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유안타증권은 17일 엔켐에 대해 전해액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중장기 캐파 증설 계획을 대폭 상향이 불가피하다고 평가했다.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은 제시하지 않았다.
미국 내 수요 증가로 엔켐이 오는 25년 증설 계획을 22만 5000 톤에서 30만 5000 톤 이상으로 대폭 상향할 것으로 전망했다.
유안타증권은 엔켐이 오는 25년부터 순차적으로 가동할 블루오벌 SK공장의 F150 라이트닝 단독 전해액 공급사라고 전했다. 유휴 부지를 기확보한 점을 감안해 메인벤더의 지위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김광진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오는 25년까지 인허가 기간은 감안했을 때 신규 벤더 진입을 불가능하다”며 “보수적으로 생각해도 총 14만 톤의 캐파가 필요해 기존 계획 6만 톤을 크게 웃돈다”고 설명했다.
엔켐이 오랜 기간 공들인 원재료 내재화도 효과를 보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엔켐은 다수의 LiPF6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했고 유안타증권은 이에 대해 국내 전해액 업체들 중 최다라고 설명했다. 여기에 JV(합작법인) 설립을 통해 LiPF6 생산 내재화를 추진 중이라고 전했다.
김 연구원은 “LiPF6 스팟 가격 상승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장기계약을 통한 조달 및 내재화는 마진 확보 차원에서 중요하다”며 “올해 하반기부터는 사실상 대부분 장기계약을 통한 조달이 가능하고 JV를 통한 직접 생산은 내년부터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전해액은 배터리 핵심 소재로 까다로운 인허가 절차로 인해 진입장벽이 존재하지만 타소재 대비 소외돼 적절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며 “엔켐은 경쟁업체들 대비 가장 공격적인 증설 계획을 보유하고 있고 미국 내 33만 평 수준의 유휴 부지를 보유한 만큼 고평가 받는 것이 타당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