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 | 현대자동차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2배로 늘었습니다. 제네시스를 필두로 한 고부가가치 차량 판매가 늘어난 덕분입니다.
현대차(대표 정의선·하언태·장재훈)는 연결 재무제표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1조6566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91.8% 증가했다고 22일 밝혔습니다.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8.2% 증가한 27조3909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현대차는 1분기 세계 시장에서 100만281대를 판매했습니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10.7% 증가한 수치입니다. 내수는 투싼과 GV70 등 신차 판매 호조로 1년 전보다 16.6% 증가한 18만5413대를 팔았습니다. 해외 시장에서는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유럽 등 일부 시장 판매 약세에도 인도와 중남미 등 신흥시장 판매 회복세로 9.5% 증가한 81만4868대를 판매했습니다.
실적 호조는 스포츠유틸리티차(SUV)와 제네시스 판매가 늘어난 효과가 컸습니다. 제네시스와 SUV 판매 비중은 전체 판매 절반에 달하는 48.6%로 지난해 같은기간(44.7%) 대비 3.9%P 늘었습니다.
현대차는 향후 경영환경 전망과 관련해 주요 국가들의 경기부양 정책 확대와 기저 효과로 수요 회복이 나타나고 있으나, 글로벌 반도체 공급 부족 및 코로나19 영향 지속,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어려운 경영환경이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현대차는 글로벌 자동차용 반도체 공급 부족 사태와 관련해 ▲대체소자 발굴 추진 ▲연간 발주를 통한 선제적 재고 확보 ▲유연한 생산 계획 조정 등을 통해 생산 차질 최소화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2분기부터 반도체 공급 부족에 따른 생산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습니다.
또한 1분기 판매 회복을 견인했던 인도 및 중남미 등 신흥국에서 코로나19 재확산세로 수요 회복 지속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또 환율 변동성 확대 및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대외 요인은 경영 활동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현대차는 올해를 친환경 차 판매가 본격화되는 원년으로 삼을 방침입니다. 회사 관계자는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 5를 비롯해 투싼과 싼타페 하이브리드 및 플러그 하이브리드 모델 등을 주요 시장에 출시해 강화되는 환경규제에 대응하는 동시에 전동화 리더십을 공고히 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