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 오늘(9일) 전국에서 ‘제 572돌 한글날 기념식’이 열렸습니다. 세종대왕의 주도로 1443년에 완성된 훈민정음(한글)은 1446년에 반포된 후 600년 가까이 쓰이고 있는 자랑스러운 우리의 문자입니다.
만든 사람과 창제 원리가 명확하게 밝혀져 있는 유일한 문자라거나, 세계의 언어학자들이 한글을 향해 “가장 과학적인 문자, 문자의 사치”라고 표현할 정도로 한글은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문자라는 건 익히 알려진 사실.
이와 관련해 개인적으로도 뚜렷한 기억이 있습니다. 지금으로부터 약 20년 전 미국에 있을 때 외국인 친구에게 한글 읽는 법을 가르쳐 본 적이 있는데요. 자음과 모음의 표를 그려주고, 1시간정도 투자를 하니 더듬더듬 읽어 내려가는 걸 지켜볼 수 있었습니다.
물론(?), 그 친구는 “원더풀, 뷰티풀, 그레잇, 엑셀런트” 등의 감탄사를 더 많이 쏟아내기는 했지만요. ‘우리 한글이 얼마나 우수한지 알겠지?’ 굳이 말은 하지 않았는데, 충분히 그런 느낌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표정을 지었던 기억이 선합니다.
(한국)대학에서 국문학을 배우고 있었던 저는 약간의 불만 혹은 짜증스러움도 있었습니다. ‘P와 F, L과 R, B와 V’ 등의 발음은 도무지 구분이 되지 않는다는 것. 입으로 소리내는 건 말할 것도 없고, 귀로 인식을 하는 데에도 적지 않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한국에서는 늘 P·F는 ‘ㅍ’으로, L·R은 ‘ㄹ’로, B·V는 ‘ㅂ’으로 표기하고 발음을 해왔으니 구별해낼 재간이 없었던 겁니다. ‘무슨 방법이 없을까?’ 고민해본 적이 있는데요. 금새 포기한 걸로 기억합니다. ‘먹고 사는 데 큰 지장이 있는 건 아니잖아’하는 마음이 범인인 것 같습니다.
그렇게 시간은 흐르고 흘러 2018년 10월 9일 한글날을 맞이했습니다. 정확한 반포일이 언제인지도 찾아보고, 정확히 밝혀져 있다는 ‘창제의 원리’도 꼼꼼히 읽어보는데, 그 중에서 ‘가획의 원리’라는 게 머릿속에 콕 박혔습니다. ‘이거네!’
가획의 원리라는 건 간단합니다. 기본 글자에 ‘획(선·점)’만 더하면 새로운 글자를 만들 수 있다는 겁니다. 이를 테면 ‘ㄱ’에 획을 하나 더하면 ‘ㅋ’이 되고, ‘ㅅ’에 획을 더하면 ‘ㅈ’이 되는 식입니다.(‘ㅣ’에 ‘ㆍ(아래 아)’를 더하면 ‘ㅏ’가 되는데, 이를 합용이라고 하는데, 이 또한 가획의 원리가 적용돼 있습니다.)
이런 방식을 적용하면 ‘P·F, L·R은 B·V’를 구분할 수 있는 새로운 문자를 만들 수 있습니다(위의 표 참조). 창제의 기본 원리를 적용하는 거니 큰 혼란을 초래할 일 없이 한글의 우수성을 더욱 잘 알릴 수 있는 계기로도 삼을 수 있겠다 싶습니다.
세상은 늘 변화합니다. 이에 맞춰서 언어도 변화·발전하는 게 자연스럽습니다. 한글은 그 어느 문자보다도 ‘자유로움’을 추구하는 문자입니다. 창제자이신 세종대왕님도 백성이 편안하고 자유롭게 사용하기를 바라는 마음에 이 문자를 만드셨습니다.
‘한글에게 변화의 자유를!’
▶[Commemoration of Hangeul Day] You have to make new characters using the 'principle of catchphr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