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News Plus 뉴스+

4만 회원 보유한 ‘맥만동’에 물었다...LG홈브루 어때요?

URL복사

Thursday, July 18, 2019, 14:07:15

인터넷 카페 ‘맥주를 만드는 동호회’서 LG홈브루에 관심 多
“신기하다” 반응 가장 많아..캡슐국산화·가격은 아쉬워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LG전자가 멋진 시도를 했다고 봅니다.”

 

LG전자가 세계 최초로 캡슐형 수제맥주 제조기를 출시했다. 캡슐을 넣고, 2~3주만 기다리면 맥주가 뚝딱 완성된다. 취향에 따라 5가지(페일에일, IPA, 위트, 필스너, 스타우트)중 선택해서 만들면 된다.

 

LG홈브루에서 갓 완성된 맥주를 마셔보니, 생맥주의 신선함과 에일의 향긋함이 입안을 맴돌았다. LG전자는 이번 홈브루의 타깃층을 맥주 애호가들로 정했다. 캡슐형 수제맥주 제조기에 대한 ‘맥덕(맥주 덕후)’들의 반응은 어떨까? 직접 들어봤다.

 

18일 국내 4만 회원을 보유하고 있는 인터넷 카페 ‘맥주를 만드는 동호회(맥만동)’에서 LG홈브루에 대해 상당한 호기심을 보였다. 맥만동은 맥주를 직접 만들어서 마시는 동호회로 이른바 맥덕들이 모이는 곳이다. 서로 맥주 레시피를 공유하고, 모여서 함께 만들거나, 시음도 한다.

 

캡슐을 넣으면 수제맥주가 완성?...“신기하다” 반응 봇물

 

맥만동 회원들은 LG홈브루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앞서 맥만동 인터넷 카페엔 지난 1월 LG전자가 미국 CES에서 처음으로 공개한 LG홈브루 내용을 공유하면서 출시 전부터 뜨거운 관심을 나타냈다.

 

LG홈브루는 캡슐형 수제맥주 제조기로 캡슐을 넣고 2~3주만 기다리면 발효부터 숙성까지 자동화 시스템으로 맥주가 완성된다.

 

LG전자는 98년 전통의 세계적 몰트(Malt, 싹이 튼 보리나 밀로 만든 맥즙) 제조사인 영국 문톤스(Muntons)와 함께 프리미엄 원료를 담은 캡슐형 맥주원료 패키지를 공동개발했다.

 

 

세계 최초로 선보인 LG홈브루를 통해 향후 홈브루잉이 활성화되기를 바라는 기대도 엿보였다. 맥만동의 한 회원은 “저 장비로 홈브루잉이 붐업(Boom up)돼 국내 비슷한 장비가 만들어졌으면 한다”고 말했다.

 

◇ “국산 캡슐이었으면..용량과 가격은 아쉬워

 

LG전자의 수제맥주 제조기에 대한 호평도 있지만, 가격과 용량은 아쉽다는 반응도 나왔다. 우선, 맥덕들답게 완성된 수제맥주 용량이 5리터면 부족하다는 의견에 상당히 공감했다.

 

한 회원은 “2~3주를 기다려야 하는데, 5리터면 양이 부족하다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다른회원은 “한 번에 마시는 양이 5리터인데···”라며 적은 양에 아쉬움을 나타냈다.

 

맥덕들이 가장 아쉬워한 점은 ‘가격’이었다. 400만원에 달하는 LG홈브루 가격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 한 것. 아무리 맥덕이라도 400만원을 주고 수제맥주 제조기를 사기엔 부담스럽다는 반응이 많았다. 일부 회원들은 “(LG홈브루가)소수의 전유물이 되지 않을까 싶다”고 반응했다.

 

향후 LG전자에 바라는 의견도 눈에 띄었다. 현재 LG홈브루 캡슐은 영국 위스키 제조사 문톤스와 공동개발한 제품이다. 이에대해 복수의 맥만동 회원은 “국산 캡슐이었으면 좋겠다”는 반응에 이어 “호환캡슐이 추가로 개발됐으면 한다”는 바람을 나타냈다.

 

이어 “향후 10~20리터 벌크업(bulk up)될 경우 홈브루잉이 더 활성화되는 선순환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다”는 기대를 보였다.

 

한편, LG전자는 홈브루 출시 전 맥주 애호가를 대상으로 체험단을 모집했다. LG전자 관계자는 “제품 출시에 앞서 소비자 대상 체험단을 모집해 피드백을 받았다”면서 “맥주 애호가들 사이에서 LG홈브루에 대한 관심이 많고, 긍정적인 반응에 대해서는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권지영 기자 eileenkwon@inthenews.co.kr

배너

bhc·BBQ·교촌 ‘K치킨’ 왕좌의 게임…승부는 해외서 난다

bhc·BBQ·교촌 ‘K치킨’ 왕좌의 게임…승부는 해외서 난다

2025.04.25 08:27:5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bhc·BBQ·교촌치킨으로 대표되는 '국내 치킨 프렌차이즈 빅3' 간 경쟁이 뜨겁습니다. bhc가 2년 연속 업계 1위 수성에 성공했지만 BBQ가 매출 격차를 수백억원에서 수십억원까지 좁히며 바짝 추격했습니다. 교촌치킨은 2023년 저점을 찍고 지난해 반등하며 1위 탈환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이들은 지속적인 출점과 신제품 출시를 통한 이슈 선점으로 외형 성장을 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매출은 수년째 5000억원대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반전이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각사는 주력 제품을 앞세워 K치킨 영토 확장에 속도를 냅니다. 올해 업계의 판도 변화가 예상됩니다. bhc·BBQ 선두 경쟁 초접전..기름 튀는 치킨 시장 25일 업계에 따르면, bhc 등을 운영하는 다이닝브랜즈그룹은 지난해 별도 기준 매출이 5127억원으로 전년 대비 4% 감소했습니다. 회사 측은 매출 감소의 원인으로 할인 프로모션 확대를 꼽았습니다. 할인 판매 프로모션 비용이 매출에서 차감되는 방식으로 계상되면서 관련 비용이 1년 전보다 3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다이닝브랜즈그룹 관계자는 "배달앱을 포함한 프로모션 할인 비용이 전년 대비 238억원 증가했다"며 "프로모션 비용을 제외한 매출은 2023년과 유사한 수준"이라고 말했습니다. 업계 유일하게 3년 연속 매출 5000억원대를 유지한 점은 위안입니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1337억원으로 전년보다 11% 증가했습니다. bhc가 주춤한 사이 제너시스BBQ는 지난해 매출이 처음으로 5000억원을 넘기며 bhc를 턱밑까지 따라붙었습니다. 지난해 매출은 5061억원으로 전년 대비 6.2% 증가했습니다. 주요 상권에 위치한 청계광장점 등 직영점 대형 매장들이 손님들을 불러모았고 전체 매출이 늘었습니다. bhc와의 매출 격차는 2023년 591억원에서 지난해 61억원까지 좁혀졌습니다. 교촌에프앤비가 운영하는 교촌치킨은 그간의 부침을 뒤로하고 지난해 실적 회복의 신호탄을 쐈다는 평가입니다. 교촌치킨은 2021년 업계 첫 매출 5000억원 돌파, 2022년 당시 업계 최대 매출(5175억원) 달성 등 8년간 업계 1위의 면모를 보여줬지만 허니 시리즈 이후 히트작 부재, 가격 관련 부정적인 이미지 등이 겹치며 2023년 3위까지 떨어졌습니다. 지난해 교촌치킨 매출은 4808억원으로 1년 전보다 8% 증가했습니다. 매출 5000억원대 재진입은 실패했지만 지난해 2개 분기 연속 매출 1200억원대를 기록하며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가맹지역 본부 직영 전환에 따른 일회성 비용 약 229억원이 반영되면서 전년보다 38.6% 감소한 15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를 제외한 실질 영업이익은 381억원으로 전년 대비 53.6% 늘었다는 설명입니다. 3사는 지난해 출시한 신제품 인기가 올해 본격화하면 매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bhc가 지난해 신메뉴 '쏘마치'를 출시하고 배우 황정민을 모델로 발탁했습니다. 쏘마치는 3개월 만에 누적판매량 60만개를 돌파했습니다. 교촌치킨은 지난해 6월 2년 만의 야심작으로 '교촌옥수수'를 선보였습니다. 같은해 11월 BBQ가 출시한 '맵소디'는 45일 만에 37만마리가 팔렸습니다. 교촌에프앤비 관계자는 "통상 신메뉴를 론칭한 후 판매 비중이 전체 매출의 5~10% 내외면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한 것으로 보고 있다"며 "교촌옥수수도 론칭 초기에 충분히 자리매김했다고 내부적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정체된 국내 매출에서 탈피해야 하는 건 업계 공통 과제입니다. 3사 매출은 최근 5년간 3000억원대 중반~5000억원대 중반 사이에서 머물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치킨 3사는 최근 주요 제품 가격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2023년 4월과 12월 교촌치킨과 bhc가 가격을 올렸고 지난해 6월 BBQ도 인상에 동참했습니다. '서민 음식'으로 여겨지는 치킨값이 3만원에 육박하자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가 많아졌습니다. 실제 3사 대표 메뉴(뿌링클 콤보·황금올리브치킨·허니콤보)에 음료(코카콜라 1.25L)를 추가한 가격은 배달비(3000원)를 포함해 2만8500원~2만9000원에 이릅니다. '3만원 치킨' 맞은 편에는 대형마트 치킨, 냉동치킨 등 7000원~1만5000원의 가성비를 앞세운 치킨이 대체재로 부상했습니다. 배달 앱에서 주문 가능한 메뉴가 다양해진 점도 프렌차이즈 치킨의 경쟁력을 약화시킨 한 요인입니다. 박스권 탈출 해답은 ‘글로벌’...k치킨 영토 확장 본격 시동 국내 매출 흐름이 정체 양상을 보이는 만큼 치킨 프렌차이즈업계의 시선은 글로벌을 향하고 있습니다. 국내 사업은 수익구조 개선과 꾸준한 신제품 출시로 내실 강화에 주력하는 한편, K푸드 열풍에 맞춰 글로벌 시장에서 치킨 경쟁력을 극대화하겠다는 전략입니다. 해외에서 가장 빠르게 영향력을 넓히고 있는 곳은 BBQ입니다. 57개국에서 700여개의 매장을 운영 중입니다. 글로벌 전략의 핵심은 '프렌차이즈 종주국' 미국입니다. 올해 2월 유타 주에 매장을 오픈하며 미국 50개 주 중 31개 주에 진출했습니다. 최근에는 글로벌 리뷰 플랫폼 옐프가 선정한 '2025년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브랜드 탑 50' 순위에서 7위를 기록하며 브랜드 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 BBQ 관계자는 "BBQ는 미국에만 250개 이상의 매장이 있으며 이중 직영점 3개를 제외한 나머지가 모두 가맹점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2023년 BBQ의 미국 매출은 767억원인데 이는 법인 매출 기준이고 소비자한테 판매하는 포스(POS) 매출로 환산하면 약 3배인 2000억원 정도 수준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bhc는 지난해 기준 7개국에 총 29개 매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2년 말레이시아, 2023년 미국·싱가포르에 진출했고 지난해에는 태국과 캐나다, 대만에도 매장을 열었습니다. 특히 지난해 한 해 동안 태국에만 12개 매장을 오픈하며 공격적으로 나섰습니다. 올해는 일본과 필리핀 시장에 진출할 예정입니다. 해외에서 bhc 인기를 견인하는 건 단연 '뿌링클'입니다. bhc가 진출한 모든 국가에서 부동의 판매 1위를 기록 중입니다. 해외 누적 판매량은 100만개를 넘어섰습니다. 회사 측은 뿌링클이 현지에서 맛보기 어려운 독창적인 치킨으로 자리 잡았다고 분석했습니다. 뿌링클 덕에 bhc 해외 매출은 2023년과 지난해 각각 전년 대비 193%, 114% 신장했습니다. 교촌치킨도 대표 제품인 허니 시리즈를 중심으로 해외 시장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글로벌 매장 수는 2022년 67개에서 2023년 74개국, 지난해 84개국으로 늘었습니다. 이중 미국(직영·가맹)과 중국(직영·MF)을 제외한 말레이시아, 태국 등 6개국은 MF(마스터프랜차이즈) 형태로 현지에서 매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MF 사업은 해당 국가나 지역에 특정 사업자를 선정해 상표 및 개발 등에 대한 독점 사업권을 부여하는 방식입니다. 매장 개설에 따른 투자나 인건비 등이 발생하지 않고 빠르게 현지에 안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식품 기업들이 해외 진출 시 선택하고 있습니다. 교촌치킨은 무조건적으로 글로벌 매장 수를 확대하기보다 늦더라도 품질에 집중해 경쟁력을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입니다. 치킨프렌차이즈 업계 관계자는 "국내 시장은 이미 성숙 단계에 접어들어 신규 출점 여력이 제한적인 상황이라 해외 시장을 새로운 성장 돌파구로 삼고자 적극적인 글로벌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며 "한류 콘텐츠 인기와 함께 K푸드에 대한 글로벌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을 대표하는 치킨의 해외 진출 자체가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