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 칼럼

학벌·외모? 언론고시생의 大착각

Monday, October 21, 2013, 08:10:50 크게보기

[언론고시 특강 ④]

언론계 입문을 위한 지상 특강. 국내 유일, 국내 최다 12만명의 회원수를 자랑하는 <언론고시카페-아랑>의 운영진의 협조를 받아 <인더뉴스>의 청춘 독자들께 촌철살인 언론사 취업팁을 전합니다. [편집자주]

 

[아랑카페 운영자] 올 하반기 가장 큰 장으로 불리는 MBC의 필기시험이 드디어 발표가 났다. MBC와 같은 날 시험을 진행했던 YTN 역시 필기시험 합격자를 발표했다. MBN은 최근 필기시험을 치렀으며, 조만간 필기 합격자를 발표할 것으로 전망된다.

 

필기시험은 언론사 합격의 첫 관문이라 할 수 있다. 약간은 복불복적인 특징이 있다고 알려진 서류전형과는 달리 필기시험에서는 오직 시험 점수 하나의 잣대로 수백명의 지원자들이 낙방의 아픔을 맛보게 되기 때문이다. 필기시험을 통과하고 나면 카메라테스트 또는 실무면접 등의 과정을 거치는데, 이때는 대개 3~4배수 정도만이 시험에 임하게 된다. 당장 이번 회사에서는 합격을 하지 않더라도 곧 합격할 합격권 지원자들이 걸러지는 셈이다. 이 때 얼굴을 익힌 친구들이 그 해 겨울 다함께 혹독한 수습기자 기간을 함께 겪는 경우도 다반사다.

 

필기시험이 끝나고 나면, 자신이 탈락하게 된 이유를 냉철하게 분석하고 이를 보완해야 언론계 입문을 향한 수험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특히나 언론사 입사의 특징을 감안한다면, ‘빠른 보완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절감할 수 있겠다. 한 번에 몇 백명을 뽑는 행시와 외시와는 달리 언론사 입사는 한 회사당 10명 내외의 소수를 뽑는다. 주요 언론사를 다 한다고 치면 3~10명씩 약 20회 정도, 100~200명 정도의 합격자 자리가 있을 것이다.

 

흔히 언론고시를 지하철 2호선과 많이 비교한다. 이번 역에서 내리지 못할 경우 얼른 준비를 해야 다음 역이나 그 다음 역에서 내릴 수 있는데, 실력이 그대로인 경우에는 영원히 지하철에서 내리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실은 어떨까. ‘정신() 승리를 하기 바쁘다. 최근 발표가 난 MBC 필기시험 역시 그렇다. 대부분이 나는 글을 잘 썼는데, 상식이 너무 어려웠다. 상식에서 몇 문제만 더 맞췄더라도 합격했을 것이라는 말과 함께 술이나 마시기 바쁘다. 정말 그럴까. 아니다. 실제로 탈락한 후배들의 글을 복기해(시험이 끝나면 글을 스스로 복기해 보는 것은 기본이다) 읽어보면 답은 금방 나온다. 글을 못 쓴 것이다. 물론 글을 탁월하게 잘 썼는데 상식에서 0점에 가까운 점수를 맞아서 탈락할 수도 있겠지만, 이번에 탈락한 자기 자신도 그럴지는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 보면 답이 나온다.

 

또 다른 착각은 서류 전형에서 나온다. 자기소개서를 생각하지 않고, 무조건 탈락의 이유를 자신의 스펙 탓으로 돌리는 경우다. 극도로 학벌과 영어 점수, 학점 등 외면적인 요소를 본다고 알려진 일부 매체를 제외하고, 스펙에 치중해 서류 전형을 보는 경우는 거의 없다. 언론사들은 오히려 자기소개서를 꼼꼼히 읽어보는 과정을 통해 숨겨진 보석같은 지원자를 찾기에 혈안이 돼 있다고 보는 편이 맞다.

 

심지어 같은 학교 같은 학과에서 2명이 지원해 1명만 서류에서 탈락했는데, “명문대를 배려하는 서류전형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나올 때도 있다. 이럴 때는 멘토로서 너 보다 덜 유명한 학교를 나온 친구는 왜 된 건데?”라는 이야기를 해주고 싶을 때도 있다. 이럴 때 자기소개서를 읽어보면 상당수 경우 대충 썼거나, 정말로 바보처럼 느껴지도록 쓴 사람을 발견하게 된다. 자신이 겪은 위기를 적으라고 했더니, “부모님이 5000만원을 보태 주셔서 다녀온 어학연수 과정에서 말이 통하지 않아서 1주일 정도 애를 먹었다는 이야기를 쓰는 식이다.

 

면접에서는 외모에 대한 착각이 많다. 매년 최종합격자 발표가 나면, ‘나는 떨어졌는데, 예쁜 애는 붙었다는 식의 낭설이 쏟아진다. 물론 엄청나게 출중한 외모의 지원자일 경우에는 예외일 수 있겠다. 하지만 합격자는 적으면 두세명, 많아도 10명정도지만, 잘난 지원자는 수백명도 더 된다. 그 합격자들이 단순히 외모 티오로 합격을 했을까. 이럴 때는 채용 절차가 다 끝난 뒤 자신의 면접관에게 질의 메일을 보내는 것도 방법이다. 상당수 면접관들은 탈락자가 왜 떨어졌는지 친절하게 답을 주는 경우가 많다. 그러면 대개 창의력 부족” “열의 부족등 치명적인 단점이 나온다. ‘언론인을 꿈꾸는 카페 - 아랑의 한 운영진이 모 방송사 최종면접에서 떨어졌을 때의 이유는 면접 태도에 문제가 있었다는 답변을 들었다고 한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아랑카페 운영자 기자 mirip@inthenews.co.kr

Copyright @2013~2025 iN THE NEWS Corp. All rights reserved.



인더뉴스(주)/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서울 아 02788/ 등록일 2013년 8월 26일/ 제호: 인더뉴스(iN THE NEWS)/ 발행인 문정태·편집인 박호식, 주소: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92, 광화문오피시아빌딩 1803호 발행일자: 2013년 9월 2일/ 전화번호: 02) 6406-2552/ 청소년보호 책임자: 박호식 Copyright © 2013~2025 인더뉴스(iN THE NEWS) All rights reserved. / 인더뉴스(주)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므로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단, 기사내용을 일부 발췌한 뒤 출처표기를 해서 ‘링크’를 걸어 두는 것은 허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