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LG생활건강은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1조6049억원, 영업이익 548억원을 기록했다고 31일 밝혔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8.8%, 영업이익은 65.4% 감소했습니다. 전반적인 경기 회복 지연과 전통 유통 채널의 재정비가 실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사업부별로 보면, 화장품(Beauty) 부문 매출은 6046억원으로 19.4% 감소했고, 163억원의 적자를 기록하며 영업이익이 적자 전환됐습니다. 국내 H&B숍, 북미 아마존, 일본 등 일부 채널은 고성장을 보였지만, 원가 부담과 전통 유통망 조정이 발목을 잡았습니다.
생활용품(HDB) 부문은 프리미엄 브랜드 해외 판매 호조로 매출이 5420억원(2.0%↑)으로 소폭 성장했으나, 고정비와 마케팅 투자 증가로 영업이익은 286억원(7.1%↓)에 그쳤습니다. 닥터그루트는 북미 아마존과 틱톡 채널을 통해 상반기 매출이 800% 증가했으며, 유시몰도 북미·일본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 중입니다.
음료(Refreshment) 부문은 내수 소비 둔화와 장마 영향 등으로 매출 4583억원(4.2%↓), 영업이익 425억원(18.1%↓)을 기록했습니다. 고환율과 원부자재 가격 상승도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2분기 해외 시장 매출은 북미(6.4%↑), 일본(12.9%↑)에서 성장을 이어갔으며, 중국은 8.0% 하락했습니다.
상반기 전체 실적은 매출 3조3027억원(5.3%↓), 영업이익 1,972억원(36.3%↓)으로 집계됐습니다.
한편, LG생활건강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주주환원 정책을 이행합니다. 내달 18일 기준 주주를 대상으로 보통주와 우선주 각각 1000원의 중간배당을 지급하고, 보통주 31만5738주를 같은 달 14일 소각합니다. 잔여 자사주도 2027년까지 순차적으로 소각할 계획입니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현재 사업의 내실 강화와 함께 M&A를 통한 신성장 동력 확보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며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을 지속 실행하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