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News Plus 뉴스+

[단독]① “평생보증 약속한 세타2 엔진 무상수리 거부”...현대차, 고객과 진실공방

URL복사

Thursday, November 07, 2019, 13:11:00

2014년식 그랜저HG, 내리막서 시동 꺼져 사고날 뻔..수리비 200만원 이상
현대차 “고객 엔진오일 교환기록 못 믿어..평생보증 프로그램 해당 안 된다”

 

인더뉴스 박경보 기자ㅣ현대자동차가 세타2 엔진을 ‘평생 보증’하기로 했지만, 정작 엔진이 파손돼도 무상수리를 받지 못한 사례가 나왔습니다. 외부 정비업체에서 엔진오일과 오일필터를 비순정품으로 썼다는 게 이유인데요. 이 고객은 200만원 이상의 수리비를 자비로 부담하게 될 처지에 놓였습니다.

 

울산광역시에 살고있는 37세의 조 모씨는 지난 3일 차량 결함 때문에 아찔한 사고를 겪을 뻔했습니다. 지난 2016년 8월경 중고로 구입했던 2014년식 그랜저HG(현재 주행거리 16만 4000km)를 타고 산길을 내려가다가 갑자기 엔진이 꺼졌기 때문입니다. 조 씨의 그랜저는 주행 중 엔진이 파손되거나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세타2 엔진이 탑재된 모델입니다.

 

이 사고를 제보한 조 씨는 “시동이 꺼진 뒤 브레이크가 듣지 않아 전자파킹 버튼을 여러 번 작동해 겨우 정지했는데, 길의 왼쪽은 계곡이 있는 절벽”이라며 “아내와 장모님, 7살 아들까지 일가족 모두가 타고 있었는데 큰일을 당할 뻔 했다”고 분통을 터뜨렸습니다.

 

 

이에 앞서 지난 10월 현대차는 세타2 엔진에 대한 평생보증 프로그램을 발표했습니다. ‘커넥팅로드 베어링(Connecting Rod Bearing) 소착’으로 엔진꺼짐 및 화재 등이 발생한 세타2 엔진을 주행거리와 상관없이 책임지겠다는 건데요. 하지만 현대차 측은 정작 이 차량에 대한 수리를 거부했습니다.

 

조 씨는 시동이 꺼진 차량을 울산 상용서비스센터에 입고시켜 커넥팅로드 베어링에 문제가 발생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런데도 무상수리를 받지 못한 건 순정 엔진오일과 오일필터를 쓰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결국 현재 다른 정비소에서 자비로 수리 중인데, 수리비용은 최소 200만원은 넘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대해 조 씨는 “현대차의 주재원이 파견 나와 보증수리 가능여부를 판단했는데, 순정품을 사용하지 않아 무상수리가 어렵다는 말을 들었다”며 “근본적으로 문제가 있는 엔진인데도 고객 과실로 몰아가는 나쁜 행태”라고 비판했습니다.

 

 

조 씨는 ‘순정품’을 쓰지 않았을 뿐, 차량 구입 후 6000~9000km마다 규격에 맞는 엔진오일을 교환했습니다. 지난 3년간 약 3만km 가량을 주행하는 동안 엔진오일은 총 4번 바꿨는데요. 최초 1회는 현대차의 서비스 네트워크인 블루핸즈에서, 나머지는 보험사에서 지정한 정비업체를 이용했습니다.

 

게다가 조 씨는 현대차 GDI(직분사) 엔진의 고질병인 엔진오일 소모 현상 때문에 꾸준히 오일을 보충해왔습니다. 중고차 구입 후 엔진오일을 주기에 맞춰 교환하고 소모분도 보충하며 엔진을 꾸준히 관리했다는 건데요.

 

조 씨는 2회차부터 4회차까지 모두 보험사가 제공하는 할인쿠폰을 이용해 엔진오일을 교환했습니다. 2, 3회차엔 킥스(KIXX) G1 5W30 제품을 사용했고, 4회차엔 지크(ZIC) X7 FE 5W20 제품을 썼습니다.

 

 

하지만 현대차 측은 엔진오일을 제때 교환하지 않아 평생보증 프로그램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입장입니다. 고객이 제출한 엔진오일 교환 내역을 믿을 수 없어 리콜 및 평생보증 대상인 커넥팅로드 베어링 결함으로 볼 수 없다는 겁니다.

 

이기훈 현대차 홍보실 뉴미디어팀 부장은 “수리할 당시 고객에게 엔진오일 교환 내역을 요청했지만 주지 않았고, 나중에 확인한 명세서에도 차량번호가 가려져 있다”며 “고객이 엔진오일을 관리하지 않아 발생한 일반적인 고장인 만큼 세타2 엔진의 평생보증 프로그램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해명했습니다.

 

이어 “해당 그랜저는 관리 미흡으로 엔진오일이 부족해져 엔진이 멈춘 것”라며 “현대차의 기본적인 파워트레인 보증은 5년/10만km인데, 이 차량은 해당 보증기간을 훨씬 넘어섰다”고 말했습니다. 고객이 제출한 명세서의 일부가 엑셀파일로 만들어져 있어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말도 덧붙였습니다.

 

현대 측의 이 같은 입장에 대해 조 씨는 강력히 반박합니다. 그는 “최초에 차량번호를 가린 것은 개인정보 때문이었고, 보험사로부터 엔진오일 교환 내역을 받기까지 시간이 소요됐을 뿐 자료를 주지 않았다는 건 말도 안 된다”며 “당시 엔지니어가 운행 3년치 내역서를 확인해야 한다고 해서 보험사에 즉각 요청했고, 엑셀파일도 정비업체 측에서 준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는 또 “엔진오일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고 해서 주기적으로 보충해왔고, 입고 당시 엔지니어도 엔진오일의 정량을 확인했다”며 “특히 세타2 엔진의 보증은 평생보증 이전부터 5년/10만km가 아닌 10년/19만km이었고, 국내 이름있는 정비네트워크인 오토오아시스와 스피드메이트 전산망에 엔진오일 교환내역이 남아있다”고 맞받아쳤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박경보 기자 kyung2332@inthenews.co.kr

배너

대우건설, SACE 보증 기반 2억 유로 자금 조달 성공

대우건설, SACE 보증 기반 2억 유로 자금 조달 성공

2025.09.09 12:54:40

인더뉴스 제해영 기자ㅣ대우건설(대표이사 김보현)은 이탈리아 재정경제부 산하 수출보험공사(SACE)의 보증을 기반으로 2억 유로(약 3259억원) 규모의 외화 차입금을 조달했다고 9일 밝혔습니다. 이번 금융 약정은 글로벌 금융기관 나틱시스(Natixis CIB)가 주간사이자 대주, 구조화 대리기관으로 참여했으며, 차입 약정 만기는 최초 인출일로부터 3년입니다. SACE는 자국 기업의 수출 확대를 지원하는 이탈리아 공적 수출신용기관으로, 이번 거래에서는 ‘푸시 전략(Push Strategy)’을 통해 대우건설의 차입금에 대한 보증을 제공했습니다. 미칼 론 SACE 국제사업 총괄대표는 “대우건설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이탈리아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기회가 더욱 확대될 것”이라며 “정기 매치 메이킹 이벤트를 통해 실질적인 협력 기회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에마뉘엘 지예-라가르드 나틱시스 아시아태평양 대표는 “이번 거래는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한 첫 번째 유로화 표시 SACE 푸시 전략 금융으로, 한국과 이탈리아 간 무역 협력 확대에 기여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대우건설은 이번 협업이 단순한 자금조달을 넘어 글로벌 프로젝트 수행 역량과 조달 능력이 세계 시장에서 신뢰받고 있다는 것을 입증한 사례라고 강조했습니다. 회사는 이미 국내외 프로젝트에서 이탈리아 기업과 장비 및 자재 구매, 기술 협력을 진행해왔으며 이번 협력을 계기로 협업 기회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대우건설은 최근 글로벌 자금조달 성과도 잇따라 거두고 있습니다. 2023년 이슬람 채권인 수쿠크 발행을 시작으로 2024년 3월에는 아시아개발은행 산하 CGIF 보증을 통해 싱가포르에서 자금을 조달했으며, 올해 4월에는 ESG 경영 강화를 바탕으로 그린본드를 발행했습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해외에서 안정적인 금융 기반을 구축해 글로벌 기업과 협력 및 시장 진출을 확대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조달 방식과 협력 모델을 통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