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Insight 인사이트

[문정태의 타각打刻] 한글에게 변화의 자유를!

URL복사

Tuesday, October 09, 2018, 19:10:50

[한글날 기념] ‘가획의 원리’를 활용해서 새로운 문자를 만들어 봐야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 오늘(9일) 전국에서 ‘제 572돌 한글날 기념식’이 열렸습니다. 세종대왕의 주도로 1443년에 완성된 훈민정음(한글)은 1446년에 반포된 후 600년 가까이 쓰이고 있는 자랑스러운 우리의 문자입니다.

 

만든 사람과 창제 원리가 명확하게 밝혀져 있는 유일한 문자라거나, 세계의 언어학자들이 한글을 향해 “가장 과학적인 문자, 문자의 사치”라고 표현할 정도로 한글은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문자라는 건 익히 알려진 사실.

 

이와 관련해 개인적으로도 뚜렷한 기억이 있습니다. 지금으로부터 약 20년 전 미국에 있을 때 외국인 친구에게 한글 읽는 법을 가르쳐 본 적이 있는데요. 자음과 모음의 표를 그려주고, 1시간정도 투자를 하니 더듬더듬 읽어 내려가는 걸 지켜볼 수 있었습니다.

 

물론(?), 그 친구는 “원더풀, 뷰티풀, 그레잇, 엑셀런트” 등의 감탄사를 더 많이 쏟아내기는 했지만요. ‘우리 한글이 얼마나 우수한지 알겠지?’ 굳이 말은 하지 않았는데, 충분히 그런 느낌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표정을 지었던 기억이 선합니다.

 

(한국)대학에서 국문학을 배우고 있었던 저는 약간의 불만 혹은 짜증스러움도 있었습니다. ‘P와 F, L과 R, B와 V’ 등의 발음은 도무지 구분이 되지 않는다는 것. 입으로 소리내는 건 말할 것도 없고, 귀로 인식을 하는 데에도 적지 않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한국에서는 늘 P·F는 ‘ㅍ’으로, L·R은 ‘ㄹ’로, B·V는 ‘ㅂ’으로 표기하고 발음을 해왔으니 구별해낼 재간이 없었던 겁니다. ‘무슨 방법이 없을까?’ 고민해본 적이 있는데요. 금새 포기한 걸로 기억합니다. ‘먹고 사는 데 큰 지장이 있는 건 아니잖아’하는 마음이 범인인 것 같습니다.

 

그렇게 시간은 흐르고 흘러 2018년 10월 9일 한글날을 맞이했습니다. 정확한 반포일이 언제인지도 찾아보고, 정확히 밝혀져 있다는 ‘창제의 원리’도 꼼꼼히 읽어보는데, 그 중에서 ‘가획의 원리’라는 게 머릿속에 콕 박혔습니다. ‘이거네!’

 

가획의 원리라는 건 간단합니다. 기본 글자에 ‘획(선·점)’만 더하면 새로운 글자를 만들 수 있다는 겁니다. 이를 테면 ‘ㄱ’에 획을 하나 더하면 ‘ㅋ’이 되고, ‘ㅅ’에 획을 더하면 ‘ㅈ’이 되는 식입니다.(‘ㅣ’에 ‘ㆍ(아래 아)’를 더하면 ‘ㅏ’가 되는데, 이를 합용이라고 하는데, 이 또한 가획의 원리가 적용돼 있습니다.)

 

이런 방식을 적용하면 ‘P·F, L·R은 B·V’를 구분할 수 있는 새로운 문자를 만들 수 있습니다(위의 표 참조). 창제의 기본 원리를 적용하는 거니 큰 혼란을 초래할 일 없이 한글의 우수성을 더욱 잘 알릴 수 있는 계기로도 삼을 수 있겠다 싶습니다.

 

세상은 늘 변화합니다. 이에 맞춰서 언어도 변화·발전하는 게 자연스럽습니다. 한글은 그 어느 문자보다도 ‘자유로움’을 추구하는 문자입니다. 창제자이신 세종대왕님도 백성이 편안하고 자유롭게 사용하기를 바라는 마음에 이 문자를 만드셨습니다.

 

‘한글에게 변화의 자유를!’

 

▶[Commemoration of Hangeul Day] You have to make new characters using the 'principle of catchphrase'.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문정태 기자 hopem1@inthenews.co.kr

배너

삼성바이오, 미국 제약사와 1.8조 계약…연 수주액 5조 돌파

삼성바이오, 미국 제약사와 1.8조 계약…연 수주액 5조 돌파

2025.09.09 09:21:40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 존 림)는 9일 공시를 통해 미국 소재 제약사와 12억9464만달러(약 1조8001억원) 규모의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계약은 창립 이래 두 번째 규모로 지난 1월 유럽 제약사와 맺은 약 2조원 규모 계약에 이은 초대형 수주 계약입니다. 계약 기간은 2029년 12월 31일까지이며 고객사 및 제품명은 비밀유지 조항에 따라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로써 올해 누적 수주 금액 5조2435억원을 기록하며 8개월 만에 전년도 수주 금액(5조4035억원)에 육박하는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창립 이래 누적 수주 총액도 200억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이 회사는 글로벌 경기 둔화, 관세 영향 등 바이오 업계 전반의 경영 불확실성이 날로 커지는 상황에서 올해만 미국, 유럽, 아시아 등 글로벌 전역에서 다수의 신규 계약을 확보하는 등 고객 기반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증가하는 바이오의약품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생산능력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5공장은 1~4공장의 최적 사례를 집약한 18만L 규모 생산공장으로 지난 4월 본격 가동에 들어갔습니다. 이를 통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총 78만4000L의 세계 최대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됐습니다. 품질 경쟁력 측면에서도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 글로벌 규제기관으로부터 올해 9월 기준 총 382건의 제조 승인을 획득했습니다. 승인 건수는 생산능력 확대에 따라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규제기관 실사 통과율도 업계 최고 수준을 유지 중입니다. 한편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1월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 3월 디캣 위크, 6월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 등에서 다양한 고객사들을 만났으며 7월 '인터펙스 위크 도쿄 2025'에도 참가해습니다. 이어 오는 10월 개최되는 바이오재팬 2025 및 CPHI 월드와이드 등에서도 글로벌 고객과의 접점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