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ight 인사이트

1년 만에 삼성생명 名人 등극, "제 비결은요…"

Tuesday, August 05, 2014, 00:08:29 크게보기

피아니스트에서 보험설계사로..삼성생명 오정지점 최영자 팀장

[인더뉴스 이은정 인턴기자] 평소 남는 시간을 알차게 보내고 싶은 마음에 제 발로 회사를 찾아갔죠. 1년 만에 명인(名人)이 될 줄은 꿈에도 몰랐어요.(웃음)”

 

이번 인터뷰의 주인공은 삼성생명 오정지점 최영자 팀장이. 국내 대학교에서 피아노를 전공한 그는 러시아에서 같은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땄고, 박사학위를 수료했다. 

 

한국에서는 간간이 대학에 출강을 하면서 대학생들에게도 외국에서 배워온 음악적 지식과 소양을 알려줬다. 하지만, 문제는 오전 시간이었다.

 

활동적인 성격 때문인지 남편과 아이들을 보내고 오후에 일을 보러 나가기 전까지 비는 시간에 무료함을 느꼈어요. 시간을 더 알차게 보내고 싶은 마음이 들었죠. 그래서, 설계사의 길로 직접 찾아가게 됐습니다.

 

오랜 시간 동안 공부했던 피아노를 버리고(?), 설계사 일을 시작한지 1. 그는 삼성생명 FC 의 최고 등급인 명인을 꿰찼다. 그 후로도 마찬가지. 설계사 일을 시작한 후 5년 동안 물 만난 물고기나 다름없었다고.

 

비결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돌아온 답은 사람을 좋아한다는 것. 함께 얘기하며 어울리는 걸 좋아하는 자신의 성격은 기본. 여기에 보험이 가지고 있는 본질을 이해한 게 명인이라는 훈장을 받게 된 원동력이 됐다고 스스로 분석하고 있다.

 

가끔 제가 이 길로 들어선 것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는 지인들도 있었어요. 하지만 경제적인 이유가 다가 아니라는 것. 마음의 여유가 없다면 무용지물이 됩니다. 보험은 함께 모은 자금으로 어려운 고객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이 제겐 큰 의미로 다가왔습니다.”

 

명인이 된 데에는 봉사의 힘도 컸다고. “설계사 일을 시작하면서 지인들이 어떤 시선을 보낼지 걱정도 했어요. 하지만 뜻밖에도 평소에 제가 봉사하던 모습을 봐오던 지인들이 나도 한 번 설계해 달라며 먼저 손을 내밀어 주더라고요.”

 

긍정의 에너지가 충만한 그도 힘이 들 때가 없지는 않았다. 간혹 보험 설계사라는 직업에 대한 선입견으로 이유 없이 냉대하는 사람들로 인해 마음고생도 많았단다. 그럴 때 자신을 다독이는 방법도 개발했다. 스스로를 암행어사가 됐다고 생각하는 것이었다.

 

내가 다른 신분으로 당신을 만났다면 나를 이렇게 대할까요? 난 당신의 어려움을 살피고 도와주려고 하는 암행어사에요. 도움이 필요하지 않다면 뭐 할 수 없는 거죠.’

 

다음은 최영자 팀장과의 일문일답이다.

 

보험업에 종사하면서 가장 크게 보람을 느낄 때는 언제인가.

- 보험에 대한 편견을 갖고 있는 고객의 마음을 문을 열어 도움을 받았을 때다. 가입을 권유했을 때 반신반의하던 고객이 실제로 실질적인 도움을 받고 감사함을 많이 느끼더라. 외국에서는 FC가 선망의 직종이라고 한다. 대대손손 그 직업을 물려받기도 한다. 합리적인 플랜으로 고객의 인생에 장기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에 자긍심과 함께 보람을 느낀다.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보험 상품이 있다면.

- 한번은 선입견 때문에 한 지인에게 설계사라는 직업을 말하지 못했다. 안타깝게도 시간이 흘러 사고로 사망하고 말았다. 당시 설계사로써 가장에게 필요한 종신 보험을 설계해 주지 못한 것이 많이 후회스러웠다. 종신 보험은 사망에 대한 보장뿐만 아니라 중도인출해서 필요 자금으로 쓸 수 있는 뱅킹 기능이 있다. 적립으로 전환하면 보장이 빠지고 은퇴 후에도 연금을 꾸준히 받을 수 있다. 안정적인 인생을 이끌어나가기 위해 필요한 보험 상품이라고 생각한다.

 

FC 최고등급인 명인까지 이뤘다. 또 다시 꿈꾸는 목표가 있다면.

- 얼마 전에 우수 FC 50명에 뽑혀 이화 삼성 아카데미에서 교육을 받고 정규 코스를 모두 이수했다. 영업도 좋지만 이론을 공부하며 전문성을 쌓아가는 것도 고객들에게 좋은 설계를 제공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본다. 특히 이후에는 설계사가 카드·증권·생명·화재의 업무도 맡게 된다. 중앙 MBA를 이수해 설계사로 미래를 대비해 나가는 것이 목표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이은정 인턴 기자 lejj3664@inthenews.co.kr

Copyright @2013~2025 iN THE NEWS Corp. All rights reserved.



인더뉴스(주)/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서울 아 02788/ 등록일 2013년 8월 26일/ 제호: 인더뉴스(iN THE NEWS)/ 발행인 문정태·편집인 박호식, 주소: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92, 광화문오피시아빌딩 1803호 발행일자: 2013년 9월 2일/ 전화번호: 02) 6406-2552/ 청소년보호 책임자: 박호식 Copyright © 2013~2025 인더뉴스(iN THE NEWS) All rights reserved. / 인더뉴스(주)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므로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단, 기사내용을 일부 발췌한 뒤 출처표기를 해서 ‘링크’를 걸어 두는 것은 허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