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Small Business 중소기업

[스타터 UP] 자동차 자율주행의 6가지 단계

URL복사

Friday, May 22, 2020, 06:05:00

THE 6 LEVELS OF AUTONOMOUS DRIVING

 

자율주행시스템(Autonomous Driving System)은 운전자가 운전에 어떻게 관여하는지, 그 때 운전자가 차를 어떻게 제어하는지에 따라 비자동화에서 완전자동화까지 점진적 단계로 구분됩니다. 2016년부터 국제자동차기술자협회(SAE International)에서 분류한 단계가 글로벌 기준으로 통용되고 있으며, ‘레벨 0’에서 ‘레벨 5’까지 6단계로 나뉩니다.

 

THE 6 LEVELS OF AUTONOMOUS DRIVING 자율주행의 6 단계

 

 

레벨 0은 가장 낮은 단계로 자율주행기술이 없는 단계입니다. 차량의 운전과 속도제어를 모두 운전자가 담당해야 하죠. 즉 레벨 0는 우리가 흔히 경험하는 일반적인 차량의 주행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차선이탈경고, 사물 감지 등은 자율주행 기능에 포함되지는 않습니다.

 

레벨 1 단계에서 자율주행기술이 조금씩 사용됩니다. 여전히 자동차를 제어하고 움직이는 것은 운전자의 몫이지만 운전자가 운전대에서 손을 떼지 않는 것을 전제로 센서를 통해 충돌이 감지되면 자동차가 속도를 늦추거나 자동차들 간의 간격을 조절합니다.

 

즉 시스템이 운전자를 도와 속도와 제동을 일부 제어하는 단계죠. 특정 주행모드에서 시스템이 차량의 운행 방향 또는 속도를 제어하여 차로 유지를 보조하고, 일정한 속력을 유지하게 하는 등이 레벨 1에 해당합니다. 

 

레벨 2는 보다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모습에 가까워집니다. 운전자의 개입 없이 시스템이 자동차의 속도와 방향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습니다. 특정한 상황에서 자동차가 스스로 방향을 바꿀수 있고, 앞차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속도를 줄이거나 가속을 할 수도 있습니다.

 

 

레벨 3에서는 운전자의 개입이 더욱 줄어듭니다. 운전자는 비상상황에서만 운전에 개입하면 되죠. 이전까지는 운전자의 전방주시와 운행 방향을 바꾸는 등의 개입이 필요했다면 3단계부터는 앞차를 추월하거나 자동차 스스로 장애물을 감지하고 이를 피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사고나 교통혼잡을 미리 감지하고 우회할 수도 있습니다.

 

레벨 4가 되면 ‘완전한 자율주행’이 가능한 단계입니다. 시스템은 자동차의 운행구간 전체를 모니터링하고, 안전관련 기능들을 스스로 제어합니다. 운전자가 할 일은 출발 전에 목적지와 이동경로를 입력하는 것이 전부죠. 운전자가 수동 운전으로 복귀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시스템은 스스로 안전한 자율주행을 할 수 있습니다.

 

레벨 5는 운전자가 필요없는 무인자동차입니다. 탑승자가 원하는 목적지를 말하면 사람이 개입이 완전히 배제된 상황에서 시스템이 판단해 자동차를 스스로 운전하게 됩니다. 운전자가 필요없기 때문에 운전석 자체가 필요 없고 지금까지 봐왔던 자동차의 내관과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

 

참고한 기사와 글 Reference news and articles

 

SAE Standards News: J3016 automated-driving graphic update

 

From. SAE International. https://www.sae.org/news/2019/01/sae-updates-j3016-automated-driving-graphic"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https://www.sae.org/news/2019/01/sae-updates-j3016-automated-driving-graphic

 

자율주행 기술의 6단계

 

From. HMG JOURNAL https://news.hmgjournal.com/Tech/%EC%9E%90%EC%9C%A8%EC%A3%BC%ED%96%89-%EA%B8%B0%EC%88%A0-%EB%A0%88%EB%B2%A8-6%EB%8B%A8%EA%B3%84"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https://news.hmgjournal.com/Tech/%EC%9E%90%EC%9C%A8%EC%A3%BC%ED%96%89-%EA%B8%B0%EC%88%A0-%EB%A0%88%EB%B2%A8-6%EB%8B%A8%EA%B3%84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편집국 기자 info@inthenews.co.kr

배너

교보생명, SBI저축은행 인수한다…금융지주 전환 본격화

교보생명, SBI저축은행 인수한다…금융지주 전환 본격화

2025.04.28 16:30:12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교보생명이 저축은행업에 진출합니다. 교보생명은 28일 이사회를 열어 SBI저축은행 지분 '50%+1주'를 2026년 10월까지 단계적으로 인수하기로 결의했다고 밝혔습니다. SBI저축은행 최대주주 SBI홀딩스로부터 SBI저축은행 지분을 매입하는 것이며 인수금액은 9000억원입니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풋옵션 분쟁이 사실상 일단락되면서 금융지주 전환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며 "저축은행업 진출은 지주사 전환 추진과 사업포트폴리오 다각화 차원이며 향후 손해보험사 인수 등 비보험 금융사업으로 영역확대에도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SBI저축은행은 2024년말 기준 총자산 14조289억원, 자본총계 1조8995억원, 거래고객 172만명을 보유한 업계 1위 저축은행입니다. 2021년 3495억원, 2022년 3284억원의 순이익을 내며 안정적인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3·2024년에는 경기침체 속에서 각각 891억원, 808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습니다. SBI저축은행 최대주주는 일본 종합투자금융그룹 SBI홀딩스로 현재 자사주 14.77%를 제외한 85.23%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교보생명은 저축은행 운영경험이 없다는 점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지분을 취득하기로 했습니다. 먼저 금융당국으로부터 대주주 승인을 받은 다음 하반기중 30%(의결권 없는 자사주를 감안한 실제 의결권 지분 35.2%)의 지분을 취득할 예정입니다. 이후 금융지주사 전환에 맞춰 2026년 10월말까지 50%+1주(의결권 58.7%)를 인수합니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2027년부터 경영권을 행사할 수 있지만 상당기간 공동경영을 할 계획"이라며 "1등 저축은행으로 키운 현 경영진을 교체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밝혔습니다. 교보생명은 기존 보험사업과 저축은행간 시너지 극대화를 노립니다. 특히 보험계약자에게 저축은행 서비스를 제공하고, 저축은행 고객에게는 보험상품을 연계하는 맞춤형 금융솔루션을 확대함으로써 고객층을 넓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디지털 금융시장에서도 고객접점이 크게 확대될 전망입니다. 현재 교보생명앱(230만명)과 SBI저축은행 사이다뱅크앱(140만명)을 합하면 총 370만명의 금융고객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보험에 익숙하지 않은 MZ세대 등 젊은 고객층의 적극적 유입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교보생명은 양사의 강점을 결합해 서비스 경쟁력을 한층 강화한다는 목표입니다. SBI저축은행 계좌를 보험금 지급계좌로 활용해 금융서비스 편의성을 높이고, 보험사에서 대출거절된 고객을 저축은행으로 유입해 가계여신 규모를 1조6000억원 이상 확대할 계획입니다. 또 SBI저축은행 예금을 교보생명 퇴직연금 운용상품으로 활용하는 등 시너지를 극대화합니다. 교보생명과 SBI그룹은 2007년부터 전략적 협력관계를 유지하며 다양한 금융분야에서 협업하고 있습니다. 과거 우리금융 인수 추진, 제3인터넷은행 설립 논의, 디지털 금융협력 등 주요사업에서 파트너십을 구축했습니다. 지난해 7월에는 토큰증권 발행 등 디지털 금융분야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하기도 했습니다. 지난달 SBI홀딩스는 사모펀드 어피니티가 갖고 있던 교보생명 지분 9.05%를 인수한데 이어 최근 교보생명의 재무적투자자(FI)들이 보유한 지분을 추가인수해 보유지분율을 20%까지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양사는 이번 거래를 통해 단순한 금융투자 관계를 넘어 미래 금융시장 변화에 공동대응하는 전략적 파트너십을 더욱 공고히 한다는 계획입니다. SBI그룹 관계자는 "교보생명과 오랜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향후 다양한 금융분야에서 전략적 협력관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디지털금융 시대에서 고객맞춤형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다"며 "SBI저축은행과 협력해 저축은행과 보험의 경계를 허물고 고객에 더욱 차별화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