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LG유플러스[032640]는 통신장비 제조업체인 에릭슨과 AI(인공지능)를 활용해 네트워크 장애를 예측하는 기술을 시연했다고 23일 밝혔습니다.
이번에 시연한 기술은 기지국의 트래픽 혼잡 상황이 발생했을 때 NWDAF(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기능)를 통해 네트워크 슬라이스별 과부화를 실시간으로 인지·예측하고, 필요한 조치를 결정하는 차세대 설루션입니다.
NWDAF(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는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를 분석해 장애를 예측하고 필요한 조치를 자율적으로 시행하는 등 네트워크 자동화를 돕는 국제 이동통신 표준화 기구 3GPP의 표준기술 장비입니다.
특히 NWDAF는 차세대 통신의 주요 기술인 네트워크 슬라이스(하나의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독립된 가상 네트워크로 구축하는 기술) 품질 검증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활용하면 각 슬라이스가 개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독립적으로 구축되기에 때문에 트래픽 혼잡과 같은 상황에도 각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시연은 향후 인공지능에 의한 자율 조치까지 결합할 경우 ‘인간 운영자’의 개입 없이도 네트워크가 작동되는 자동 운영 설루션의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습니다.
LG유플러스와 에릭슨은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기반 기술로 네트워크 사용 패턴 및 체감 품질을 사업자가 지정한 핵심 성과 지표(KPI)에 기초해 보여주고, 음성 품질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사전에 예지할 수 있는 기술도 시연했습니다.
이상헌 LG유플러스 NW선행개발담당은 “이번 연구를 통해 고객의 불편 사항을 사전에 인지해 조치하는 운영 자동화 기술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고객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AI 기술을 네트워크 인프라에 적용하는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홍석원 에릭슨 CSS 기술총괄(상무)은 “3GPP 규격 기반이며, 네트워크 운용자동화 필수장비인 NWDAF의 네트워크 품질 분석, 예측 및 인사이트 제공 기술을 통해서 5G 네트워크 고도화 및 고객 경험 개선에 기여하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