 염증을 완화시키는 기능뿐 아니라 염증으로 허물어진 장벽을 재생시키는 효능도 가지고 있어 글로벌 제약사들이 주목하고 있다. 장 내피세포에 있는 재생 수용체를 즉각적으로 활성화시켜 손상부위의 장세포 이동을 증가시키고, 촘촘한 장벽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켜 손상된 장 점막의 재생을 촉진한다. 나이벡은 NIPEP-IBD의 주사제와 경구제형을 동시에 개발하고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신한투자증권은 27일 아프리카TV에 대해 2분기부터 별풍선, 광고의 동시 성장으로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평가했다. 목표주가 14만원,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신한투자증권은 아프리카TV의 올해 1분기 영업수익과 영업이익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3%, 18.9% 감소한 736억원, 187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별풍선이 역대 최고 수준으로 회복했고, 트위치TV에서 이적한 스트리머들로 인해 다양한 게임 콘텐들이 성과를 보여줬다고 분석했다. 강석오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광고는 지난 1~2월 게임 신작이나 E-Sports가 부재했고 대부분 3월부터 캠페인들이 시작되면서 2분기부터 성장할 것”이라며 “2분기부터 별풍선과 광고의 동시 성장이 예상돼 1분기 실적이 저점이라는 확신이 있다”고 설명했다. 신한투자증권은 트위치TV가 LCK 중계권을 포기하는 등 사업을 축소하면서 아프리카TV의 트래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전했다. 기부경제선물 매출의 증가뿐만 아니라 콘텐츠 다양화에 따른 여러 산업에서의 신규 광고주 유입도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강 연구원은 “아프리카TV는 효율 높은 콘텐츠형 광고가 있어 매력도가 높다”며 “국내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NH투자증권은 27일 LG이노텍에 대해 상반기 실적 저점을 지나 하반기부터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목표주가 35만원,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NH투자증권은 북미 스마트폰 업체 판매 둔화로 올해 상반기까지 LG이노텍의 실적이 부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60.4% 감소한 1453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규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광학을 제외한 나머지 부문에서는 기판소재 부문의 부진이 이어졌다”며 “반도체 기판의 경우 전방산업 수요 둔화 영향으로 출하량과 가격 하락세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NH투자증권은 LG이노텍이 하반기부터 실적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북미 스마트폰 업체의 하반기 신제품의 경우 3~5배 광학줌을 적용한 카메라 모듈, USB-C 커넥터 등 하드웨어 변화가 많아 판매 호조세를 예상했다. 이 연구원은 “2분기는 전통적인 비수기 영향으로 스마트폰 판매 부진 영향으로 영업적자 261억원을 기록할 것”이라며 “하지만 이미 시장 기대치가 많이 낮아져 있어 추가적인 주가 하락을 우려하기 보다 하반기 실적 개선을 고려한 저가 매수 전략이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신한투자증권은 26일 한화시스템에 대해 다양한 사업 영역의 확대로 장기 성장 그림이 가시화되고 있다고 평가하며 목표주가를 1만 6000원에서 1만 8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한화시스템은 1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2% 증가한 4395억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45% 감소한 84억원을 기록했다. 신한투자증권은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컨센서스를 7%, 55% 하회했다고 분석했다. 이동헌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방산에서는 주요 사업 종료로 일시적인 매출 감소가 발생했다”며 “ICT 부문에서는 IT 수요가 증가하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71% 증가한 76억원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신한투자증권은 한화시스템이 UAE 천궁 사업 수주에 이어 올해도 해외 수주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UAM 부문에서는 오버에어가 연내 시제기 비행 테스트를 하게되고 K-UAM 그랜드 챌린지 2단계 계획에 적용될 가능성도 있다고 예상했다. 이 연구원은 “우주 부문에서도 국내 초소형 SAR 위성 발주가 2분기부터 시작되면서 다양한 사업 영역이 열리고 있다”며 “상반기 중 대우조선해양의 인수가 완료되면 시너지도 본격화될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신한투자증권은 26일 솔루스첨단소재에 대해 하반기부터 선제 투자의 성과가 본격화될 것으로 평가했다. 목표주가 4만 6000원,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솔루스첨단소재는 1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9% 감소한 1128억원을 기록했고 영업손실은 190억원을 기록했다. 신한투자증권은 시장 컨센서스보다 적자 폭이 컸다고 분석했다. 정용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동박/전지박 사업의 수익성 부진은 예상했지만, 전자재료 사업부의 부진으로 적자가 확대됐다”며 “전자재료 사업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한 274억원을 기록하면서 손익이 대폭 줄었다”고 설명했다. 신한투자증권은 올해 하반기부터 유럽의 비용 변수들이 안정화되면서 전지박 사업의 선제 투자의 회수가 시작될 것으로 전망했다. 헝가리의 경우 Ph2 공장이 2분기부터 가동돼 4분기 전후로 본격적인 물량 효과가 더해질 것으로 기대했다. 정 연구원은 “전지박 사업의 올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2519억원, 351억원으로 지난해 영업손실 829억원에서 적자를 벗어날 것”이라며 “손익 개선의 속도는 더디지만 2차전지 밸류 체인 블록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장기적인 수혜가 기대된다”고 말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유안타증권은 26일 현대차에 대해 1분기 전기차 시장 경쟁 심화 우려를 잠재우는 호실적을 기록했다고 평가하며 목표주가를 24만원에서 33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현대차는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37조 7790억원, 3조 5930억원을 기록했다. 유안타증권은 영업이익이 추정치와 컨센서스를 모두 상회하는 호실적을 달성했다고 분석했다. 이현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1분기 판매대수는 약 102만대를 기록하며 추정치인 101만대를 소폭 넘었지만 매출액은 추정치를 11% 상회했다”며 “매출액이 전망보다 크게 나온 결정적인 이유는 판매단가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유안타증권은 주요 변수들이 올해 예상보다 긍정적인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다고 판단했다. 현 수준의 환율이 유지될 경우 긍정적 환율 효과는 2분기 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 연구원은 “전기차를 중심으로 한 시장 경쟁 심화에 대한 우려는 존재하지만 차량 부문에서 영업이익 대부분을 차지하는 ICE에서 호실적을 거두며 우려를 잠재우는 상황”이라며 “올해 영업이익은 기존 전망치 대비 53% 상향한 13조 70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메리츠금융지주(대표이사 김용범)는 메리츠화재와 메리츠증권을 완전자회사로 편입해 단일상장사로 통합출범한다고 25일 밝혔습니다. 앞서 지난해 11월 메리츠금융은 메리츠화재와 메리츠증권을 완전자회사로 편입하는 포괄적 주식교환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로써 메리츠금융은 자회사 합병을 통한 '원 메리츠(One Meritz)'로 새출발하게 됐습니다. 이에 발맞춰 주주·고객 소통과 ESG 경영을 위한 길잡이로 홈페이지 역할을 강화하고자 홈페이지를 리뉴얼했습니다. 홈페이지는 메리츠만의 스타일로 불필요한 정보를 걷어내고 숫자와 간결한 정보에 집중했습니다. 보여주기식 소개 글과 복잡한 디자인 요소는 최대한 덜어내 홈페이지를 찾는 주주와 고객 관점에서 정보 습득 편의성을 최적화했다고 메리츠금융은 설명합니다. 또 메리츠 CI 색상인 '오렌지 레드'를 활용해 기업 아이덴티티가 강조되는 수치와 시각 자료를 배치했습니다. 경영활동 관련 모든 정보와 계열사 실적 수치, 배당금과 배당총액, 자사주 매입·소각 금액, 주주환원율은 일목요연하게 구성해 빠른 이해를 돕고 모바일 환경에서도 핵심 내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ESG 파트를 신설해 환경·사회·책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이진엽 에이트원 대표는 전일(24일) ‘2023 부산 블록체인 콘퍼런스(Busan Blockchain Conference, 이하 BBC)’에 참석, 업계 민관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블록체인 신사업 추진 비전을 공유하고 부산 블록체인 특구 방향성에 대해 의견을 주고 받았다고 25일 전했다. 부산광역시가 주최한 BBC는 ▲부산디지털자산(상품)거래소, 어디로 가나? ▲블록체인 특구에 바란다 총 2개 세션으로 진행됐다. 포럼 두 번째 세션 ‘블록체인 특구에 바란다’ 발표자로 나선 이 대표는 에이트원의 STO 등 블록체인 신사업 비전과 함께 다양한 영역에 걸쳐 부산 블록체인 특구 생태계 조성 프로젝트 제안에 나섰다. 에이트원은 지난 달 정기주주총회를 통해 ▲블록체인 기반 정보자료처리 및 정보서비스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에 관한 컨설팅 및 전문적 서비스 등 신규 사업목적을 대거 추가하며 블록체인 신사업 추진을 공식화했다. 그간 영위해왔던 스마트국방, 메타버스 사업부문에 STO 등 블록체인 핀테크 기술을 새롭게 연계해 최종적으로 글로벌 ‘웹(Web) 3.0’ 기업 도약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이진엽 에이트원 대표는 “그간 신사업 추진을 위한 전문인력 유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한류 팬덤 플랫폼을 운영하는 한류뱅크의 지주사 한류홀딩스(HRYU)가 미국 뉴욕을 시작으로 서울과 부산까지 글로벌 로드쇼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달말까지 글로벌 로드쇼가 진행될 예정이다. 한류홀딩스는 현지시간 기준 20일 미국 뉴욕, 21일 서울, 24일 부산 등 로드쇼를 성황리에 완료했다. 서울과 부산 로드쇼에는 국내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 속에 ▲제이콥에셋㈜ ▲메이플투 자파트너스 ▲엘애프자산운용 등이 참여했다. 이달 말까지 이어지는 글로벌 로드쇼를 통해 다양한 투자자에게 미국 나스닥 상장 공모 참여 정보를 비롯해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전달할 계획이다. 한류홀딩스는 지난 3월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Security Exchange Commission)에 2022년도 감사 보고서와 S-1리포트를 제출했고 이에 대해 SEC는 검토를 거쳐 지난 14일 S-1 리포트 승인을 완료했다. 이는 국내 스타트업 최초 나스닥 직상장이라는 성과뿐만 아니라 한국 기업으로 11번째 나스닥 상장이며 마지막 나스닥 상장 기업 기준으로 13년만에 이룬 쾌거다. ‘글로벌 한류문화 선도기업’을 지향하는 한류홀딩스는 새로운 한류의 방향을 제시하는…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대신증권은 25일 스튜디오드래곤에 대해 디즈니+와의 신규 계약으로 마진 개선이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목표주가 11만원,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대신증권은 스튜디오드래곤이 디즈니+와 콘텐츠 협업을 공식화했다고 전했다. 구체적인 규모나 조건 등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넷플릭스와 유사한 수준일 것으로 추정했다. 김회재 대신증권 연구원은 “올해에는 넷플릭스와 디즈니+ 및 아마존 등에 11편 이상의 동시방영 콘텐츠를 공급할 것”이라며 “지난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8편 수준에서 확대되면서 마진 개선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신증권은 스튜디오드래곤이 국내에서 글로벌 OTT와 계약을 확대하는 것 외에 미국 시장에서도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에 직접 진출한 첫 작품인 <The Big Door Prize>는 이미 시즌2 제작이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김 연구원은 “시즌2는 연내 공급이 가능하고 시즌1에 대한 인센티브도 받을 예정”이라며 “<설계자들>도 연내 제작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대만의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D램 업계의 1분기 매출액이 직전분기 대비 21.2% 줄어든 96억 6300만 달러로 집계돼 3분기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고 25일 밝혔습니다. 삼성전자[005930]의 올해 1분기 D램 매출은 직전분기 55억 4000만달러 대비 24.7% 줄어든 41억 7000만 달러로 나타났습니다. 점유율은 직전분기 45.2%에서 2%p 줄어든 43.2%를 기록했습니다. SK하이닉스[000660]의 올해 1분기 D램 매출은 직전분기 33억 8600만달러 대비 31.7% 줄어든 23억 1200만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점유율은 직전분기 27.6%에서 3.7%p 줄어든 23.9%를 기록했습니다. 트렌드포스는 "지속적인 공급 과잉 문제로 가격 하락이 지속하고 있다"면서 "감산에 따른 가격 하락폭이 점차 둔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감산의 영향으로 2분기 공장 가동률은 삼성전자 77%, SK하이닉스 82%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트랜드포스는 D램의 가격 하락이 지속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에도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습니다.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한국은행 기준금리가 3.50% 현 수준에서 멈춰섰습니다. 지난 2월·4월에 이어 이달까지 세번째 금리동결입니다. 올 1월까지 가파른 인상 롤러코스터를 타던 기준금리가 3연속 동결되면서 이제 시장의 관심은 하방으로의 전환 즉 피벗(pivot) 시기로 모아지고 있습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25일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 수준(3.50%)에서 유지해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회의 의결문에서 "소비자물가는 4월중 상승률이 전월 4.2%에서 3.7%로 낮아지는 등 당초 예상에 부합하는 둔화 흐름을 지속했다"며 "국내경제는 소비가 서비스를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였지만 수출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성장세 둔화가 지속됐다"고 평가했습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4개월 만에 3%대로 떨어지고 수출 부진 등으로 경기가 위축되고 있다는 점을 기준금리 현상태 유지 배경으로 설명한 것입니다. 다만 금통위는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을 배제하지는 않았습니다. 금통위는 "물가상승률이 둔화 흐름을 지속하겠지만 상당기간 목표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현재 긴축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봤다"며 "추가 인상 필요성은 대내외 정책여건 변화를 점검하면서 판단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금통위는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 성장의 하방위험과 금융안정 측면의 리스크, 그간의 금리인상 파급효과,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 등을 면밀히 점검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1.75%포인트(p)에 달하는 미국과 기준금리 차이는 여전히 부담입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이달 3일 기준금리 0.25%p를 인상하는 베이비스텝을 밟으면서 한국(3.50%)과 미국(5.00∼5.25%)의 기준금리 격차는 최대 1.75%p로 벌어졌습니다. 1.75%p는 역대 최대 수준의 금리 역전 폭입니다.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마이크로소프트(MS)가 오픈AI가 공개한 챗GPT를 자사 검색 엔진 빙에 적용한다고 밝혔습니다. MS는 현지시간 23일 미국 워싱턴주 본사에서 '개발자 회의'를 열고 차세대 인공지능(AI)를 탑재한 제품과 기능을 선보였습니다. MS는 오픈 AI와 파트너십을 맺고 AI 검색 기능을 강화합니다. 또한 챗 GPT에서 빙을 기본 검색 환경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최고경영자(CEO)는 "빙의 장점을 챗 GPT 경험에 제공하기 위해 오픈 AI 파트너들과 함께 하는 계획의 시작에 불과하다"고 말했습니다. MS는 '코파일럿' 생태계 확장 계획도 선보였습니다. '코파일럿'은 대형언어모델을 사용해 복잡한 작업을 지원하는 인공지능 서비스입니다. MS는 윈도우 11에 코파일럿을 탑재한다고 밝혔습니다. 윈도우11 환경에서 중앙에 버튼 형식으로 위치하는 코파일럿은 개인 비서 역할을 담당합니다. 시스템 설정, 캡처도구, 스냅 어시스트 등 윈도우의 모든 기능을 코파일럿을 통해 실행 가능합니다. 윈도우에 탑재된 코파일럿은 빙챗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합니다. MS는 윈도우에 탑재된 코파일럿을 활용하면 복잡한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MS는 코파일럿을 강화 할 수 있는 플러그인 기능도 선보였습니다. 플러그인 기능을 통해 개발한 앱과 서비스를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이 공식 출시되면 수천 개의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고 밝혔습니다. 새로운 통합 플랫폼 '마이크로소프트 패브릭'도 공개했습니다. 데이터 엔지니어링, 데이터 통합, 데이터 웨어하우징, 데이터 사이언스, 실시간 분석, 응용 관찰 가능 성 등을 통합 관리 할 수 있습니다. MS는 윈도우 11 개발자를 위한 '데브 홈'을 선보입니다. 데브 홈은 클라우드 개발 환경 구성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티아 나델라는 "마이크로소프트는 모든 사람과 조직이 더 많은 것을 성취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 회사의 미션을 기반으로 기술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기본적인 권리를 보호하며 공평한 성장을 도모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카카오[035720]는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해 'RE100'에 가입하고 2040년까지 사용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고 24일 밝혔습니다. RE100(Renewable Energy 100%)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풍력이나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캠페인입니다. 전 세계 400여 곳 이상의 국내외 기업이 가입했습니다. 카카오는 이번 RE100 가입을 기점으로 신규 데이터센터(IDC)와 사옥 등 사업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력 사용량을 오는 2030년까지 60%, 2040년까지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한다는 계획입니다. 재생에너지 자문위원단을 구축, RE100 추진과 함께 탄소 감축에 대한 사회적 가치를 보다 확대할 수 있는 방법을 꾸준히 모색해 갈 예정입니다. 카카오는 지난해 제주 오피스에서 사용되는 전력 100%를 친환경 태양광 에너지로 전환한 바 있습니다. 홍은택 카카오 대표이사는 "RE100 가입은 기후 위기 대응에 지속 동참하려는 카카오의 의지"라며 "탄소 중립 실천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ESG경영을 위한 행보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