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ulture 문화

[정은정의 음식추억] 아이들은 송편을 먹지 않는다

URL복사

Monday, September 20, 2021, 20:09:39

추석이면 떠오르는 송편 빚던 기억
점점 멀어지는 차례상 음식들
돌아가신 엄마, 명절 상차리며 어떤 생각 했을까

 

정은정 농촌사회학자ㅣ명절이 부담스러워지면서 어른이 된다. 의무는 많아지기 때문이다. 어릴 때는 학교에 가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도 명절이 좋았다. 이름 붙은 날인만큼 오랜만에 만난 친척들이 동전이 아닌 지폐로 돈을 찔러 주어 기다릴만한 날이었다. 여느 때와 달리 호주머니가 열리는 일이 없는 엄마도 명절 때는 그래도 양말이라도 한 켤레 새로 사주거나 가끔 새 옷도 얻어 입을 수 있었다. 나처럼 형제자매 많은 집 막내들은 옷을 물려 입기만 했기 때문이다.

 

추석이면 떠오르는 송편 빚던 기억

 

우리 집은 추석 전에 상당히 부산스러웠다. 가장 먼저 준비하는 것은 유과였다. 삭힌 찹쌀 반죽에 ‘꽈리’를 일게 해야 하는데 그때 아버지의 힘이 필요했다. 차진 찹쌀 반죽을 다듬이 방망이로 힘차게 돌리면 꽈리가 퐁퐁 터졌다. 그렇게 해야만 공기층을 만들어져 튀겼을 때 바삭해진다. 꽈리를 튼 반죽덩어리를 잘라 그늘에서 며칠 단단하게 말린 뒤 기름에 튀겨내고, 조청을 발라 깨나 쌀튀밥을 붙이는 손 많이 가는 과자를 만들면 추석 입구였다.

 

송편도 많이 만들었다. 송편 소로는 깨와 밤, 동부콩과 검정콩이었다. 깨와 흑설탕을 함께 섞은 깨송편은 언제나 인기가 높았고 늘 모자랐다. 떡을 쪄놓으면 말간 떡살 속에 까만 깨가 보이기 때문에 골라 먹고 있으면 ‘너만 입이냐’며 야단도 맞았다. 생밤을 쪼개 송편 소로 넣는 밤송편은 어린 우리가 만들었다. 가루로 만든 소는 떡을 빚다가 터져버리기 일쑤여서다. 출신지가 제각각인 숙모들이 빚는 송편 모양도 제각각인 데다 어린 우리가 대충 뭉쳐만 놓은 송편까지 합쳐져 오합지졸 모양새였다.

 

추석 음식 중에 유과를 먼저 만들고 추석 전날 송편을 빚은 다음에는 오후 늦게 전을 부치기 시작한다. 지금처럼 냉장고가 크지 않아 미리 부쳐놓으면 쉬어버리기 때문에 가급적 늦게 부쳤다. 해산물이 부족한 충북 내륙지역에서 귀한 전거리는 ‘간납’이다. 동네 발음으로는 ‘갈랍’이라고도 했는데 쇠 간이나 허파도 지졌고, ‘육갈랍’이라고 부르는 동그랑땡이 최고 인기였다. 이름에 ‘육’이 붙었으니 고기가 주인공이어야 하지만 정육점에서 갈아온 고기는 두부와 채소를 엉기도록 하는 접착제 역할 정도였다. 그래도 좋았다.

 

어린애 입맛에 쇠간이나 염통전은 엽기음식이었고, 동그랑땡은 잔손이 많이 가서 명절이나 제사 때 말고는 먹을 기회가 없어서다. 그렇게 부쳐놓은 육간납을 집어먹으면 금세 사라져 버리니 엄마는 차례 지내기 전에 먼저 먹어서는 안 된다는 철칙을 세웠다.

 

명분상 조상님 먼저 드셔야 한다는 논리였지만, 그렇다면 맛없는 콩송편만큼은 맘껏 먹어도 된다 했을까. 봉제사와 명절, 여기에 한식과 시제 묘제사까지 챙기는 집에서 나고 자라 내가 겪은 명절 풍경은 흡사 드라마 ‘전원일기’ 풍이었고 철모를 때는 은근한 자부심이기도 했다. 어쩐지 뼈대 있는 가문 같은 느낌이었달까?

 

전숙희의 ‘설’은 교과서에서도 실렸던 수필이다. 이 수필에 나오는 명절 준비 풍경이 우리 집 비슷해 흐뭇하게 읽기도 했다.

 

“식료품상에는 다 만든 강정이 쌓여있고, 다 갈아 놓은 녹두도 있다. 아니, 빈대떡도 얼마든지 살 수 있다. 흰 떡도 뽑을 필요가 없이, 쌀만 일어 가지고 가면 금방 떡가래를 찾아올 수도 있다. 세상이 모두 기계화되었으니, 필요한 것은 돈과 시간뿐이요, 솜씨나 노력이나 정성이나 사랑이 아니다. 참으로 편리한 세상이 되었다. 그러나 그 '편리'속에 짙은 향수가 겹치는 것은 무슨 까닭일까? 우리는 정작 귀한 것을 잃어 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그런데 당시 30대의 존경하던 국어 선생님이 이 수필을 비판했다. 먹는 사람에게나 정성이지 만드는 사람 입장이 없는 글이라는 것이다. 이화여전까지 나온 1919년생 엘리트 여성의 시대정신이 이렇게 고루했다는 점, 시대를 이끄는 것이 아니라 가두는 글을 교과서에 실은 이들은 직접 명절 음식을 만들지 않는 소위 ‘아재’들이었을 것이라는 신랄한 비판이었다.

 

갈수록 멀어지는 명절 차례상

 

그때 처음으로 엄마에게 명절이란 무엇이었을지 생각해 보았다. 돈도 벌어야 하고 자식은 넷이나 되는 우리 엄마가 명절이 좋았을 리가 없었을 것이다. 까탈스러운 시어머니와 조상봉양을 귀하게 여기는 아버지 때문에 의무수행을 했을 뿐이다. 할머니 돌아가시고 엄마는 더 이상 유과와 같은 손 많이 가는 음식들은 만들지 않았다. 구색 갖추느라 사 온 강정에 아무도 손도 대지 않았다. 자식들도 머리 굵어져 명절 음식에 열광하지 않았다.

 

점점 더 차례상에서 빼는 음식들이 많아졌다. 가장 먼저 사라진 것은 삶은 계란이다. 내륙의 차례상에는 삶은 계란을 창칼로 모양을 내서 올려놓았는데 명절에 누가 삶은 계란을 먹겠는가. 두부를 얇게 지진 계란지단에 돌돌 마는 두부알쌈도 더 이상 올리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김을 없앴다. 물산 귀하고 유통이 발달하지 않았을 때 김은 매우 귀한 식료여서 올려놓았겠지만 가장 싸고 흔한 반찬을 굳이 올릴 이유가 없다.

 

아무도 먹지 않으니 약과와 옥춘사탕도 빼고 대신 선물로 들어온 제과점 화과자가 올라가기도 했다. 어차피 산 사람 먹자고 만드는 것이니 양념도 먹는 사람 입이 즐거워야 한다는 기조로 바뀌었다. ‘귀신처럼’ 알고 올 테니 고기 산적에 마늘도 넣었다. 빨간 사과는 올리면서 고춧가루는 왜 안 쓰냐며 차례상에 올라가는 물김치도 빨갛게 만들었다.

 

차례상 차리던 엄마는 어떤 생각을 했을까?

 

봉제사와 명절 차례를 30년 넘게 감당했던 엄마가 돌아가시고 엄마도 명절 의무에서 해방되었다. 술냄새도 맡지 못하던 양반이 돌아가시니 비로소 술잔을 받고 쉴 수 있었다. 커피도 못 드시고, 그나마 드실 줄 알던 오렌지 맛 청량음료를 술 대신 올리기도 한다. 게다가 엄마가 좋아하던 음식이 뭔지 나는 잘 모른다. 물어본 적이 없어서다.

 

엄마의 밥상은 생존을 위한 밥상이었고 명절 음식에 엄마의 기호가 들어갔을 리도 없다. 냉장고에 굴러다니다 말라비틀어진 전을 넣고 끓인 찌개가 명절 한참 지나 밥상에 올라오기도 했다. 그 눅진함에 질겁을 하면서 숟가락 한 번 담그지 않았다. 그 전찌개를 끝까지 먹는 사람도 엄마였다. 각색전을 예쁘게 배열해 끓여 먹는 궁중요리 ‘신선로’와는 차원이 다른 잡탕전찌개가 명절 음식의 종착지였고, 아름다운 추억도 아니다.

 

이제 나도 명절 음식을 따로 만들지 않는다. 차례나 제사도 종교 행사로 대신한다. 아이들은 깨송편이든 콩송편이든 먹지 않는다. 팔순의 아버지가 손주들에게 쥐여주는 곶감도 아이들은 접시에 다시 올려놓는다.

 

이제 명절에는 외식을 하거나 생선회를 떠 와서 먹곤 한다. 그래도 아쉬워서 송편 한 개를 집어 들었더니, 엇! 깨송편을 밀치고 콩송편을 집어 들고 있다. 콩송편을 집어 드는 순간 내가 그 시절의 엄마보다 더 나이가 들었다는 걸 문득 깨달았다. 어른이 되었으니 명절은 조금 부담스럽고 곁에 없는 사람들만 더 생각나는 추석이다.

 

■ 정은정 필자

 

농촌사회학 연구자. <대한민국치킨展>, <아스팔트 위에 씨앗을뿌리다 – 백남기 농민 투쟁 기록>을 썼다. 농업과 먹거리, 자영업 문제를 주제로 일간지에 칼럼을 연재 중이며 국방일보에서 20대 청년에게 음식과 사람의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KBS1라디오와 CBS라디오, 팟캐스트 ‘그것은 알기 싫다’에 나가 농촌이야기를 전하는 일도 겸하고 있다. 그림책 <그렇게 치킨이 된다>와 공저로 <질적연구자 좌충우돌기>, <팬데믹시대, 한국의 길>이 있고 <한국농업기술사전>에 ‘양돈’과 ‘양계’편의 편자로 참여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편집국 기자 itnno1@inthenews.co.kr

배너

‘S21’까지 갤럭시 AI 업데이트…삼성이 그리는 갤럭시의 미래는?

‘S21’까지 갤럭시 AI 업데이트…삼성이 그리는 갤럭시의 미래는?

2024.05.17 06:00:00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삼성전자[005930]의 신형 스마트폰 '갤럭시 S24'에 탑재된 온디바이스 AI '갤럭시 AI'가 갤럭시 S21 시리즈에도 부분적으로 적용되며 소비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처음 갤럭시 AI를 기존 시리즈에도 업데이트하겠다고 발표했을 때는 갤럭시 S23 시리즈 등 작년에 출시된 모델들로 국한시켰던 때와는 사뭇 달라진 상황입니다. 삼성전자는 "연내 1억대 이상의 갤럭시 기기에 갤럭시 AI를 탑재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점차 확대되는 갤럭시 AI 삼성전자가 올해 초 출시한 신형 갤럭시 시리즈 갤럭시 S24는 사전판매량 121만대를 기록하며 역대 갤럭시 S 시리즈 중 최고 기록을 세웠습니다. 출시 후에는 한 달만에 국내 판매량 100만대를 돌파했으며 글로벌 판매량으로는 3주만에 940만대 넘게 판매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러한 갤럭시 S24의 열풍에는 이번 제품에 탑재된 갤럭시 AI가 그 요인으로 꼽힙니다. 업계 관계자는 "실시간 통역, 서클 투 서치 등 갤럭시 S24에 탑재된 생성형 AI 기술에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였고 판매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S24 판매를 시작한지 한 달만인 지난 2월 22일, 갤럭시 AI를 갤럭시 S24 이전 모델들에도 확대 적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처음에는 ▲'갤럭시 S23 시리즈(S23·S23+·S23 울트라)' ▲'갤럭시 S23 FE' ▲'갤럭시 Z 폴드5' ▲'갤럭시 Z 플립5' ▲'갤럭시 탭 S9 시리즈(S9·S9+·S9 울트라)' 등 작년에 출시한 모델들에만 적용하겠다고 발표했으나 점차 그 범위를 늘려 현재는 갤럭시 S21 시리즈에까지 적용되고 있습니다. 지난 3월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도 이와 관련된 질문이 나왔습니다. 질의응답 시간에 한 주주는 "갤럭시 S23과 S22 시리즈는 하드웨어에서 큰 차이가 없는데 왜 S23까지만 갤럭시 AI를 업데이트해주는가"라고 질문했습니다. 이에 대해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장은 "이전 모델에 대해서는 많은 검토를 하고 있다"며 당시에는 확답을 내리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주주총회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갤럭시 AI의 업데이트 범위는 점차 넓어져 현재 S21 시리즈까지 당도했습니다. 갤럭시 AI…갤럭시 S24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갤럭시 AI는 갤럭시 S24 시리즈의 판매를 견인한 주요 기능입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갤럭시 AI를 기존 시리즈에까지 업데이트해주면 '갤럭시 S24를 구매할 이유가 없어지는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를 내비치기도 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 관계자는 "해당 우려에 대한 의견이 분명 존재했다"라며 "갤럭시 AI를 갤럭시 S24 시리즈만의 고유 특징으로 남기기보다는 기존 이용자들이 갤럭시 AI를 사용해볼 수 있도록 하는 방향이 장기적으로 더 의미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서 "자세한 지표는 밝힐 수 없지만 기존 시리즈에 갤럭시 AI를 확장 업데이트한 것이 갤럭시 S24 판매에 영향을 끼쳤다고 보긴 어렵다"고 덧붙였습니다. 폴더블폰, 웨어러블 기기…차기 전략은 하드웨어 삼성전자는 7월 파리에서 열릴 예정인 '갤럭시 언팩(Galaxy Unpacked)' 행사를 통해 차기 제품 라인업과 방향성을 공개할 계획입니다. 삼성전자는 이번 갤럭시 언팩 행사에서 '갤럭시 Z폴드6·플립6' 시리즈를 공개하며 세계 최초 폴더블 AI 스마트폰 타이틀을 가져갈 것으로 보입니다. 기존 갤럭시 AI의 기능은 물론, 폴더플폰이라는 하드웨어 특성에 맞춘 새로운 AI 기능도 탑재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웨어러블 기기 신제품 공개도 관심을 모읍니다. 스마트워치 '갤럭시 워치7'과 반지처럼 사용할 수 있는 '갤럭시링'이 대표적입니다. 갤럭시 워치7는 삼성전자가 파운드리 시장 확보를 내세우며 개발 및 양산에 돌입한 3㎚ 2세대 공정 양산 신형 AP '엑시노스 W1000'을 탑재합니다. 여기에 수면무호흡증 감지, AI를 통한 혈당 모니터링 기능도 추가됩니다. 특히, 갤럭시링은 기존의 웨어러블 기기와 전혀 다른 형태의 제품인 만큼 행사의 중심에 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갤럭시링은 건강 및 수면 측정 기능을 탑재한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심박수, 혈압, 산소포화도, 수면 품질 등을 측정하고 데이터를 분석·관리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지난 3월, 갤럭시 S24 시리즈의 글로벌 흥행으로 5개월만에 세계 스마트폰 점유율 20%를 회복하며 1위를 탈환했습니다. 이번 갤럭시 언팩 행사를 통해 시장 1위의 자리를 견고히 하고 시장 선점 효과를 이어갈 계획입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갤럭시 AI로 소프트웨어 부문에서 한 단계 발전을 선보였다"라며 "하드웨어 쪽에서 많은 변화를 줄 것"이라 예고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