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금융위원회는 10일 동남권(부산·울산·경남) 중견기업과 예비중견기업에 주로 투자하는 '부산 산업전환 녹색펀드'를 조성한다고 밝혔습니다.
부산·울산·경남지역은 제조업 중에서도 철강·석유화학 등 이른바 '중후장대' 산업 비중이 높아 디지털·녹색전환에 따른 사업재편과 신규투자 수요가 많다는 점을 고려한 조처입니다.
5대 시중은행은 지난해 2월 '맞춤형 기업금융 지원방안'을 통해 매년 500억원씩 총 2500억원을 출자해 매년 5000억원 이상의 '중견기업전용펀드'를 조성하기로 했습니다.
올해부터는 은행출자분 2500억원 중 20%인 500억원을 부산 산업전환 녹색펀드로 출자하고 운용사는 민간자금을 2000억원 이상 매칭해 매년 2500억원 이상의 자금을 조성합니다. 이번 펀드를 통해 앞으로 9년간(2025~2033년) 총 2조원 이상의 신규자금이 투입돼 부울경지역 예비중견·중견기업 투자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이날 부산 산업전환 녹색펀드 출범계기 지역기업 간담회에 참석해 "부산 산업전환 녹색펀드는 기업금융의 중요한 과제인 지역에 대한 지원확대와 지분투자 중심 자금공급 확대를 동시에 만족하는 뜻깊은 정책"이라고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특히 이번 펀드는 지자체(부산)가 사상 최초로 은행출자분에 대해 후순위를 보강하는 것으로 은행의 출자부담을 낮췄습니다. 김병환 위원장은 "부산시가 후순위 출자를 통해 은행의 출자부담을 낮추도록 협조한 결과 은행들은 유망한 기업에 투자방식으로 참여하면서도 대출수준의 위험가중치만 적용받게 됐다"며 "지자체와 금융기관간 새로운 협업모델을 이끌어준 부산시에 감사하다"고 말했습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경제환경임에도 미래성장산업을 중심으로 산업경쟁력을 강화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라며 "부산 산업전환 녹색펀드는 부산뿐 아니라 동남권 기업성장을 주도하고 지역경제 체질을 탈바꿈하는 혁신적 촉매제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정책금융지원협의회 소속 4개 정책금융기관(산업은행·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은 올해 247조5000억원의 자금공급 중 동남권 35조원 포함, 비수도권에 100조원을 공급할 예정입니다.
지난해 총 2조5000억원의 투자를 완료(승인)한 '지역활성화투자펀드'는 올해에도 3조원 이상 투자될 수 있도록 지역의 유망한 투자처를 발굴하기로 했습니다.
김병환 위원장은 "금융위와 정책금융기관은 지역산업에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지역 현장의 의견을 기탄없이 전달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