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최이레 기자ㅣ한화자산운용이 'PLUS K방산' 상장지수펀드(ETF)와 'PLUS 글로벌방산' ETF가 국내주식형·해외주식형 부문에서 각각 연초 이후 수익률 1위를 기록하고 있다고 22일 밝혔습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PLUS K방산 ETF'와 'PLUS 글로벌방산 ETF'는 연초 이후 이달 17일까지 수익률이 각각 85.22%, 54.13%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두 ETF는 각각 국내와 유럽·미국 등 주요 방위산업 관련 기업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PLUS K방산ETF는 최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관세 정책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편입 기업 대부분 유럽, 중동, 동남아를 대상으로 무기체계를 수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편입 기업들의 실적도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증권가는 올해에도 국내 방산 빅4(한화에어로스페이스·KAI·LIG넥스원·현대로템) 영업이익이 4조원을 돌파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편입 기업 영업이익이 2조원을 돌파한데 이어 성장세를 지속하게 됩니다. 지난해 4분기에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현대로템이 해외방산부문 제조업에서 30%대 영업이익률을 기록해 주목받은 바 있습니다.
PLUS 글로벌방산ETF 편입 기업인 독일 라인메탈, 스웨덴 사브 등도 최근 신고가를 경신하는 등 유럽의 방산 기업들 역시 지속적으로 주가가 오르고 있습니다.
최근 유럽연합(EU)집행위원회가 유럽 방위를 위해 약 8000억 유로(약 1290조원)를 투입해 재무장을 추진하고 있어 꾸준한 수요가 예상됩니다.
수급적인 측면에서 최근 유럽 최대 자산운용사인 '아문디(Amundi)'가 방위산업에 투자하는 유럽 ETF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는 소식이 알려졌습니다. 또 노르웨이 정치권에서는 세계 최대 규모인 약 2300조원을 운용하는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방산기업 투자제한을 해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밖에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미국 무기 판매를 효율화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미국 방산 기업의 경쟁력 및 효율성 극대화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미국 해외 고객에 대한 무기판매 가속화, 미국 이익 증진 및 동맹국과의 협력 강화, 동맹국 대상 방위비 상승 압박을 통한 미국산 무기 구매 유도 등을 위한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최영진 한화자산운용 마케팅부문장은 "방위산업은 진입 장벽이 매우 높아 세계적으로 무기를 수출할 수 있는 나라는 제한적"이라며 "방위산업에 대한 투자를 보다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는 이유"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무기체계는 쉽게 바꿀 수 없기 때문에 유럽과 중동, 동남아를 넘어 선진국 시장으로까지 국가와 품목을 다변화하고 있는 K방산 장기 성장성에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