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KT는 연결 기준((K-IFRS) 올해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한 6조2777억원, 영업이익은 매출 성장과 자산 매각에 따른 일회성 이익이 약 746억원 반영되며 전년 동기 대비 41.1% 증가한 6266억원을 기록했다고 12일 밝혔습니다. 별도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4조6084억원, 4299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7%와 17.5% 성장했습니다. 서비스 매출은 연결 기준 6.4% 성장한 5조5655억원, 별도 기준은 3.6% 성장한 3조962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부문별로는 기존 유·무선 사업(Telco B2C) 중 무선 매출은 5G 가입자가 전체 핸드셋 가입자 중 약 50%인 695만명을 돌파하고 넷플릭스, 디즈니+에 이어 유튜브 프리미엄 등 구독형 연계 서비스 확대로 질적 성장을 이뤄내며 전년 동기 대비 1.9% 늘었습니다. 홈유선전화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8% 감소했지만 초고속인터넷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6% 상승했습니다. B2C 플랫폼 사업(DIGICO B2C)은 미디어 사업과 인증·결제 등 모바일 플랫폼 사업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 4.7%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작년 Seez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GS칼텍스가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영업이익을 올렸습니다. GS칼텍스는 올해 1분기에 연결기준 잠정집계 결과 매출액 11조2892억원, 영업이익 1조812억원을 기록했다고 10일 밝혔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5.6%, 70.9% 증가한 수치로 영업이익은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입니다.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은 7858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46.3% 늘어났습니다. 매출액은 직전 분기(11조2848억원)와 비슷한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직전 분기 대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77.5%, 109.6% 증가했습니다. 부문별로 보면 정유 부문은 매출액 8조8628억원, 영업이익은 전분기보다 80.6%증가한 1조609억원을 기록해 분기 최대 영업이익 경신에 기여했습니다. GS칼텍스는 "유가 상승에 따라 재고 관련 이익이 늘고, 점진적 수요 증가로 정제마진이 개선된 덕분"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석유화학 부문은 매출액 1조9719억원, 영업손실 50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파라자일렌(PX) 스프레드는 전 분기보다 상승했으나, 올레핀(Olefin) 제품은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중국의 주요 도시 봉쇄 조치 등으로 수요가 감소해 스프레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SK텔레콤은 연결 재무제표 기준 올해 1분기 매출 4조2772억원, 영업이익 4324억원, 순이익 2203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고 10일 밝혔습니다. MNO(Mobile Network Operator)와 IPTV 등 주요 사업 영역에서 성장을 이어가며 전년 동기 대비 연결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4%, 15.5% 성장했습니다. 순이익은 지난해 11월 시행한 인적분할로 SK하이닉스 지분법 이익 등이 제외돼 61.5% 감소했습니다.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는 2022년 첫 분기 실적 발표에서 MNO와 미디어 영역에서의 성장을 바탕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했습니다. SK텔레콤은 별도 기준 1분기 매출 3조774억원 ,영업이익 3569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2%, 16.2% 성장했습니다. 5G 가입자가 100만명 이상 증가한 것이 매출 신장에 기여했습니다. SK브로드밴드는 전년 대비 6.1% 증가한 매출 1조260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0.9% 증가한 761억 원입니다. SK브로드밴드는 2021년 2분기부터 4분기 연속 IPTV 가입자 순증 1위를 달성했습니다. 미디어 사업은 매출액이 전년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카카오는 2022년 1분기 매출(한국국제회계기준)이 전년 동기 대비 31% 늘어난 1조6517억원을 올렸다고 4일 밝혔습니다. 영업이익은 전 분기 대비 49%, 전년 동기 대비 1% 증가한 1587억원으로 영업이익률은 9.6%를 기록했습니다. 카카오의 올해 1분기 플랫폼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한 8860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톡비즈 매출은 전 분기 대비 3% 감소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한 4610억원을 기록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이 중 비즈보드, 카카오톡 채널 등 광고형 매출은 전 분기 대비 떨어졌지만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했습니다. 선물하기, 톡스토어 등 거래형 매출은 전 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포털비즈 매출은 전 분기 대비 13%, 전년 동기 대비 3% 감소한 114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플랫폼 기타 부문 매출은 전 분기 대비 22% 감소했으나 카카오모빌리티와 카카오페이의 안정적인 수익 확대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52% 증가한 3110억원을 올렸습니다. 카카오의 콘텐츠 부문 매출은 전 분기 대비 2% 감소,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한 7657억원이었습니다. 특히 스토리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SK이노베이션은 올해 1분기에 매출 16조2615억원, 영업이익 1조6491억원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습니다. 지난해 1분기 대비 매출액은 6조8571억원(72.9%), 영업이익은 1조647억원(182.2%) 각각 증가했습니다. 덕분에 분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의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사업별 실적을 보면 석유사업의 영업이익은 1조567억원에 달했습니다. 1분기 SK이노베이션의 석유제품 수출물량은 3100만배럴로 전 분기 대비 35%, 지난해 동기 대비 57% 각각 증가하며 호실적을 주도했습니다. 배터리 사업은 유럽 고객사의 판매물량 증가, 메탈 가격 상승에 따른 배터리 가격 상승 등으로 전분기보다 1934억원 증가한 1조2599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5263억원)보다 2.4배 증가한 실적입니다. 다만 양산을 시작한 헝가리 제2공장의 초기 가동 비용 발생과 원재료 가격 상승 등의 여파로 2734억원의 적자를 냈습니다. 업계에서는 SK이노베이션 배터리 사업 올해 연간 매출액이 미국과 헝가리 신규 공장 양산에 따른 매출 증가 및 배터리 가격 상승이 반영되면서 7조원 중반대를 달성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는 지난해 연간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LG전자는 올해 1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21조1114억원, 영업이익 1조8805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8.5%, 영업이익은 6.4% 각각 증가한 것으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역대 최대입니다. 증권가의 전망치(매출 20조원, 영업이익은 1조3546억원)를 웃도는 실적이자 종전 분기 최대치인 2021년 4분기(21조86억원)보다 1000억원 이상 많고, 영업이익도 기존 최대치였던 2021년 1분기 실적(1조7673억원)을 상회하는 기록입니다. 사업본부별로 나눠보면 생활가전을 담당하는 H&A 사업본부는 매출 7조9702억원, 영업이익 4476억원을 기록했습니다. LG 오브제컬렉션을 비롯해 신가전, 스팀가전 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 증가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8.8% 늘어나며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했습니다. TV 사업 등을 담당하는 HE사업본부는 4조649억원의 매출로 최근 6개 분기 연속 4조원을 돌파했습니다. 영업이익은 188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글로벌 TV 시장은 정체 중이지만 올레드 TV, 초대형 TV 등이 꾸준히 판매 성장을 이뤄내면서 성과를 냈습니다. VS(자동차전장)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삼성전자[005930]가 다음 달 5일을 시작으로 무선 이어폰 신제품 '갤럭시 버즈3 FE'를 글로벌 출시한다고 19일 밝혔습니다. 갤럭시 버즈3 FE는 기존 갤럭시 버즈3 시리즈의 신작으로 블레이드(Blade) 디자인, 향상된 오디오 성능, 갤럭시 AI 기능을 지원합니다. 향상된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지원하며 수음 품질을 높였습니다. 블레이드를 위아래로 쓸거나 손가락으로 집는 등의 동작을 통해 볼륨 조절을 비롯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 케이스의 페어링 버튼을 이용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여러 갤럭시 기기와 연결할 수 있습니다. 갤럭시 제품 간 갤럭시 버즈3 FE 연결을 자동으로 전환하는 오토 스위치 기능을 통해 끊김없는 사운드 경험을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헤이 구글'과 같은 명령어를 말하거나 블레이드를 길게 눌러 제미나이를 호출할 수 있고 스마트폰을 꺼내지 않고도 제미나이와 대화해 일정, 메시지 등 확인이 가능합니다. 갤럭시 버즈3 시리즈가 지원하는 음성 통역 기능도 지원합니다. 갤럭시 스마트폰과 연결한 후 통역 앱의 '듣기 모드' 기능을 실행해 외국어로 진행하는 강의도 사용자의 언어로 실시간으로 들을 수 있습니다. '대화 모드'를 통해 외국인과 대화하는 상황에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갤럭시 버즈3 FE는 블랙과 그레이 2가지 색상으로 출시됩니다. 다음 달 5일 미국, 유럽을 시작으로 전 세계 순차적으로 출시되며 국내는 9월 중 출시 될 예정입니다.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KG모빌리티(이하 KGM)는 KOTITI시험연구원(코티티)과 배터리 및 모빌리티 기술 관련 법규 대응과 시험 평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습니다. 지난 14일 평택 KOTITI E-Mobility 센터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심준엽 KGM ECO파워센터 상무와 김민 KOTITI 이사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했습니다. KOTITI시험연구원은 자동차와 전기전자 부품 시험·검사 전문기관으로, 국내외 규제와 인증 대응 교육 및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023년 평택에 E-모빌리티센터를 설립했으며 지난 5월 배터리 시험동을 완공하는 등 차세대 배터리 시험·인증 역량을 갖췄습니다. 양측은 이번 협약을 통해 차세대 배터리 개발 시험과 인증, 자동차 소프트웨어 신뢰성 평가, 부식·진동·충격 시험 등 모빌리티 관련 신규 인증 시험과 표준화까지 폭넓게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KGM은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 등 강화된 국내 법규 시험에 신속히 대응하고, 유럽 GTR(Global Technical Regulations) 권고에 맞춰 인증 시험과 배터리 개발 역량을 강화한다는 계획입니다.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는 전기차 배터리를 차량에 장착·판매하기 전 국토교통부가 직접 시험을 통해 안전성을 인증하는 제도로, 지난 2월부터 시행 중입니다. KGM은 이를 기반으로 열폭주를 방지하는 ‘열전파 차단 안전성 기술(No Thermal Propagation)’ 개발에도 속도를 낼 방침입니다. KGM 관계자는 “KOTITI와의 협력으로 국내외 법규와 규제 대응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친환경차와 차세대 모빌리티, 배터리 기술 개발을 가속화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동원F&B(대표 김성용)는 신 성장 동력으로 아이스크림 사업을 선정하고 본격적인 카테고리 확장에 나섰다고 19일 밝혔습니다. 동원F&B는 첫 아이스크림 제품으로 ‘덴마크 하이 그릭 프로즌 요거트’를 출시했습니다. 신제품은 유가공 브랜드 ‘덴마크 하이’의 그릭 요거트를 얼려 만든 제품입니다. 덴마크산 유산균을 함유하고 있으며 100ml 기준 당류 2g, 지방0.6g의 저당·저지방으로 설계했습니다. 동원F&B는 발효유, 백색 시유, 가공유, 커피 등 유제품과 말차, 홍차 등 음료 제품군을 보유한 만큼 이를 활용해 아이스크림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춘다는 구상입니니다. 동원F&B 관계자는 “건강을 즐겁게 관리하는 헬시플레저 트렌드에 따라 열량과 당류 등 영양 성분까지 고려한 아이스크림이 주목 받고 있다"며 "40여년 동안 쌓아온 유가공, 음료 기술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아이스크림 제품을 국내외 시장에 선보이며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키워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삼성중공업이 오세아니아 선주 2곳과 LNG운반선 6척을 총 2조1000억원에 수주했다고 18일 밝혔습니다. 삼성중공업은 지난 15일 오세아니아 선주와 각각 4척, 2척의 계약을 체결하며 단숨에 2조1000억원 규모 수주를 확보했습니다. 이들 선박은 오는 2028년 11월까지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입니다. 이번 계약으로 삼성중공업은 올해 수주 목표 98억달러의 49%인 48억달러를 달성했습니다. 현재까지 ▲LNG운반선 7척 ▲셔틀탱커 9척 ▲에탄운반선 2척 ▲원유운반선 4척 ▲컨테이너선 2척 ▲해양생산설비 사전작업 1기 등을 확보했습니다. 상선 부문은 목표 58억달러 중 41억달러(24척, 70%)를 수주하며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해양 부문 역시 지난 7월 체결한 7억달러 규모 해양생산설비 예비계약 이후 본계약을 추진 중입니다. 연말까지 FLNG 1기를 추가 수주해 목표 달성을 노리고 있습니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IMO의 글로벌 해운 탄소세 도입으로 친환경 선박 수요가 이어질 것”이라며 “충분한 수주잔고를 바탕으로 수익성 중심의 선별 수주를 지속하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