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금융자산을 10억원 이상 보유한 49세 이하 ‘영리치’의 연 평균 소득은 4억원, 평균 자산은 66억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중에서도 상속을 통해 부를 형성한 일명 ‘금수저’ 영리치들의 자산이 평균보다 2배 가량 많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우리나라 부자들의 금융행태를 분석한 '2022 코리안 웰스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13일 밝혔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영리치의 평균 총자산 규모는 66억원으로 자산 중 부동산은 60%, 금융자산은 40%를 차지했습니다.
영리치의 자산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준 원천 1순위는 근로소득(45%)이었습니다. 다른 자산 원천은 ▲사업소득(23%) ▲가족으로부터의 상속 및 증여(18%) ▲재산소득(15%) 등이었습니다.

자산형성의 방식에 따라 총자산 규모도 달랐습니다. 상속이나 증여를 받은 영리치의 1인 평균 총자산은 128억원(자산 70% 이상 부동산)으로 평균 자산 규모의 2배 가까운 수준이었습니다. 반면 근로소득이 중심인 영리치의 총자산은 39억원으로 평균의 60%에 머물렀으며 상속을 받은 영리치 평균 자산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영리치의 비율은 회사원이 31%, 의료·법조계 전문직이 21%로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동일 연령대의 일반 대중보다 그 비율이 6배 이상 높다는 설명입니다.
지난해 영리치의 수익률에 가장 긍정적 영향을 준 자산은 부동산으로 나타났습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영리치는 부동산을 1인당 1.7채 가졌으며 주거 목적의 주택 외에 상업용 부동산 투자를 선호했습니다. 50세 이상 부자인 ‘올드리치’들이 토지 투자를 선호한다는 결과와 대조적입니다.
부자들의 전체 자산 중 40%를 차지하는 금융 자산 중에서는 예금 비율이 39%로 가장 높았습니다. 다른 형태의 자산은 ▲주식(27%) ▲펀드·신탁(16%) ▲보험·연금(16%) ▲채권(3%) 등의 순으로 보유했습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관계자는 “영리치의 현금성 자산 비중이 높은 이유는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현금 보유를 통해 투자기회를 놓치지 않으려는 의도로 파악된다”며 “또한 영리치는 지인들과 선택적으로 투자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선호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암호화폐와 같은 가상자산에도 투자하는 이들이 상당했습니다. 영리치의 21%, 올드리치의 5%는 투자중이지만 대부분 1억원 미만 규모였습니다. 주된 투자 이유는 가격 급등락을 이용한 시세차익과 장기적 관점의 가치 상승 기대였습니다.
영리치와 올드리치 모두 예측 불가능한 가격 변동성을 우려해 가상자산 투자 규모는 현재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계획이라고 답했습니다. 영리치의 47%는 예술작품·음원·대체불가능토큰(NFT) 등에도 투자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황선경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올드리치가 노동력을 대가로 자산을 축적한 사람이라면 영리치는 대체로 아이디어로 돈을 번 사람들이다"며 "앞으로는 투자 자본이 영리치의 관심분야로 이동할 것이다"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