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Food 식품

‘탈플라스틱’ 선언한 글로벌…코카콜라 행보 중요한 이유

URL복사

Sunday, April 03, 2022, 11:04:24

전세계, 플라스틱 오염 법적 규제 최초 합의
‘지속가능성’ 강조 코카콜라..친환경 노력 주목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오늘은 지구가 일회용 플라스틱에 대해 승리한 날입니다."

 

이달 초 인류 환경사에 중대한 결정이 하나 내려졌습니다. 전 세계가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공식적으로 선언한 게 핵심입니다. 한국을 포함해 175개국 협상 대표들은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린 제5차 유엔 환경 총회(UNEA-5.2)에 참석해 플라스틱 오염을 막기 위한 결의안에 합의했습니다. 

 

이번 결정은 그간 국제기구가 환경 보호를 위해 내린 결정들과는 사뭇 다릅니다. 플라스틱 오염 문제 해결을 위해 ‘법적 구속력’을 갖춘 최초의 합의안이기 때문입니다. 해양 오염에 한정하지 않고 이번처럼 생산부터 설계, 폐기를 포함한 플라스틱 전체 수명 주기를 다루기로 약속한 적은 없었습니다.

 

환경 오염 문제가 어제오늘 얘기는 아니지만 "바닷속 해저 토양에서부터 에베레스트산에 이르기까지 플라스틱 오염이 닿지 않은 곳이 없다"는 유엔 사무부총장 말처럼 심각성은 커지고 있습니다. 지구 환경 복구에 주어진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현실은 전 세계의 일치된 의견을 이끌어냈습니다.

 

세계자연기금(WWF)에 따르면 매년 약 4억톤의 플라스틱이 생산되며 이 중 3억톤은 쓰레기 매립장으로, 1억톤은 해양으로 흘러들어 갑니다. 플라스틱 생산량은 지난 1950년 200만톤에서 2017년 3억4800만톤으로 증가했으며, 2040년에는 생산 능력이 두 배 증가할 것이란 예측도 나옵니다.

 

플라스틱 감소를 법적으로 규정하는 법안이 구체화할 경우 유엔 회원국들은 협약 내용을 자국 내에서 이행할 책임을 지닙니다. 지난 2015년 196개국 동의로 파리기후협약이 체결된 이후 전 세계에서 실질적인 저탄소 대책이 마련된 것처럼 말입니다. 식품업계에 향한 ‘탈플라스틱’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많은 눈이 코카콜라를 향하고 있습니다. 코카콜라는 하루에 20억잔 넘게 팔려 나가는 명실상부 세계 1위 식음료 회사입니다. 리서치업체 인터브랜드가 선정한 브랜드 가치 순위에서도 2000년부터 12년간 1위 자리를 유지했습니다.

 

스마트폰 보급 및 모바일 플랫폼 활성화로 2013년부터 구글·아마존·삼성전자 등 IT 기업들이 강세를 보이는 와중에도 코카콜라는 지난해 약 67조원의 가치를 인정받아 식품기업으로는 가장 높은 6위를 차지했습니다. 하지만 코카콜라는 '가장 나쁜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 기업'이기도 합니다.

 

국제개발자선단체 티어펀드에 따르면 2020년 세계 최대 소비재 브랜드 4곳(코카콜라·펩시·네슬레·유니레버)의 플라스틱 페기물 약 50만톤이 브라질, 중국 등 6개 개발도상국에 버려졌습니다. 특히 코카콜라는 조사 대상 중 가장 많은 연간 20만톤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발견됐습니다.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비판이 거세지자, 코카콜라는 2025년까지 음료 패키지의 100%를 재활용 소재로 교체하고, 2030년까지 모든 음료 패키지를 수거해 전체 포장재의 절반을 재활용 소재로 대체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자연분해가 가능한 식물성 소재 플라스틱 개발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지난 1월에는 스타벅스·이케아 등 글로벌 기업 73곳과 함께 플라스틱 생산 감축 협약을 촉구하는 공동성명에 서명하며 친환경에 대한 이행 의지를 내보였습니다. 성명에서 이들 기업은 재활용에 앞서 ‘플라스틱 생산 감소’ 내용을 포함시켜야 한다며 근본적인 변화를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식품업계 글로벌 가치 1위, UN 회원국(193개국)보다 많은 나라에 음료를 파는 기업이라는 점에서 코카콜라의 실질적인 플라스틱 감축 노력은 중요할 수밖에 없습니다. '지속가능성'이 비즈니스 전략의 중요한 요소라는 코카콜라의 친환경 노력이 본격적인 시험대에 오를 전망입니다.

 

국제환경단체 BFFP(Break Free From Plastic)의 미코 알리노 코디네이터는 본지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BFFP는 코카콜라의 약속을 계속 주시하고 잘못된 것이 있으면 공표하도록 할 것"이라며 "다른 식품 회사들도 코카콜라를 따라 그들만의 재사용 가능한 포장 대상을 채택 및 확대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코카콜라가 ‘친환경 딜레마’를 풀어가는 방법은?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장승윤 기자 weightman@inthenews.co.kr

배너

노벨화학상 ‘작은 부피에 막대한 가스 저장’  MOF 구조 만든 교수 3인 수상

노벨화학상 ‘작은 부피에 막대한 가스 저장’ MOF 구조 만든 교수 3인 수상

2025.10.08 22:15:52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올해 노벨화학상은 '금속-유기 골격체'(Metal-Organic Frameworks·MOF)라는 새로운 분자 구조를 만든 세 명의 대학 교수에게 주어졌습니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8일(현지시간) 기타가와 스스무(74) 일본 교토대 교수, 리처드 롭슨(88) 호주 멜버른대 교수, 오마르 M. 야기(60) 미국 UC버클리대 교수를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들이 만든 MOF는 금속 이온을 유기 분자로 연결해 만든 골격 구조로, 내부에 셀 수 없을 만큼 미세한 구멍이 있어 이 구멍을 통해 다른 분자들이 드나들거나 흡착될 수 있습니다. 겉보기에는 작지만 내부 공간이 무한에 가깝기 때문에 MOF를 과학계에서는 영화 '헤리포터' 속 주인공 중 한명인 헤르미온느가 가지고 다니는 가방에 비유하고 있습니다. 헤르미온느의 가방처럼 MOF 역시 다공성 덕분에 겉보기와 달리 엄청나게 넓은 내부 표면적을 숨기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물리적 특성을 통해 MOF는 이산화탄소의 포집을 통한 지구온난화 예방, 사막의 물 부족 해결을 위한 공기 중 수분 채취 및 수소 연료의 고밀도 저장 등 인류의 주요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하이너 링케 노벨화학위원회 위원장은 "금속-유기 골격체는 엄청난 잠재력을 갖고 있다"며 "새로운 기능을 지닌 맞춤형 물질을 만들 수 있는, 예전에는 예견하지 못했던 기회들을 마련해줬다"고 설명했습니다. 올로프 람스트룀 노벨화학위원회 위원도 "그런 물질이 조금만 있어도 마치 해리포터에 나오는 헤르미온느의 핸드백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매우 작은 부피에 엄청난 양의 가스를 저장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노벨위원회는 롭슨 교수가 1989년 구리 양이온을 중심으로 해서 마치 다이아몬드와 비슷하지만 그 속에 빈 공간이 매우 많은 MOF 구조를 만들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그 구조가 불안정한 까닭에 쉽게 붕괴한다는 단점이 있어 실용화에 걸림돌이 되었습니다. 이후 기타가와 교수는 MOF 구조 안으로 기체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으며 MOF를 유연하게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는 사실을 입증했고 야기 교수는 안정적이고 튼튼한 MOF를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노벨위원회는 "이후 전 세계 화학자들은 수만 종의 MOF를 만들었고, 그중 일부는 탄소 포집, 물 부족 해결, 환경 정화 등 인류의 큰 문제를 해결하는데 쓰인다"고 밝혔습니다. 공동 수상자인 롭슨 교수는 영국 태생, 야기 교수는 팔레스타인계 부모를 둔 요르단 태생으로 요르단·미국·사우디아라비아 국적을 보유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일본인인 기타가와 교수가 노벨화학상을 수상하면서 일본은 지난 6일 발표된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3인에 사카구치 시몬 일본 오사카대 석좌교수를 포함해 올해 노벨상에서 2명이 수상했습니다. 수상자들은 상금 1100만 스웨덴 크로나(약 16억4000만원)를 똑같이 나눠서 받게 됩니다. 노벨상은 오는 9일에는 문학상, 10일에는 평화상, 13일에는 경제학상 수상자가 발표됩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