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HD현대의 조선 계열사인 현대중공업[329180]이 세계 첫 대형엔진 2억 마력 달성이라는 금자탑을 세웠습니다. 22일 현대중공업에 따르면, 이날 울산 본사 엔진조립공장에서 진행된 ‘대형엔진 생산 2억 마력 달성 기념식’에서 7만4720마력급 선박용 대형엔진에 시동을 거는 것으로 대형엔진 생산 누계 2억6만6277마력 달성을 기념했습니다. 대형엔진 생산 누계 2억 마력 돌파는 현대중공업이 지난 1979년 첫 대형엔진을 생산한 지 44년 만입니다. 2억 마력의 경우 쏘나타급 중형차 약 125만대가 내는 출력과 같은 힘이라고 현대중공업 측은 설명했습니다. 2억 마력을 달성한 엔진은 차세대 친환경 연료로 주목받고 있는 메탄올과 디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메탄올 이중연료’ 엔진입니다. 한국조선해양이 개발한 메탄올 연료공급시스템(LFSS)이 장착된 엔진으로, 세계 첫 초대형 메탄올 추진선인 머스크의 1만6000TEU(1TEU 당 20피트짜리 컨테이너 하나 규모)급 컨테이너선에 탑재될 예정입니다. 현대중공업은 1979년 엔진 1호기(9380마력급)로 세계 엔진시장에 본격 뛰어든 바 있습니다. 이후 1992년 1000만 마력, 2005년 5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삼성중공업[010140]은 디지털전환 제조혁신 기술개발 및 인재 확보를 강화하고자 부산대학교와 '스마트 SHI 추진을 위한 포괄적 MOU 및 산학과제 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습니다. 삼성중공업에 따르면, 스마트 SHI는 스마트야드 구축을 목표로 회사 전 부문에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을 접목하는 자사 고유 혁신활동입니다. 협약을 통해 양측은 ▲스마트 야드 및 친환경·디지털 선박 산업 기술교류 및 연구개발 활성화 ▲전문기술 인재 양성 ▲현장에서 필요한 실무, 직무교육 및 컨설팅 분야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해 산학협력의 성공모델로 자리매김하자고 약속했습니다. 삼성중공업은 지역 인력육성과 더불어 총 8건의 산학 연계 연구개발 과제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축계 용접변형 해석 정도 향상 등 조선공학 전문 분야와 함께 빅데이터 및 AI기반 연구분야,드론을 이용한 스마트 야드 기술 등 디지털 기반의 융복합 기술 연구까지 분야를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협약 체결 후에는 정진택 삼성중공업 사장이 '기술 대전환기, 조선산업의 미래'라는 주제로 부산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와 정보컴퓨터공학부 학생들을 위한 특별 강연을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정진택 사장은 "친환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삼성중공업[010140]이 글로벌 선박기자재 업체와 함께 차세대 자율운항선박 개발을 추진합니다. 20일 삼성중공업에 따르면, 최근 노르웨이 콩스버그와 자율운항선박 개발을 위한 공동 개발 프로젝트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콩스버그는 선박에 탑재되는 자동화·항해 시스템 및 디지털 솔루션 분야에서 정상급 기술력을 보유한 업체로 꼽히고 있습니다. 협약을 통해 삼성중공업은 최신 원격자율운항기술 및 저탄소 기술을 최적화해 안전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인 17만4000m³급 차세대 LNG운반선을 개발한다는 계획입니다. 또, 콩스버그와의 협력 관계를 공고히 하고 미래 자율운항선박 시장을 적극 공략해 디지털·친환경 제품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목표입니다. 장해기 삼성중공업 기술개발본부장은 "삼성중공업의 자율운항선박이 해운 선사의 선박 운영 비용과 운항 위험요소를 줄여 주는 최적의 솔루션이 될 수 있도록 기술개발에 역량을 집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9000톤급 선박으로 목포에서 독도까지 자율운항 해상 실증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으며,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자율운항선박 사이버 보안 솔루션도 개발한 바 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국내 조선업계가 5개월 만에 세계 선박 수주량 1위를 탈환했습니다. 특히 월 글로벌 선박 발주량 대비 70%가 넘는 수주를 달성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7일 영국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2월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인 210만CGT(58척) 중 한국은 74%에 해당하는 156만CGT(34척)를 수주한 것으로 나타나며 17만CGT(9척, 8%)를 수주한 중국을 크게 따돌리고 선두 자리에 올랐습니다. 한국이 월 세계 선박 수주량 1위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9월 이후 5개월 만입니다. 2월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전월 대비 2%, 전년 동기 대비 25% 줄었습니다. 2월말 전 세계 수주잔량은 전월 대비 53만CGT 감소한 1억1013만CGT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가별로는 한국이 3863만CGT(35%), 중국이 4901만CGT(45%)로 집계됐습니다. 전월 대비 한국은 104만CGT가, 중국은 52만CGT가 감소했으며, 전년 동기와 비교할 경우 한국은 21%, 중국은 11% 증가했습니다. 2월말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163.69포인트를 랭크하며 전년 동기 대비 8.96P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선박 종류별로 구분할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HD현대[267250] 조선 중간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009540]이 국내 조선업계 처음으로 사업 연속성에 대한 국제 인증을 획득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한국조선해양은 최근 노르웨이선급협회(DNV)로부터 '사업 연속성 관리 체계(BCMS)'에 대한 국제표준인 ISO22301 인증을 획득했다고 3일 밝혔습니다. '사업 연속성 관리체계'는 보안사고, 물리사고, IT시스템접속차단, 재난 등 기업의 핵심 기능이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피해를 최소화하고 최단 시간 내 핵심 업무를 복구해 사업을 정상화하는 기업의 예방·관리·복구 체계를 의미합니다. 한국조선해양에 따르면, 인증 획득을 위해 지난해 9월 리스크관리팀을 만들어 전사 리스크 경영 능력을 점검하고, 체계적인 리스크관리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한국조선해양 관계자는 "사업 연속성 관리 체계를 구축해 고객들에게 안정적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며 "ESG 경영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리스크 대응 체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신뢰도를 높여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HD현대[267250]의 조선 중간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009540]이 총 1조78억원 규모의 LNG운반선 3척 수주에 성공했습니다. 2일 한국조선해양에 따르면, 최근 북아메리카 선사와 17만4000㎥급 LNG운반선 3척에 대한 건조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수주한 선박은 전남 영암의 현대삼호중공업에서 건조돼 오는 2027년 12월까지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입니다. 한국조선해양은 이번 수주까지 합쳐 올해 총 44척, 61억1000만달러 규모의 수주고를 올리며, 연간 수주 목표로 잡은 157억4000만달러의 38.8%를 달성하게 됐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HD현대[267250]의 선박 자율운항 전문회사인 아비커스가 세계 최대 보트쇼인 미국 마이애미 국제 보트쇼에 참가해 북미 시장 공략 행보에 나섰습니다. 20일 아비커스에 따르면, 지난 15일부터 19일까지 닷새간 미국 플로리다에서 열리는 이번 보트 쇼에서 10만명 이상의 관람객을 대상으로 고객 서베이를 진행하고, 희망자를 대상으로 레저보트 자율운항 솔루션 ‘뉴보트’의 베타 테스트 참가자를 모집했습니다. 베타 테스터에게는 하반기 상용화를 앞둔 뉴보트를 가장 먼저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됩니다. 아비커스 엔지니어들은 직접 고객을 방문해 고객이 보유한 레저보트에 뉴보트를 설치하고, 테스트를 위한 지원에도 나설 예정입니다. 참가자 모집은 미국지역 거주자를 대상으로 하며, 체험 기간은 3개월입니다. 임도형 아비커스 대표는 "뉴보트는 세계에서 가장 진보된 자율 레저보트 솔루션"이라며 "이번 베타 테스트 진행을 통해 뉴보트를 알리고 전세계 보트 시장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미국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서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더불어, 아비커스는 미국 마이애미 현지시간으로 지난 15일 글로벌 톱 티어 보트 전장업체인 ‘레이마린’과 다년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HD현대 조선 중간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009540]이 총 1조1100억원 규모의 메탄올추진 컨테이너선 7척 수주에 성공했습니다. 14일 한국조선해양에 따르면, 이날 HMM과 9000TEU급 메탄올추진 컨테이너선 7척에 대한 건조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번 계약에 따라 한국조선해양은 지금까지 총 54척의 메탄올추진선을 수주하며 글로벌 최다 실적을 보유하게 됐습니다. 수주한 메탄올추진 컨테이너선은 길이 274m, 너비 45.6m, 높이 24.8m 규모로, 전남 영암 현대삼호중공업에서 건조돼 오는 2026년 상반기까지 순차적으로 선주사에 인도될 예정입니다. 메탄올은 기존 선박유에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온실가스 등 오염물질 배출을 대폭 줄일 수 있어 차세대 친환경 연료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선박에는 메탄올 이중연료 추진 엔진이 탑재됩니다. 가삼현 한국조선해양 부회장은 "탈탄소 연료로 주목받고 있는 메탄올 추진 선박을 잇따라 수주하며 친환경 선박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를 확인했다"며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연구개발에 총력을 다해 친환경 선박 시장을 주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우리나라 해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HMM[011200]의 지난해 실적이 창사 이래 최대 규모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상반기까지 지속된 해운시장 호황에 힘입어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최대치를 찍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3일 HMM이 공시한 2022년 연결기준 잠정집계 실적에 따르면, 매출 18조5868억원, 영업이익 9조945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대비 매출은 34.7%, 영업이익은 34.8%가 증가했습니다. 매출원가율은 43.8%, 영업이익률은 53.5%를 올렸습니다. 실적 호조는 주력사업인 컨테이너 부문서 이끈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컨테이너 부문의 경우 매출 17조3050억원을, 영업이익 9조8616억원을 기록하며 각각 전년 대비 33.6%, 34.9% 증가했습니다. 벌크 부문도 매출 1조989억원, 영업이익 805억원을 기록하며 전체 실적 증가에 일조했습니다. HMM 측은 "컨테이너 부문은 전년 대비 상승한 장기화물계약 운임 영향으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올랐다"며 "벌크 부문은 유조선 시황 상승 및 드라이벌크의 전략적 선대·화물 운용으로 증가세를 나타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올해는 컨테이너 부문의 수요 둔화가 지속될 것으로 보여 장기계약 화주 비중을 확대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HD현대[267250]의 조선 중간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009540]은 지난 10일 CDP 한국위원회 주관 기후변화 대응 및 물 경영 우수기업 시상식에서 특별상을 수상했다고 13일 밝혔습니다. CDP는 기업에 환경 관련 경영 정보공개를 요청하고 글로벌 금융투자기관을 대상으로 보고서를 발간하는 지속가능 평가 기관입니다. 지속가능 평가 지표로는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 지수(DJSI)'와 함께 가장 공신력 있는 지표로 꼽히고 있습니다. 한국조선해양은 지난해 발간한 통합보고서에서 국내 조선업계 첫 온실가스 배출량 Scope 3를 공개하면서 선박건조 전체 밸류체인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제품의 판매로 발생하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암모니아추진선, 이산화탄소운반선, 수소 선박 등 친환경 조선해양기술 연구개발에 역량을 쏟는 동시에, 저탄소·무탄소 원자재 및 기자재 구매를 위해 공급망 협력 관계도 강화 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Scope 3는 선박 건조 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배출한 온실가스(Scope 1, 2) 외에 원자재 조달부터 선박 운항 및 최종 폐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포함하는 탄소감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두산에너빌리티[034020]의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9일 두산에너빌리티가 공시한 2022년 연결기준 잠정실적에 따르면, 매출 15조4433억원, 영업익 1조1073억원. 당기순손실 460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대비 매출은 40.5%가 올랐으며, 영업이익은 27.4%가 증가하며 1조원을 넘어섰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 측은 "에너빌리티와 밥캣, 퓨얼셀 등 자회사들의 매출이 증가하며 전년 대비 매출이 올랐다"며 "원자재가 인상 영향에도 불구하고 두산밥캣의 영업이익 개선 등으로 전체 영업이익 또한 전년보다 증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당기순손실에 대해서는 "중단사업손익과 자회사 주식 평가손실 등 일회성 요인으로 인해 적자로 전환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지난해 4분기 만을 볼 경우 매출은 4조6440억원, 영업이익은 272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 분기 대비 매출은 17.3%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13.3% 감소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HD현대[267250]가 정유·건설기계 수익 확대와 계열사 편입 등에 힘입어 지난해 실적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7일 HD현대가 공시한 2022년 연결기준 실적에 따르면, 매출 60조8497억원, 영업이익 3조387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대비 매출은 114.6%, 영업이익은 226.7%가 올랐으며, 그룹 역사상 처음으로 매출 60조원을 돌파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HD현대 관계자는 "유가 상승과 글로벌 인프라 투자 확대 등으로 정유 및 건설기계 부문 수익이 확대되며 견조한 실적을 기록했다"며 "지난해 3월 연결편입된 한국조선해양 실적이 포함되고, 현대두산인프라코어[042670]의 지난해 전체 실적이 반영된 것도 실적 증가의 요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계열사별로 살펴보면, 조선 중간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009540]은 매출 17조3020억원, 영업손실 3556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건조물량 증가 등에 힘입어 전년 대비 매출은 11.7% 늘었으며, 영업손실 규모 또한 전년(-1조3848억원)보다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 관계자는 "고부가가치 선종의 매출 비중 증대로 올해부터 실적이 본격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삼성중공업[010140]은 업계 최초로 견적부터 제품 인도까지 선박 건조 전 과정에서 생성되는 모든 정보를 한 눈에 확인하고 관제 가능한 데이터 기반 전사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인 'SYARD'를 개발했다고 2일 밝혔습니다. 삼성중공업에 따르면, SYARD는 기존 개별적으로 관리되던 방대한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기술 등을 활용해 빅데이터화하고, 연결·분석한 정보를 시각화해 실시간 제공할 수 있는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플랫폼을 탑재한 경영관리 시스템입니다. SYARD 적용을 바탕으로 데이터에 기반한 최적의 의사결정이 가능해 인력, 자재, 에너지 등 경영 자원의 효율적 관리, 리드타임 단축은 물론 위험요인을 사전에 파악하고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삼성중공업 측은 설명했습니다. 이중남 삼성중공업 스마트SHI 사무국 팀장은 "SYARD 구축으로 조선업 분야에서도 빅데이터를 활용한 플랫폼 비즈니스로 전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차별화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 조선소 완성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삼성중공업은 DT 기술을 바탕으로 조선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삼성중공업[010140]이 새해 첫 달에만 20억달러 규모를 수주하며 올해 수주 목표치의 5분의 1 가량을 달성했습니다. 삼성중공업은 지난 1월 31일 오세아니아 지역 선사와 LNG운반선 2척의 건조계약을 총 6097억원(약 5억달러)에 체결했다고 1일 공시했습니다. 올해 초 실적으로 집계된 15억달러 규모의 FLNG(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 1기를 포함하면 한 달 만에 20억달러 규모의 수주 실적을 올렸습니다. 해당 수주 규모는 삼성중공업이 올해 수주 목표로 제시한 95억달러의 21%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 삼성중공업은 지난 2021년과 2022년 각각 목표치를 초과한 122억 달러, 94억 달러의 수주한 바 있습니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올해 LNG운반선은 70척 이상 발주가 기대되고 환경규제에 대비한 친환경 연료 추진선박도 꾸준히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며 "독보적인 경쟁력을 갖고 있는 FLNG 시장도 적극 공략해 3년 연속 수주목표 달성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