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기본 분류

작년 성적표 받아든 보험업계, 생보 ‘울고’ 손보 ‘웃고’

URL복사

Tuesday, February 21, 2017, 06:02:00

生保, 당기순이익 2조 6933억원..전년 대비 8965억원 감소
孫保 ,손해율 개선 등으로 7529억원 상승한 3조 4681억원

[인더뉴스 정재혁 기자] 지난해 생명·손해보험회사들의 경영실적을 집계한 결과, 손보사가 당기순이익 면에서 생보사를 크게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생보는 영업손실이 확대된 반면, 손보는 손해율이 개선되는 등 수익이 늘어난 결과다.

금융감독원은 2016년 보험회사의 경영실적(잠정)을 20일 발표했다. 2016년 전체 보험사 당기순이익은 생보사의 보험영업손실 확대, 투자영업이익 정체 등으로 전년 대비 감소했다.

생보사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2조 6933억원으로 전년 3조 5898억원보다 8965억원(25%) 감소했다. 지급보험금 증가율(7.5%)이 수입보험료 증가율(2.2%)을 넘어 보험영업손실이 확대됐고, 육류담보대출 사고 충당금(2662억원) 등으로 투자영업이익은 정체됐기 때문이다.


손보사는 3조 4681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해 전년 2조 7152억원 대비 7529억원(27.7%) 상승했다. 렌트차량 제공 방식 변경(동종→동급) 등 자동차보험 제도 변경으로 손해율이 87.7%에서 83.1%로 개선, 자동차보험손실이 7382억원 감소했다. 또한 대출채권 증가에 따른 이자수익이 2433억원 증가했다.   

그러나 자동차보험 영업손익이 개선된 반면 장기보험의 영업손실은 2015년 2조 4712억원에서 2016년 2조 6901억원으로 손실이 2189억원 더 늘어났다. 이에 따라 손해율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보험영업 측면에서 보면, 2016년 보험사의 수입보험료는 총 195조 1557억원으로 전년(189조 5678억원) 대비 5조 5879억원(2.9%) 증가했다. 

생보사의 수입보험료는 119조 7941억원으로 전년 117조 2137억원 보다 2조 5804억원(2.2%) 늘었다. 손보사는 75조 3616억원의 수입보험료(보유보험료)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72조 3541억원) 대비 3조 75억원(4.2%) 증가한 수치다.

보험사 전체의 수익성은 악화됐다. 지난해 보험사의 총자산순이익률(ROA, 당기순이익을 총자산으로 나눈 값)은 0.62%로 전년(0.70%) 보다 0.08%p 하락했다. 자기자본순이익률(ROE, 자기자본을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값)도 전년 7.03% 대비 0.60% 하락한 6.43%로 생보사 중심으로 수익성이 악화됐다.

2016년 말 현재 보험회사 총자산은 1033조 5748억원을 기록, 전년말 950조 9561억원 대비 82조 6187억원(8.7%) 증가했다. 자기자본의 경우 98조 2718억원으로 전년말(93조 4248억원) 보다 4조 8470억원(5.2%) 늘었다. 이는 금리 하락으로 인한 매도가능증권 평가이익 증가와 당기순이익 시현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보험사의 운용자산이익률이 작년 9월말 기준 생보사가 3.96%, 손보사가 3.55%를 기록해 2년째 하락하는 추세”라며 “이런 상황에서 보험사들이 단기 수익 추구에 치중할 경우 자신 부실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보험회사는 금리 상승·소비심리 위축 등 불확실한 시장 상황과 IFRS17 시행에 대비해 리스크 관리·재무건전성 확보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정재혁 기자 jjh27@inthenews.co.kr

배너

전국 아파트 공급실적 27.7 ‘저조’…지역별 성적은?

전국 아파트 공급실적 27.7% ‘저조’…지역별 성적은?

2024.05.15 09:48:52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올해 상반기 중 전국 아파트 분양 공급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자잿값 인상과 지방 미분양 물량 증가, PF(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 우려 등으로 분양시장 분위기가 저하되며 저조한 공급실적으로 이어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14일 우리은행 자산관리컨설팅센터 조사에 따르면, 지난 5월 9일 기준 전국 아파트 분양물량의 계획 대비 공급실적(분양진도율)은 27.7%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초에 계획된 분양물량의 경우 33만5822가구였으나 9만2954가구만 분양되며 저조한 분양진도율을 기록했습니다. 지역별로 살펴볼 경우 광주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분양진도율이 절반을 넘기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광주의 경우 분양물량으로 계획했던 2만811가구 중 1만1889가구가 기분양되며 분양진도율 57.1%로 전국에서 계획물량 대비 공급실적이 좋은 지역으로 파악됐습니다. 제주(49.4%), 전북(45.6%), 강원(44.1%)은 분양진도율 40%를 넘기며 비교적 분양속도가 원만한 편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울산(39.5%), 인천(34.8%), 전남(33.1%), 대전(31.6%), 충남(31.1%), 경북(28.3%)은 전국 평균을 상회한 수치를 올렸습니다. 경기(26.3%), 경남(22.7%), 충북(21.1%), 부산(16.9%), 서울(13.6%), 대구(12.7%), 세종(0%)은 분양진도율이 전국 평균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분양진도율이 낮은 지역은 지역 내 미분양 적체 현상이 장기화 하는 등 공급과잉 우려가 있거나 기분양한 사업지의 청약경쟁률 저조, 지역내 청약대기 수요는 잔존하나 정비사업지별 시행∙시공자 간 공사비 갈등이 커지는 요인 등으로 공급시기 조율이 쉽지 않은 지역들이라고 우리은행 자산관리센터는 전했습니다. 실제 대구와 경기는 지난 3월 기준으로 미분양이 각각 9814가구와 8340가구 적체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서울은 올해 들어 1순위 청약경쟁률이 124.85대 1을 기록할 만큼 청약수요가 풍부하나 분양가 책정을 놓고 갈등하는 정비사업지가 많아 분양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고금리, PF 대출 냉각, 원자재 가격 인상, 미분양 적체 등 여러 요인이 고분양가, 지역별 청약 양극화, 아파트 분양(공급)진도율 저조 문제를 낳고 있다"며 "조만간 여름 분양 비수기가 도래할 예정이라 지역내 청약 대기수요가 상당하더라도 이런저런 요인으로 시원스런 아파트 공급을 단기 기대하기 제한적인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함 랩장은 "가을 분양 성수기가 도래하기 전까지 청약통장을 손에 들고 분양시장을 바라보는 수분양자의 청약 선택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