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Stock 증권

[특징주] 바이오리더스, “차별화된 신약개발 플랫폼 업체” 분석에 강세

URL복사

Thursday, February 13, 2020, 10:02:20

인더뉴스 김현우 기자ㅣ 바이오리더스(142760)가 차별화된 신약개발 플랫폼 업체로 상용화된다면 시장가치가 높아질 것이라는 증권가 분석에 장 초반 강세다.

 

13일 오전 10시 14분 현재 바이오리더스 주가는 전거래일보다 2.76% 올라 708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하나금융투자는 이날 바이오리더스에 대해 “자체 플랫폼 기반의 신약개발 파이프라인을 보유해 적응증 다각화가 가능하다”며 “차세대 기술인 p53(암 억제 유전자) 재활성화 기술이전으로 고형암 시장 내 가치가 높게 평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정기·안주원 연구원은 “자궁경부전암 치료제(BLS-M07)의 임상 2b상과 뒤센 근디스트로피 치료제(BLS-M22)의 임상 1상 결과는 올해 2~3분기에 나올 것”이라며 “현재 치료제가 없는 자궁경부전암 세계시장 치료제 규모는 10조원으로 추정되며 향후 BLS-M07이 상용화될 때 시장가치는 높다”고 설명했다.

 

바이오리더스는 자체 신약개발 플랫폼으로 뮤코맥스와 휴마맥스를 보유 중이다. 뮤코맥스는 체내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경구용 점막 면역 플랫폼이고 휴마맥스는 의약 신소재 폴리감마글루탐산(γ-PGA)을 활용한 면역 조절 효력 기반의 플랫폼이다.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로부터 이전 받은 p53에 대해서는 “대상암인 고형암 시장은 오는 2024년 약 64조원 규모로 전망된다”며 “p53은 Pre-IND 단계 마무리 후 글로벌 임상 1상 진입을 목표로 가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최대주주인 TCM생명과학과 자회사 넥스트BT 등 관계사와의 시너지 확대와 바이오메디컬 사업 수직 계열화로 시장지배력이 증가할 것”이라며 “올해는 계열사간 시너지 효과로 연결 매출액 1000억원을 상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김현우 기자 sapience@inthenews.co.kr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