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Stock 증권

코스온 "디자인셀, 이라크병원 컨소시엄과 헬스케어센터 설립 MOA"

URL복사

Friday, November 20, 2020, 10:11:09

 

인더뉴스 증권시장팀ㅣ 코스온은 자회사 디자인셀이 이라크병원컨소시엄, 한국이라크우호재단, 한강연세병원과 이라크 헬스케어센터 설립 및 운영을 위한 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MOA 체결식에는 김윤배 디자인셀 대표, 자심 마흐디(Dr. Jassim M. Mahdy) 이라크병원컨소시엄 박사, 김태성 한국이라크우호재단 이사장, 김기용 한강연세병원 대표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합의각서를 통해 이라크병원컨소시엄은 헬스케어센터를 설립하고, 디자인셀은 연구 인력 양성 및 센터 운영 지원을 맡는다. 특히 국내와 현지 유수 대학에 줄기세포 및 재생의학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해 현지에서 활동할 연구원과 의료진을 양성할 계획이다.

 

또한 현지에서 치료가 불가능한 난치병 환자와 국내에서 치료를 희망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메디투어(MEDI TOUR) 프로그램도 진행할 예정이다.

 

디자인셀 관계자는 “이라크병원컨소시엄의 자심 마흐디 박사는 현지에서 의사협회 부회장 및 심장외과협회 회장을 역임했다”고 말했다. 이어 “다양한 의료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만큼 중동 지역에 대한 투자 및 협약 이행이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코스온 관계자는 “이번 MOA를 통해 글로벌 바이오기업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첫 걸음을 뗐다”며 “재생의학의 불모지인 중동에 글로벌 K-바이오의 우수성을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강조했다.

 

한편 코스온은 지난달 29일 바이오 신사업 추진을 위해 디자인셀 지분 51.69%를 취득하기로 결정하며 최대 주주 지위를 확보했다. 3세대 줄기세포 연구기업 디자인셀은 기능성 유전자 탑재 줄기세포 개발에 성공해 치매 등 신경계 난치병뿐 아니라 녹내장, 관절염 등 다양한 질환에 적용 가능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증권시장팀 기자 stock@inthenews.co.kr

배너

GC녹십자, AI 머신러닝 기반 ‘혈우병 관절병증 예측 모델’ 개발

GC녹십자, AI 머신러닝 기반 ‘혈우병 관절병증 예측 모델’ 개발

2025.11.06 14:54:55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GC녹십자(대표 허은철)는 한국혈우재단과 서울대학교 약학대학과 함께 ‘혈우병 환자의 관절병증 예측 모델’ 개발에 착수했다고 6일 밝혔습니다. 회사에 따르면 이번 프로젝트는 지난 4월 GC녹십자의 제안으로 시작됐으며, 국내 기업이 혈우병 환자의 관절병증을 AI 기반으로 예측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은 처음입니다. 혈우병 환자는 혈액응고인자 부족으로 인해 작은 충격에도 관절 내 출혈이 잦고, 반복될 경우 만성 관절 손상으로 이어집니다. 세계혈우연맹(WFH)과 유럽 혈우병 치료 표준화 위원회(EHTSB)는 이를 예방하기 위해 주기적인 관절 건강 모니터링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예방 요법은 관절 출혈을 줄이는 핵심 치료법으로, 3세 이전에 시작할 경우 정상적인 관절 기능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제 국제 연구 결과에 따르면 3세 미만 소아 환자 중 예방 요법군의 관절병증 발생률은 7%에 불과했으나, 필요시 치료군은 45%에 달했습니다. 또한, 청소년 및 성인 환자 대상 연구에서도 예방 요법군이 연간 출혈 빈도와 삶의 질 지표에서 개선 효과를 보였습니다. 국내 중증 혈우병 환자의 약 70%가 관절병증을 겪고 있지만 예방 요법 시행률은 낮은 상황입니다. 이에 GC녹십자는 약 20년간 축적된 국내 혈우병 환자의 실사용 빅데이터(Real-World Big Data)에 AI 머신러닝 기술을 적용해 환자별 관절 손상 예측 모델을 개발할 계획입니다. 이 모델은 ‘그린모노’, ‘그린진에프’ 등 자사 혈우병 치료제를 사용하는 환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료진이 최적의 치료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설계됩니다. 회사는 내년까지 모델 개발을 완료하고, 하반기 중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에 투고할 예정입니다. 최봉규 GC녹십자 AID(AI&Data Science) 센터장은 “왑스-헤모(WAPPS-HEMO)에 이어 국내 혈우병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플랫폼을 지속 확장하고 있다”며 “AI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한 정밀 의료를 통해 환자 중심 치료 환경을 구현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GC녹십자는 2022년부터 개인 맞춤형 소프트웨어 ‘왑스-헤모(WAPPS-HEMO)’를 통해 환자의 약동학적 프로파일에 따른 최적 투여 용량과 간격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