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 | SK텔레콤(대표 박정호)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자가격리·능동감시자 상태를 전화로 모니터링하는 AI(인공지능)서비스 ‘누구 케어콜(NUGU carecall)’이 300만 콜을 넘었다고 19일 밝혔습니다.
지난해 5월 정식 서비스 개시 이후 꾸준히 협약 지자체를 늘려간 결과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습니다. 해당 기간 누구 케어콜은 약 27만 명에게 통화기록 약 3만3000시간을 달성했습니다.
누구 케어콜은 SK텔레콤 AI ‘누구(NUGU)’가 전화로 자가격리∙능동감시 대상자 발열·체온·기침∙목아픔 등 코로나19 관련 증상 발현 여부를 확인하는 시스템입니다. 대상자는 별도 앱 없이 전화를 받기만 하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SK텔레콤은 이동통신망(IMS) 상에 AI 에이전트를 구축하는 식으로 서비스를 구현했습니다.
SK텔레콤은 서울시 25개 구를 비롯해 총 53개 기관과 함께 누구 케어콜을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보건소 등 관련 기관 자가격리∙능동감시자 모니터링 업무를 약 85% 경감시켰습니다.
이밖에 코로나19 백신접종 대상자에게 전화로 접종 일정을 사전에 안내하고 접종 후 이상반응 증상 발현 여부를 점검하는 ‘누구 백신 케어콜(NUGU vaccine carecall)’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28일 상용 서비스를 시작해 질병관리청 및 충청남도·광주광역시 등 5개 광역 지자체와 서비스 제공 협약을 맺었습니다.
이현아 SKT AI&CO장(컴퍼니장)은 “누구 케어콜과 누구 백신 케어콜이 코로나19 극복에 도움이 되고 있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향후에도 AI기술이 우리 사회에 중요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가치를 창출하고 전달할 방안에 대해 지속 고민하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