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hemical 중화학

현대오일뱅크, 3분기 영업이익 352억...”‘나홀로’ 흑자 행진”

URL복사

Friday, October 30, 2020, 15:10:10

비 정유 사업 호조로 2분기 연속 흑자 기록

 

인더뉴스 이재형 기자ㅣ지난 분기에 흑자 전환에 성공한 현대오일뱅크가 3분기에도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 국내 정유사 실적 중 3분기에 흑자를 낸 건 현대오일뱅크가 유일합니다.

 

현대중공업지주 계열사인 현대오일뱅크는 올해 3분기에 매출 3조 3277억원, 영업이익 352억원의 실적(연결기준)을 달성했다고 30일 공시했습니다. 2분기 대비 매출은 7760억원, 영업이익은 220억원 늘은 겁니다.

 

사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비 정유 사업의 선전이 호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대케미칼은 혼합자일렌을 주로 생산하는데, 원료를 다변화해 원가경쟁력을 높여 361억원의 영업이익을 봤습니다.

 

카본블랙을 생산하는 현대오씨아이와 상업용 유류터미널인 현대오일터미널도 각각 62억원과 37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 정유 사업에서는 경제성 높은 초중질원유 투입 비율을 높이고 제품 생산을 최적화해 손실을 최소화했습니다. 

 

현대오일뱅크는 올 4분기에도 실적이 더 개선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중국 고순도 테레프탈산(PTA)공장 증설로 원재료인 파라자일렌 시황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또 카본블랙과 윤활기유 제품도 제품가격은 오르는 반면 공장 가동은 줄면서 마진이 양호하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정유사업에서도 실적 턴어라운드가 전망됩니다. 유가가 최근 완만하게 상승 중인데다 산업수요 회복, 동절기 난방수요 발생으로 정제마진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현대오일뱅크 관계자는 “업황 회복이 예상되는 만큼 설비가동률을 높이고, 초중질원유 투입비중을 상향하여 사업 수익성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내년 올레핀 석유화학공장인 HPC 프로젝트 완공을 기점으로 석화사업을 본격 확대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이재형 기자 silentrock@inthenews.co.kr


온실가스 배출량 최소 ‘그린철강’ 국내 기업 무관심

온실가스 배출량 최소 ‘그린철강’ 국내 기업 무관심

2024.03.18 17:16:24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국내 철강 제조 및 소비 기업이 '그린철강' 조달 목표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린철강이란 제조 공정에서 화석연료를 쓰지 않아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화한 철강으로 넷제로(탄소 순 배출량 0) 달성 로드맵 과정에서 중요한 품목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18일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이 철강 소비 기업 150곳과 50개 생산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한국 철강산업의 그린철강 전환 보고서'에 따르면 "그린철강에 대한 목표도 없고 향후 목표에 대한 계획도 없다"고 답한 비율이 소비 기업과 생산 기업에서 각각 90%와 58%로 집계 됐습니다. "목표를 세우지 않았지만, 향후 목표 수립을 고려하고 있다"는 응답 비율은 생산 기업에선 42%, 소비 기업에선 9%에 불과했습니다. 철강산업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7%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온실가스 다배출 산업'으로 꼽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2020년 기준, 9300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했습니다. 국가 온실가스 총 배출량의 14.2%가 철강산업에서 나온 셈입니다. 때문에 보고서는 "넷제로 달성을 위해서는 그린철강 도입이 필수적이며, 이를 외면하는 기업들의 넷제로 목표는 현실적인 변화 없이 목표만 제시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실제로 EU는 2026년부터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실시해 탄소 관세를 부과할 방침입니다. CBAM은 탄소배출량 규제가 강한 EU기업들이 불이익을 받는 것을 막겠다며 만든 무역 장벽의 일종입니다. 미국에서도 2022년 6월 발의된 청정경쟁법(The Clean Competition Act)이 추진 중이며 이 법안은 철강을 비롯한 수입제품에 대해 톤당 55달러의 탄소세를 부과하는 것을 골자로 합니다. 국내 철강기업들이 그린 철강에 소극적인 것은 '가격'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기업은 "비싼 가격 탓에 목표수립을 하지 않는다(62%)"는 응답이 가장 많았습니다. 생산 기업 역시 '원가 상승(31%)', '소비자 요구 없음(21%)' 순으로 소극적 대응의 원인을 가격에서 찾았습니다. 다만 생산기업과 소비기업 모두 ‘그린 철강이 미래 경쟁력에 있어 중요하다’고 인지를 하고 있었습니다. 5점 척도로 조사한 항목에서 소비기업은 평균 3.57점, 생산기업은 3.72점으로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보고서를 작성한 남나현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선임연구원은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그린 철강 수요 촉진의 열쇠"라며 "그린 철강 기준 확립과 공공조달 확대로 수요를 촉진하고, 그린 철강 생산시설 투자에 대한 재정 지원과 그린수소 및 재생에너지 확대로 생산기업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한국 철강산업의 그린철강 전환 보고서'는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홈페이지에서 내려 받을 수 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