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Issue Plus 이슈+

차례·제사에 올리는 술, ‘정종’ 대신 ‘청주’로 불러주세요

URL복사

Friday, September 13, 2019, 06:09:00

‘정종’은 주종 아닌 일본 사케 브랜드.. 일제강점기 전통주 맥 끊겨
전통 차례주 ‘청주’, 주세법 바뀌지 않아 ‘청주’ 아닌 ‘약주’ 분류돼

 

인더뉴스 주동일 기자 | “추석이라 ‘정종’을 찾는 분들이 많죠.”

 

추석명절이 시작되면서 차례상에 올릴 술을 찾는 고객이 많다. 지난 11일 인천에 있는 한 대형마트 주류코너에서 일하던 직원은 추석연휴를 하루 앞두고 차례에 올릴 ‘정종’을 찾는 손님들이 많다고 이야기했다.

 

흔히들 차례상에 올릴 술을 ‘정종’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정종은 맞는 표현이 아니다. 한 주류업계 관계자는 “정종은 일본 사케 브랜드”라며 “우리나라 전통 차례주는 주세법상 약주라 불리는 청주”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에서 차례주의 대명사로 불리는 ‘정종’은 전통 차례주와 거리가 멀 뿐만 아니라 주종을 가리키는 말도 아니다. 마트에서 “정종 주세요” 라며 우리 전통 차레주인 국순당의 ‘예담’ 이나 롯데주류의 ‘백화수복’ 을 사는 것이 차례 예법에도, 문맥에도 어긋나는 이유다.

 

‘정종’이라는 말은 1840년 일본의 한 양조장이 청주 상표로 등록하면서 쓰이기 시작했다. 다른 양조장이 같은 상표를 도용하면서 일본 내에서 청주를 가리키는 말처럼 쓰이긴 했지만, ‘스카치테이프’나 ‘웹하드’, ‘퐁퐁’처럼 엄연히 제품명이 아닌 상표명이다.

 

우리나라에 퍼지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말 한 일본인 양조업자가 부산에서 일본식 청주를 ‘정종’이라는 상표로 판매하면서부터다. 이때까지 우리나라는 전통 차례주로 ‘쌀로 빚은 맑은 술’을 올렸다. 현재 주세법상 ‘약주’로 분류되는 ‘청주’를 올린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조선시대까지 우리나라에선 집마다 술을 만들어 제사에 올리는 ‘가양주 문화’가 있었다”며 “일제 강점기에 주세법이 도입되고 집에서 술을 빚을 수 없게 되자, 당시 판매되는 ‘쌀로 빚은 맑은 술’인 일본 사케 브랜드 정종을 제사에 올리기 시작했다”고 했다.

 

실제로 일제 강점기에 세금을 거두기 위해 1907년 주세령과 1909년 주세법이 반포됐고, 각 집에선 제사용 술을 만들지 못하게 됐다. 일제 초창기 국세의 약 70%가 주세로 거둔 세금이라고 알려진다.

 

당시 판매하던 술 중 그나마 관행에 맞는 술은 일본식 ‘정종’이었다. 이때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은 제사를 앞두고 “정종 사와라”, “정종 주세요” 등의 표현으로 ‘정종’을 청주의 대명사처럼 쓰기 시작했다.

 

그렇다면 전통 차례주인 우리나라 청주는 어디로 갔을까. 앞서 말했듯 우리나라 청주는 주세법상 ‘약주’로 분류된다. 주세법상 ‘청주’가 일본식 쌀누룩(입국)을 사용한 ‘일본식 청주’를 기준으로 삼고 있어 정작 우리나라 청주가 다른 주종으로 분류되는 것이다.

 

이는 우리나라 주세법의 토대가 일제 법률 체계를 따랐기 때문이다. 광복 이후인 1949년 주세법을 개정했지만 일제 중심의 주종 분류 기준은 크게 바뀌지 않았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주동일 기자 jdi@inthenews.co.kr

배너

“제주 22만원·오로라 1000만원대”…신세계그룹, 겨울 여행 수요 공략

“제주 22만원·오로라 1000만원대”…신세계그룹, 겨울 여행 수요 공략

2025.11.05 06:00:00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신세계그룹이 쓱데이를 맞아 겨울방학 및 얼리버드족을 위한 여행·항공·숙박 특가전을 진행한다고 4일 밝혔습니다. 신세계그룹은 오는 9일까지 주요 계열사와 제주항공이 참여해 해외여행 상품과 국내 특급 호텔 숙박권 등을 단독 할인 판매합니다. 이번 행사에는 ▲SSG닷컴 ▲G마켓 ▲신세계백화점 ▲신세계라이브쇼핑 ▲조선호텔앤리조트 ▲굳닷컴(온라인 플랫폼) 등 6개 계열사가 참여합니다. 일본·홍콩 등 해외여행 패키지부터 전세계 항공권, 프리미엄 호텔 숙박권까지 상품 구성이 다양합니다. SSG닷컴은 6일 오후 8시 라이브 방송을 통해 그랜드 조선 제주 숙박권을 22만원대부터 판매합니다. 객실 뷰 업그레이드, 연박 할인, 쓱머니 7% 적립 혜택도 제공합니다. G마켓은 여행상품 구매 시 최대 30만원까지 할인 가능한 10% 쿠폰을 제공하며, 스카이베이 경포·나트랑·괌 등 특가를 순차 공개합니다. 신세계백화점 여행 플랫폼 ‘비아신세계’는 캐나다 오로라 여행 등 초프리미엄 상품을 1000만원대에 선보입니다. 신세계라이브쇼핑은 홍콩·마카오 여행권을 59만9000원부터, 장가계 상품을 69만9000원부터 판매합니다. 조선호텔앤리조트는 9개 호텔 객실을 최대 70% 할인해 판매합니다. 레스케이프 아틀리에 스위트 패키지는 39만6000원부터, 웨스틴조선 부산 패키지는 33만원부터입니다. 굳닷컴은 일본 온천·아이슬란드 오로라·이탈리아 소도시 투어 등 겨울 여행 상품을 선보이며 예약 고객에게 10만 포인트를 제공합니다. 제주항공은 국제선 45개 노선 특가, 최대 6% 할인, 카카오페이 결제 시 최대 2만원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쓱데이 댓글 이벤트에 참여하면 추첨을 통해 조선호텔 숙박권·신세계상품권 등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이번 쓱데이 여행 특가전은 겨울 비수기 시즌에 가장 합리적으로 쉼과 여행을 준비할 수 있는 기회”라며 “그룹사가 준비한 자체 기획전에 항공사 제휴까지 더해 더 다채롭고 풍성한 혜택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