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박호식 기자ㅣ미래에셋증권이 국내 증권사 최초로 해외주식 잔고가 50조원을 넘어섰다고 14일 밝혔습니다. 지난해말 40조원을 넘어선 이후 9개월만입니다.
미래에셋증권은 이번 성과의 핵심 요인으로 고객들의 해외주식 투자수익을 꼽았습니다. 10일 기준 해외주식 잔고 51조8000억원중 미래에셋증권의 해외주식 보유 고객들이 투자에서 거둔 평가수익(세전)은 약 15조원에 이른다는 설명입니다. 올해만 해도 8조원 이상의 고객수익(세전)이 발생하며 성과를 기반으로 한 해외자산 증대 선순환이 자리 잡았다는 평가입니다.
미래에셋증권은 연초부터 확대한 글로벌자산배분전략이 수익률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중국 기술주가 핵심전략으로 부각되는 등 글로벌 투자환경이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미래에셋증권은 중국 혁신기업 비중을 확대했고, 이 전략은 중국 기술주 랠리와 맞물려 고객수익에 크게 기여했다는 설명입니다.
홍콩 항셍테크는 연초 이후 44.8% 상승하며 같은기간 미국 나스닥 상승률 19.2%를 크게 상회했습니다. 미래에셋증권 고객들이 올해 가장 많이 매매한 중국(홍콩) 상장 종목은 ‘샤오미, SMIC, 알리바바’등 중국 혁신 기업이며, 이들의 매입금액 기준으로 각각 6%, 72%, 24%의 평가차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중국판 엔비디아’로 불리는 반도체 설계업체 캠브리콘, 혁신 바이오테크 기업 등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미래에셋증권은 인공지능(AI) 솔루션과 디지털 자산관리 인프라를 결합해 고객 투자 여정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최근 도입된 ‘AI 이슈체크'는 전날 미국증시에서 2% 이상 변동한 종목 중 공시나 이벤트가 발생한 종목을 자동 선별해 관련 뉴스를 요약 제공합니다. 하루 평균 80건의 요약 정보가 생성되며, 모바일 앱 M-STOCK 내 ‘종목 요약’ 화면에서 누구나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WM Daily Brief’를 통해 고객의 자산을 관리하는 PB들에게 시장 핵심이슈, 고객자산 현황, 리스크정보 등을 매일 아침 간결하게 제공해 보다 AI 기반의 정교한 자산관리가 가능하도록 돕고 있습니다.
여기에 고객 참여형 플랫폼도 강화했습니다. 이달 선보인 ‘해외주식 레벨업’ 서비스는 투자 성과 기반의 레벨 체계와 투자 고수들의 포트폴리오 공유 기능을 결합한 소셜투자플랫폼입니다. 투자자간 전략 학습과 교류를 통해 단순 거래를 넘어 함께 성장하는 투자경험을 제공합니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해외주식에서의 고객 성과는 미국 중심 투자를 기반으로 중국 혁신기업에 대한 전략적 자산배분과 AI 자산관리 강화가 맞물린 결과”라며 “앞으로도 글로벌 혁신기업과 성장 시장을 반영한 자산배분 전략을 지속 확대해 고객 수익률을 최우선으로 하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