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경제 불황과 고물가 기조 속 '가성비 화장품'이 뜨고 있습니다. 가성비 화장품이란 가격이 저렴하고 패키지가 화려하진 않지만 고가의 화장품과 비교했을 때 품질이 뒤지지 않는 화장품을 통칭합니다. 이러한 가성비 화장품은 높은 수익성과 함께 '미끼 상품'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통업체의 주요 차별화 전략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합리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트렌드가 뷰티 시장으로 확산하면서 온·오프라인 주요 유통업체들이 가성비 화장품 출시에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주 고객층이 젊거나 상대적으로 여성 고객 매출 비중이 높은 사업군 중심으로 뷰티 카테고리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전자상거래(이커머스) 기업들은 충성 고객층을 바탕으로 소비자에게 다양한 뷰티 경험을 제공하는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쿠팡은 프리미엄과 가성비 투 트랙으로 화장품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최근 자체 브랜드(PB) 자회사 씨피엘비(CPLB)가 '엘르 파리스' 화장품 라인을 론칭하고 스킨케어 PB 제품을 출시했습니다. 스킨케어 라인 4개에서 앰플과 크림 등 18종을 선보입니다. 가격은 4900원~1만1900원대에 맞췄습니다. 저분자 콜라겐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은 2023년 말 기준으로 국내 ESG 금융의 규모가 1880조 원으로 커진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지난 5년간(2019~2023년) 213% 성장한 수치로, ESG 금융의 성장 키워드는 'ESG 투자', '공적 금융', '국민연금'으로 분석되었습니다 19일,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 더불어민주당 민병덕(안양시 동안구 갑 국회 정무위원회) 의원실이 국내 금융기관의 ESG 금융 규모를 집계∙분석해 발간한 '2023 한국 ESG 금융백서'에 따르면 국내 금융기관의 ESG 금융 규모는 2023년 말 기준으로 1882.8조원(156개 응답기관 기준)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2019년 610조원에서 2021년 1000조원을 돌파한 뒤 5년간 213% 성장한 수치입니다. 그러나 전체 금융자산 7129.5조원과 비교하면 ESG 금융의 비중은 4분의 1 수준에 그쳤습습니다. ESG 금융을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모든 유형에서 증가했으며 특히 ESG 투자와 대출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구체적으로, ESG 투자는 795.5조원(42.2%), ESG 대출은 761.8조 원(40.5%)으로, 두 유형이 전체 ESG 금융의 80%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이외에도 ESG 채권 발행 244.7조원(13.0%), ESG 금융상품 80.7조원(4.3%)으로 집계되었습니다. 2023년 ESG 금융의 성장은 공적 금융이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적 금융의 규모는 1,430.6조원으로 2019년도 417.5조원 대비 5년간 242.7% 증가했습니다. 이는 전체 ESG 금융 규모의 76%를 차지합니다 특히 국민연금의 성장이 두드러졌습니다. 국민연금의 책임투자 규모는 2023년 말 587.2조원으로, 2019년도 32조원 대비 1,735% 급증하며 ESG 금융 규모 성장을 주도했습니다. 이는 국민연금이 2019년 '책임투자 활성화 방안'을 의결한 이후 본격적으로 ESG 금융을 확대하고, 2022년 발표한 '책임투자 자산군 확대 지침'에 따라 해외 직접 투자 주식도 책임투자로 포함하면서 규모가 크게 늘어난 덕분입니다. 그러나 ESG 워싱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백서는 지적했습니다. 한편, 공적 부문이 ESG 금융 성장을 주도하는 가운데, 민간 금융기관의 ESG 규모도 함께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백서에 따르면, 민간 부문은 2019년 대비 146.3% 증가하며 꾸준히 성장했으나, 규모는 452.2조 원에 그쳐 여전히 공적 금융보다 낮은 수준이었습니다. 민간의 ESG 금융 확대를 위해서는 제도적 보완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대목입니다. 박남영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책임연구원은 “정부가 민간 금융기관들이 ESG 금융 규모 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명확한 정책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며 "민간 ESG 금융의 성장 가능성을 고려해 관련 정책을 더욱 확대하는 한편, '녹색여신 관리지침' 등 현재 시행 중인 정책의 실효성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김영호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이사장은 "최근 반-ESG 흐름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우리 기업과 금융기관이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ESG 금융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민병덕 국회의원 또한 "기업의 ESG 경영을 지원하는 마중물로서 ESG 금융 확산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SK스퀘어 자회사 11번가(대표 안정은)가 올해 수익성 개선 경영에 집중해 연간 에비타(EBITDA) 흑자를 달성하겠다고 20일 밝혔습니다. 안정은 11번가 사장은 지난 19일 오후 경기도 광명시 사옥에서 전 구성원을 대상으로 새해 첫 타운홀 미팅을 갖고 2025년 경영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안 사장은 이날 “커머스의 본원적 경쟁력 강화와 수익성 중심의 내실 경영에 집중한 결과, 지난해 주력사업인 오픈마켓 부문에서 100억원 이상의 연간 EBITDA 흑자를 달성하며 체질 개선에 성공했음을 입증했다”며 “견조한 실적 개선 흐름을 타고 2025년에는 오픈마켓 부문과 리테일(직매입) 사업을 포함해 11번가 전체의 EBITDA 흑자 전환에 성공할 것이다”고 말했습니다. EBITDA 흑자는 기업이 영업 활동을 통해 돈을 벌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영업이익 흑자 달성에 청신호가 켜졌음을 보여준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습니다. 실제 지난해 3월부터 시작된 11번가 오픈마켓 부문의 영업이익 흑자는 올해 1월에도 계속돼 11개월 연속 영업이익 흑자 달성에 성공했습니다. 지난해 오픈마켓 부문 누적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60억원 가까이 개선됐습니다. 리테일 사업에서도 실적 개선이 이뤄지며 2024년 11번가 전체 연간 영업손실을 500억원 이상 줄였습니다. 안정은 사장은 구성원들에게 위기 상황에서도 성장 모멘텀을 확보할 것을 주문하며, 2025년 EBITDA 흑자 달성을 위한 전략 방향으로 ‘성장 플라이휠(Flywheel)’의 고도화를 제시했습니다. 성장 플라이휠 전략은 상품·가격·트래픽·배송·편의성 등 이커머스의 핵심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선순환 효과를 일으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11번가는 지난해 이를 통해 실적 개선을 이뤘고 올해 더욱 정교화해 중장기 성장 기반을 안정적으로 확보한다는 방침압니다. 11번가는 올해 핵심 카테고리로 ‘마트’와 ‘패션’을 선정하고, 무료 멤버십 프로그램과 강화된 배송 역량을 결합해 고객 락인(Lock-in) 효과를 높일 계획입니다. 또한 매력적인 가격의 딜(Deal)과 초저가 상품 라인업을 확대해 고물가 시대의 고객 유입과 구매를 이끌어 낸다는 전략입니다. 셀러의 판매 활동을 활성화하고 매출을 높일 수 있도록 셀러 지원 정책을 개선하고 검색을 고도화하는 등 ‘셀러 지향적 플랫폼’을 강화함으로써 성장 플라이휠을 더욱 활성화시킨다는 계획입니다. 안정은 사장은 “지난해 모든 구성원이 힘을 모아 고객과 셀러를 향한 다양한 서비스를 정교하게 고민하고 빠르게 실행, 오픈마켓 부문에서 릴레이 흑자를 일궈내는 등 놀라운 성과를 만들었다”며 “2025년에도 도전을 멈추지 않고 고객과 셀러를 위한 더욱 가치 있는 플랫폼을 만들어 지속 가능한 성장을 반드시 이뤄갈 것이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삼성전자[005930]가 최근 매입한 자사주에서 약 3조원을 소각하고 추가로 3조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삼성전자는 보통주 5014만4628주, 우선주 691만2036주 규모의 주식 소각을 결정했다고 18일 공시했습니다. 1주당 가액은 100원이며 총 소각예정금액은 3조486억9699만9300원입니다. 이번 결정은 지난해 11월15일 이사회 결의에 따라 취득한 자기주식에 관한 소각 건입니다. 소각 예정일은 이달 20일입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1월 이사회에서 향후 1년간 총 10조원의 자사주를 분할 매입하고 이 중 3조원의 자사주를 3개월 내 사들여 전량 소각하기로 의결한 바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배당가능이익 범위 내에서 취득한 자기주식을 이사회 결의에 의해 소각하는 것으로 주식 수만 줄고 자본금의 감소는 없다"고 이번 자사주 소각 결정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이어 삼성전자는 추가로 약 3조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오는 19일부터 5월16일까지 보통주 4814만9247주, 우선주 663만6988주를 매입할 예정이며 각각 약 2조6963만원, 3036억4220만원어치 규모입니다. 매입한 3조원의 자사주에서 약 5000억원은 임직원 상여 지급 등 주식기준보상을 목적으로 하며 나머지 약 2조5000억원은 주가 안정 및 주주가치 제고 등의 목적으로 취득할 예정이라고 삼성전자는 공시를 통해 설명했습니다. 앞서 삼성전자는 올해부터 임원 초과이익성과급(OPI)의 50% 이상을 주식으로 주기로 결정한 바 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트럼프발 '관세전쟁'에 한국의 수출길에도 경고등이 켜졌습니다. 지난해 사상 최대 대미 무역 흑자를 거둔 한국에 고관세가 적용될 경우 미국 매출 비중이 큰 식품기업들의 성장세가 꺾일 수 있다는 우려 섞인 전망이 제기됩니다. 미국 내 생산 공장 보유 여부가 향후 성장의 변곡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에도 힘이 실립니다. 1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한국의 농식품 수출 1위 국가입니다. 지난해 대미 농식품 수출액은 15억8870만달러(약 2조2000억원)로 전년 대비 21% 증가하며 일본·중국을 제쳤습니다. 지난해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액은 557억달러(81조원)입니다. 한국은 미국을 상대로 7년 연속 무역 흑자 신기록을 경신하고 있지만 마냥 웃을 수만은 없는 입장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국 제조업 보호 및 고용 촉진을 위해 보호무역주의 강화를 천명한 가운데 한국은 미국 무역적자국 TOP10에 포함되기 때문입니다. 한국 역시 관세 대상에서 예외가 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미국 공장 없는 삼양식품, 현지 조달 비중 낮은 대상 ‘긴장’ 한국산 제품은 ‘가성비’나 ‘프리미엄’, '독특함'의 가치를 인정받아 글로벌 시장에서 존재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은 전 세계 매운맛 라면 열풍을 주도하며 회사 실적을 매년 갈아치우고 있습니다.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식품업계에서는 이례적인 20% 수준에 영업이익은 최초로 3000억원을 돌파했습니다. 해외 매출 비중은 전체의 80%에 육박합니다. 삼양식품은 불닭볶음면 수출 물량 전부를 국내 밀양 1공장에서 생산합니다. 지난해 중국에 첫 공장 설립을 발표했을 뿐 미국에는 공장이 없습니다. 오는 6월 밀양 2공장 완공 시 늘어난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미주 매출이 더욱 증가할 수 있겠지만 관세가 붙게 되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라면 관세 부과가 현실화하면 삼양식품의 대미 수출 전략과 성장세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라면업체 입장에서는 마진을 줄여서라도 판매가를 동결해 소비자 저항을 최소화할지, 매출과 수익성을 유지하기 위해 고객층 이탈을 감수하더라도 현지 유통 채널 공급가격을 올릴지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미국 라면 판매가격은 한국과 동일하게 현지 채널에서 결정합니다. 대형마트 등에서 파는 농심 신라면 가격은 약 1달러, 닛신·마루찬 등 현지 생산 공장이 있는 기업 제품은 1달러 이하입니다. 불닭볶음면 1개 가격은 약 1.7달러(약 2500원)로 경쟁사 제품보다 약간 비싼 편입니다. 그럼에도 불닭볶음면의 인기는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지난해 미국을 포함한 미주 비중은 28%로 전년보다 8% 증가했습니다. ‘까르보불닭볶음면’은 사회관계망 서비스(SNS) 바이럴에 힘입어 월마트, 코스트코 등에도 입점을 완료했습니다. 하지만 불닭볶음면 가격이 경쟁사 제품과 2배 이상 차이가 난다면 소비자 저항선에 부딪혀 막강한 불닭의 기세가 꺾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아직까지 한국은 철강 쪽 관련해서만 이야기가 나오고 있고 식품 제품군에는 관세를 할지, 몇 퍼센트를 할지 등이 정확히 나오지 않은 상황이라 내부에서는 검토하고 있는 단계”라며 “관세 관련해 국가, 품목 등이 먼저 확정돼야 우리 같은 수출 기업이 대응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말했습니다. 관세 장벽이 높아지면 원조 K푸드인 김치 수출도 난항을 겪을 수 있습니다. 대상 종가는 지난 2023년 김치 수출액이 8300만달러로 그해 국내 김치 수출액의 53%를 차지하며 국내 김치 수출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국내 식품업계 최초로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 대규모 김치 공장을 세워 운영 중입니다. 지난해 종가 글로벌 수출액 9400만달러 중 대부분이 김치에서 나왔는데 미국이 일본을 넘어서 최대 김치 시장으로 올랐습니다. 이에 대상은 올해 미국 현지 식품사업 연간 매출액 목표를 1000억원으로 설정했습니다. 다만 LA 공장 보유에도 케파(생산능력) 자체가 크지 않아 해외 김치 물량을 대부분을 국내에서 생산해 수출하고 있습니다. 과세 자유로운 농심과 CJ제일제당..K빵은 미국 공장 설립 속도 트럼프 정부의 과세 정책으로 식품 기업들의 희비도 엇갈리는 양상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공화당 하원의원 콘퍼런스에서 "세금이나 관세를 내고 싶지 않다면 미국에 공장을 지어야 한다"고 말하며 자국 우선주의 정책 강화 기조를 분명히 했습니다. 대상처럼 앞서 미국에 진출해 현지 공장을 운영 중인 기업들은 한숨 돌렸을 거란 분석입니다. 농심은 2005년 미국 LA에 첫 공장을 세웠고 2022년 2공장 가동을 시작했습니다. 총 2개 공장을 통해 연간 최대 8억5000만개의 라면을 공급 중입니다. 농심은 2공장을 중남미 진출을 위한 발판으로도 삼고 있습니다. CJ제일제당은 수출보다는 현지 생산·판매로 글로벌 유통망을 넓히고 있는데 현지 업체 슈완스를 인수하면서 미국에 보유한 공장은 20개가 됐습니다. 2027년 사우스다코타 주 '북미 아시안 푸드 신공장'이 완공되면 21개로 늘어납니다. 7000억원을 투자한 신공장은 미국 중부 생산거점 역할을 맡을 예정입니다. CJ제일제당 관계자 "현지에서 공장을 운영하면 무엇보다 물류비를 많이 절감할 수 있고 현지 재료를 조달하다 보니 신선도 측면에서도 더 유리하다"며 "현재 관세 등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강해지고 있는데 현지 생산 판매를 하면 그런 부분에서도 어느 정도 자유롭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공장 설립을 앞둔 식품기업들은 현지 생산망 구축에 속도를 냅니다. CJ푸드빌은 올해 연말 완공을 목표로 조지아 주에 신 공장을 짓고 있습니다. 현재는 대부분의 생지 물량을 한국에서 수출하고 있습니다. 신 공장이 완공되면 현지에서 재료를 조달할 수 있게 되면서 관세 문제도 대비할 수 있다는 점을 회사는 이점으로 꼽았습니다. SPC파리바게뜨는 텍사스 주에 1억6000만달러를 들여 제빵 공장을 설립합니다. 2027년 하반기 가동을 목표로 올여름 착공에 들어갑니다. 텍사스 공장은 미국·캐나다를 비롯해 중남미 지역 진출까지 염두에 둔 생산기지입니다. SPC도 미국 파리바게뜨 매장에서 판매하는 베이커리 생지를 한국에서 100% 수출하고 있습니다. SPC 관계자 "파리바게뜨가 주로 수출하는 휴면반죽은 미국과 FTA를 통해 현재 관세가 0%이지만 향후 관세 정책이 어떻게 변화될지는 알 수 없는 상태"라며 "현지 공장에서 생산을 하게 되면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정부는 중국 10% 추가 관세를 시작으로 다음달부터 외국산 철강·알루미늄 대상으로 예외 없이 25% 관세를 부과하기 했습니다. ‘상호 관세’까지 발표하며 상대국에도 미국 상품에 적용되는 관세율과 같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상황입니다. 과세 포함 국가나 품목, 시기 등 구체적인 행정명령이 나오지 않은 만큼 식품기업들은 상황을 지켜보며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 내내 관세 문제가 지속할 가능성이 높은데 관세가 결정되면 아무래도 현지에서 생산할 수 있는 여력을 갖춘 기업에 유리할 것"이라며 "현지 생산 라인 없이 전량 수출에만 의존하는 식품기업들은 관세 현실화 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