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 “편의점 도시락이며, 안주 메뉴가 새롭게 출시되는데, 우리집 근처 편의점에선 매번 찾아보기 힘들어요.“
편의점 4만개 시대다. 골목의 동네슈퍼는 편의점으로 바뀐지 오래됐다. 특히 서울 도심에서는 한 건물에 여러 개의 편의점이 영업 중인 모습도 흔하게 볼 수 있다. 대형 유통사는 공격적으로 편의점 사업에 나서고 있어 출점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편의점 업계는 하루가 멀다 하고 신제품을 쏟아낸다. 제철 식재료를 담은 도시락부터, 혼술족을 위한 안주 메뉴에 이어 최근 1인용 스테이크도 선보였다. 하지만, 모든 점포에서 신제품을 판매하는 것은 아니다. 유독 내가 찾는 편의점에만 없다고 느껴지는 이유가 뭘까?
전국에서 운영되는 편의점은 크게 직영점과 가맹점으로 나뉜다. 직영점은 편의점 본사에서 직접 운영하는 점포로 가맹점을 늘리기 위한 홍보용으로 활용된다. 직영점은 신제품에 대한 고객 반응을 볼 수 있는 ‘바로미터‘ 역할을 한다.
이런 이유로 직영점의 매장은 꽤 넓은 편이며, 제품도 품목별로 다양하게 판매한다. 본사에서 파견나온 매니저가 매장을 운영하며, 본사에서 신제품을 출시하면, 가장 먼저 직영점에 진열된다. 편의점 매니아들 사이에선 직영점 위치를 공유하기도 한다.
하지만, 각 사별로 전국 직영점 수는 많지 않다. 전체 점포의 1% 수준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 업계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 CU와 GS25는 각각 1만 2735개과 1만 2635개의 점포수를 기록하고 있다. 여기서 직영점 수는 130~150개 가량 되는 셈이다.
직영점을 제외한 대부분의 편의점은 가맹점 형태로 운영된다. 이 경우 가맹점주가 편의점 주인이면서 매니저 역할을 한다. 가맹점은 기본적으로 해당 지역의 본사 매니저와 소통하면서 편의점을 운영하지만, 제품 발주는 가맹점주가 직접 해야 한다.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도시락, 삼각김밥, 과자, 음료, 주류 등의 구성은 비슷하지만, 세부적으로 제품 종류는 각 점포별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같은 브랜드여도 A점포의 경우 '명란 삼각김밥'을 판매하지만, B점포는 판매하지 않을 수 있다는 얘기다.
점포는 방문하는 고객들의 연령, 인기제품, 지역 특성 등을 반영해 제품을 구성한다. 대학가 인근에 있는 편의점과 대규모 아파트 단지 안에 있는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제품의 종류가 다른 이유도 이 때문이다.
여기에 각 점포의 가맹점주 성향이 반영되기도 한다. 편의점마다 잘 팔리는 인기 제품은 거의 대부분의 점포에서 판매하고 있지만, 새로 나온 제품은 가맹점주의 발주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엄밀히 말하면, 같은 브랜드의 편의점이더라도 판매되는 제품이 똑같지는 않다.
이 때문에 SNS상에서 인기 제품을 판매하는 편의점의 위치를 공유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GS25에서 판매한 포띠뽀 쌀국수가 품절대란을 겪자 SNS상에 수량이 남아 있는 편의점의 정보를공유하는 일이 생기기도 했다.
각 점포의 판매 제품 불균형에 따른 업계의 고민도 있다. 편의점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신제품을 내놓지만, 점포별로 발빠르게 대응하는 곳과 그렇지 않은 점포로 나뉘기 때문이다. 또 트렌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점포는 매출 하락으로 이어진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가끔 신제품이 판매되지 않는다는 내용의 불만이 들어오기도 한다”면서도 “가맹점은 점주님들의 발주에 따라 상품이 진열되는데, 본사에서 인기 제품이라고 하더라도 발주 하지 않은 상품을 권유하기에 민감한 부분이 있다“고 토로했다.
이와 관련, A편의점 가맹점주는 “매장을 운영하는데, 제품 발주 외에도 유통기한 체크, 재고 수량 확인, 인력 관리 등 신경쓸 게 엄청 많다”며 “잘팔리는 상품을 위주로 갖다 놓는데, 워낙 출시되는 신제품 종류가 많아서 그때 그때 반영하지 못 하는 건 사실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