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CJ제일제당이 올초부터 이어진 원가부담 등으로 2분기 영업이익이 크게 줄었습니다.
CJ제일제당(대표 손경식·최은석)은 대한통운을 제외한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235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1% 감소했다고 7일 공시했습니다.
2분기 매출은 4조4233억원으로 전년 대비 3.7%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65.4% 줄어든 69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도 역기저 부담과 대외환경 변수 등으로 영업이익이 1년 전보다 크게 줄었습니다. 영업이익 감소 및 영업외손실 확대로 순이익도 감소했습니다. 미주 중심으로 식품사업이 성장했지만 바이오 등 업황이 부진하면서 매출도 소폭 줄었습니다.
식품사업부문 매출은 2조7322억원으로 전년 대비 5% 증가했습니다. 올해 1분기 감소했던 국내 식품 매출이 다시 성장세(+2%)로 전환됐습니다. 영업이익은 15% 감소한 142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예상보다 높은 환율과 지속되는 원가부담, 판관비 등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해외 식품 사업은 K-푸드 글로벌전략제품(GSP) 판매 호조에 힘입어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미국을 비롯한 주요 사업 국가에서 비비고 브랜드 주력제품을 중심으로 꾸준히 매출이 늘었고 비용 구조 및 생산 효율화를 통해 수익성을 높였습니다.
핵심 권역인 북미에서는 만두, 피자 등 주요 품목의 성장으로 매출이 13% 늘었습니다. 만두는 그로서리 경로에서 매출이 약 20% 늘며 시장 1위 자리를 유지했습니다. 특히 슈완스 브랜드 ‘레드바론’이 네슬레의 ‘디조르노’를 제치고 시장점유율 1위에 올랐습니다.
사료첨가용 아미노산을 주력으로 하는 바이오사업부문은 매출 8926억원, 영업이익 398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글로벌 축산 시장 회복이 지연되면서 대형 제품의 판가가 하락했으나 트립토판을 비롯한 발린, 알지닌, 이소류신 등 고부가가치 품목의 비중과 수익이 늘었다는 설명입니다.
FNT사업부문(조미소재∙Nutrition∙미래식품 소재 주력)은 1534억원의 매출과 44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 차세대 조미소재인 ‘테이스트엔리치’ 등 스페셜티 제품군 포트폴리오를 강화하면서 영업이익률이 29%까지 올라갔습니다. 바이오∙FNT사업부문은 고수익 제품의 비중을 20% 이상으로 늘렸습니다.
사료∙축산 독립법인 CJ 피드앤케어 매출은 6451억원, 영업이익은 88억원입니다. 사료 판가 상승에 따라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159% 늘어나는 등 수익성이 향상됐습니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온리원적인 제품 개발과 구조적 경쟁력을 바탕으로 국내와 해외에서 미래 성장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