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옥찬 심리상담사ㅣ디즈니+ 드라마 <최악의 악>(연출:한동욱/각본:장민석/출연:지창욱, 위하준, 임세미, 비비, 임성재, 차래형 등)은 1995년대의 한-중-일 마약 거래의 중심 강남을 배경으로 한다. 홍콩 누아르 <무간도>나 한국 영화 <신세계>를 바로 떠오르게 할 정도로 시대 배경이나 소재가 비슷한 면이 있다.
경찰인 박준모(지창욱 분)가 정기철(위하준 분)이 보스로 있는 강남연합이라는 범죄조직에 잠입해 펼쳐지는 내용이 주된 줄거리기 때문이다. <무간도>나 <신세계>처럼 경찰이 범죄조직에 조직원으로 위장해 들어가는 비슷한 소재이지만, 박준모의 아내이고 정기철이 좋아하는 경찰인 유의정(임세미 분)이 새로운 재미를 준다.
<최악의 악>은 시작부터 조직 폭력배들 간에 싸우고 죽이는 무자비한 장면이 나온다. 법체계 안에서 폭력조직을 사회의 악이라고 지칭한다. 정기철(위하준 분)이 이끄는 강남연합은 강남의 이전 폭력조직인 악(惡)을 몰아낸 새로운 악이다. 강남연합은 이전 악과 다르게 마약으로 큰돈을 번다. 드라마 제목 <최악의 악>이라는 것이 박준모의 꼬이고 파괴된 인생을 이야기할지도 모른다.
그런데 심리상담사로서 폭력보다 최악의 악은 마약이다. 마약을 한 번 시작하면 죽기 전에는 끊을 수 없다는 말이 있다. 즉, 죽어야 마약을 끊는다. <최악의 악>에서 보이는 싸우는 장면처럼, 마약을 끊기 위해서는 죽을 때까지 매일 죽기 살기로 싸워야 하기 때문이다. 마약은 인간을 무자비하고 잔인하게 파괴한다. 유튜브에서 ‘좀비 마약’ 영상만 보더라도 실감할 수 있다.
디즈니+ <최악의 악>에는 마약 중에서 가장 유명한 히로뽕(필로폰)이 나온다. 히로뽕은 한 번 맞으면 다시 찾을 수밖에 없을 정도로 중독성이 강하다고 한다. 이전에도 마약을 소재로 하는 영화와 드라마는 꾸준하게 있었다. 최근 넷플릭스 드라마 <더 글로리>에서도 이사라(김히어라 분)가 마약으로 인해서 파멸하는 에피소드가 나온다. <최악의 악>에서 폭력으로 사람들이 죽는데 어찌 보면 마약으로 죽는 사람들이 더 많을 것 같다. 마약은 큰 돈벌이가 되기에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악(惡)은 돈을 좇아 움직이니까 말이다.
마약은 뇌의 도파민을 극대로 방출시켜서 극도의 자극을 경험하게 한다. 그러면서 뇌를 망가뜨린다. ‘중독 뇌’라고 하는 뇌 상태가 되면 의지만으로는 마약을 끊기 어려워진다. 마치 영화 <연가시>에서처럼 뇌가 조종당해 죽을 줄도 모르고 마약이라는 물구덩이에 뛰어들게 하기 때문이다.
인간이 고통을 회피하고 감각적 쾌락을 추구하는 것은 일종의 본능적인 성향이다. 감각 쾌락 추구 행동은 10대 청소년기부터 강해지고 MZ세대인 2030시기에 많아진다. 인간에게 감각 쾌락 추구 성향 탓에 감각 쾌락을 극대화하는 마약에 대한 호기심이 있을 수 있다. 디즈니+ 드라마 <최악의 악> 1화에서 젊은 여자가 술에 마약을 타서 마시고 환각 증세로 떨어져 죽는 장면이 나온다. 마약의 끝은 파괴적인 죽음임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통계적으로 마약에 가장 많이 노출되고 중독이 되는 세대는 20~30대, 즉 지금의 MZ세대가 많다고 한다. 해외여행이나 클럽과 같은 곳에서 담배 형태의 대마부터 다양한 종류의 마약을 접할 수 있는 유혹에 노출되기 쉬워서다. 20대 성인이 되면서부터는 자유로운 선택과 행동이 가능해진다. 아동·청소년기에는 제약이 있지만 20대부터는 호기심으로 감각 쾌락적인 행동을 강하게 추구하는 경향이 보인다. 그래서 더욱 강한 주의가 필요하다.
신종 마약들이 다양하게 만들어지다 보니 히로뽕은 박물관에 전시될 유물처럼 보이지만 여전히 유통되는 마약이다. 여기에 최근 먼지 제거 스프레이를 사서 마약처럼 사용한다는 기사를 보았다. 전혀 예상하지 못한 물건으로 마약처럼 쓰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 경악스러웠다. 마치 <최악의 악>에서 양아치라고 불리는 강남연합 조직원들이 청소년기에 본드를 사용했을 것처럼 말이다.
한국에서 진행하는 심리상담학 바탕의 부모교육은 대부분 미국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심리상담학이 한국보다 미국에서 먼저 발전했고 미국에서 공부를 한 교수들이 많아서다. 부모교육 중에 ‘AP(Active Parenting) 적극적인 부모역할’을 할 때 청소년들의 마약을 다루는 내용이 있다. 불과 10년 전만 해도 미국이 아닌 한국에서 청소년들의 마약 문제는 불필요한 이야기여서 제외했다.
그런데 지금은 상황이 전혀 다르다. 부모교육을 할 때 미국처럼 청소년 마약 문제를 다루지 않을 수가 없게 되었다. 한국이 더 이상 마약 청정국이 아니기 때문이다. 제발 마약은 호기심이라는 이유로라도 절대 손대지 마라. 어떤 이유에서든지 자의적으로 마약을 한 순간부터 인생은 <최악의 악>의 상황이 될 것이다.
■ 최옥찬 심리상담사는
‘그 사람 참 못 됐다’라는 평가와 비난보다는 ‘그 사람 참 안 됐다’라는 이해와 공감을 직업으로 하는 심리상담사입니다. 내 마음이 취약해서 스트레스를 너무 잘 받다보니 힐링이 많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자주 드라마와 영화가 주는 재미와 감동을 찾아서 소비합니다. 그것을 바탕으로 우리의 마음에 대한 이야기를 공유하고 싶어서 글쓰기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