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은 보험설계사·칼럼니스트ㅣ"고객님의 몸값은 얼마쯤 될까요?"
사망 시 거액의 보험금을 지급하는 종신보험을 소개할 때 농담 반 진담 반 건네는 질문이다. 죽음으로 농담이라니 이렇게 무례한 질문이 어디 있나? 이런 생각을 하는 게 당연하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그 누구의 생명도 결코 돈으로 환산할 수 없기에, 하나 뿐인 목숨을 잃은 뒤에 남겨진 가족이 견딜 슬픔과 감당해야 할 경제적 위험을 최소한 돈으로라도 보상해야 하는 것이 맞다. 인간의 삶에 보험이 존재하는 중요한 이유기도 하다.
얼마 전 안타까운 뉴스가 있었다. 경기도 화성에 있는 리튬전지 업체 아리셀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국내외 노동자 총 23명이 사망했다. 뉴스 화면을 통해 본 화재 당시 상황과 화재 흔적은 한 마디로 끔찍했다. 리튬전지는 일반적인 진화 방식으로 불을 완전히 끄기 어렵고 물로 진화할 수 없으며 불길이 매우 거세 진화에 굉장한 어려움이 있었다고 한다.
발견 당시 신원 파악조차 어려웠던 그들의 몸값은 얼마나 될까? 특히 사망자 다수는 외국인 국적이었다. 낯선 나라까지 일을 하러 온 데에는 저마다 간곡한 사연이 있었을 테다.
나 역시 대학 졸업 후 노동자는 아니지만 외국에서 거주하며 낮에는 공부를, 그 외 시간에는 아르바이트를 몇 개씩 하며 고단하게 지냈던 경험이 있다. 유학생 신분이지만 건강보험이 있었으니 아프면 병원에라도 갈 수 있었지만, 말이 통하지 않을 때마다 혹시 내게 큰일이 생기면 어떡해야 할지 노심초사했다. 타국에서의 생활을 무탈하게 마치고 돌아오길 바랐던 외국인 노동자 유가족들의 심정도 헤아려져 마음이 아팠다.
인터넷으로 화재 관련 뉴스를 검색하다 보니 화성 화재가 관련주 코스피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전망하는 어느 블로거의 글도 발견할 수 있었다. 심지어 화성 공장 화재 중국인 사망자를 위해 설치된 분향소에서 동포들이 나라를 위해 죽은 것도 아닌데 왜 분향소를 차리냐며 비난하는 사람도 나왔다.
누군가의 허망한 죽음으로부터 지금을 살아가는 나의 안위를 안도하거나 내 투자종목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 것인지 고민하고, 추모 행위에 옳으냐 그르냐를 주장하는 모습을 보니 한편으로 인간은 참 이기적인 존재임을 다시 한번 씁쓸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종신보험 업무를 처리할 때 종종 ‘산 사람은 살아야지' 속으로 되뇌곤 한다. 어쩌면 세상에는 죽음보다 사는 일이 더 고되고 고통스러운 이도 있을 것이다. 정말 중요한 건 삶과 죽음을 대하는 나의 태도다. 내 삶이 중요하듯 타인의 삶도 중요하고 내 죽음이 무섭다면 다른 이에게도 죽음은 나와 비슷한 정도로 공포스러운 것이다.
화재로 목숨을 잃은 분들에게는 애도와 다친 분들은 쾌유를 기원한다. 목숨값으로 전해질 보험금이 남은 화재 사고 피해자들과 유가족들이 슬픔을 이겨내고 산 사람이 버틸 수 있는데 미약하게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보험금으로 사람의 생명을 다시 되돌릴 수 없더라도 보험금마저 없었더라면 절망에서 빠져나오는 길이 더 막막할 수밖에 없을테니 말이다.
■서지은 필자
하루의 대부분을 걷고, 말하고, 듣고, 씁니다. 장래희망은 최장기 근속 보험설계사 겸 프로작가입니다.
마흔다섯에 에세이집 <내가 이렇게 평범하게 살줄이야>를 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