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이진솔 기자ㅣ 유동인구 빅데이터를 분석해 지하철에서 벌어지는 디지털 성범죄 단속에 활용한다.
KT와 경찰청은 한국정보화진흥원(NIA)에서 주관한 ‘2018 빅데이터 플래그십 선도사업’의 일환으로 ‘불법 촬영 등 범죄 위험도 분석을 통한 디지털 성범죄 예방서비스’를 개발해 일선 단속 현장에 적용 예정이라고 6일 밝혔다.
빅데이터 플래그십 선도사업은 환경·안전·교통 분야에서 빅데이터 선도 성공사례를 발굴하고 전파해 사회 현안 해결을 도모하는 NIA의 공모사업이다. 지난해 4월부터 KT와 경찰청은 컨소시엄을 구성해 이번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디지털 성범죄의 대표적인 유형은 불법 촬영이다. 피해자 몰래 찍은 사진과 영상이 인터넷에 떠돌며 사회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영상 제작·유포뿐 아니라 시청 행위도 디지털 성범죄에 해당하지만 가해자가 불특정 다수에 속해 경찰은 단속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디지털 성범죄 예방 서비스는 경찰청 디지털 성범죄 데이터와 KT의 통신 유동인구·공공 데이터 기반 빅데이터를 분석해 개발했다. 지하철 노선·역·출구의 디지털 성범죄 발생 위험도와 빈도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젝트에는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지하철역에서 발생한 디지털 성범죄 데이터가 활용됐다. 또 서울과 수도권 지하철역 유동인구 데이터, 상업·주거·오피스·기타 등으로 구분한 배후지 데이터, 지하철 노선 데이터가 활용됐다.
서비스는 경찰청 과학수사 관리관실에서 운영하는 지리적 프로파일링 시스템인 ‘지오프로스’에 탑재됐다. 경찰은 과거 범죄 발생 시점의 데이터와 유사한 지역의 위험도 정보를 5등급으로 분류해 단속에 나선다.
지역·노선별 디지털 성범죄 발생 위험 수준에 따른 순찰지역 추천 기능도 있다. 경찰은 불법 촬영 단속 대상 노선 선정·단속 시간과 지역·불법 촬영 예방 캠페인 지역을 선정하는데 서비스를 활용할 계획이다.
분석 결과 지하철 불법 촬영 범죄는 여름철·평일 출퇴근 시간·상업지역과 오피스 지역에서 발생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대 여성이 많은 지역에서 범죄가 빈번했다. 20대 여성의 유동인구 비율이 14% 이상인 구간에서 발생한 범죄가 66%를 차지했다.
경찰청은 국민들이 디지털 성범죄 발생 위험도 지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생활안전지도 서비스에 탑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별도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 밖에 지하철 운영 기관인 도시철도공사 등 지표를 필요로 하는 기관에도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KT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NIA·경찰청과 함께 본 사업의 추진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종류의 범죄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국민안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윤혜정 KT 빅데이터사업 지원단장 전무는 “이번에 선보인 디지털 성범죄 예방 서비스는 실제 경찰관의 단속 업무에 빅데이터를 활용한 의미있는 사례다”며 ”향후에도 경찰청과 협력을 통해 빅데이터로 사회, 경제적 피해를 줄이는데 기여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