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문혜원 기자] 최근 은행들이 도서 업계(서점·출판사)와 손을 잡고 문화 콘텐츠 사업을 시도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영업지점을 아예 ‘서점'으로 만드는 가하면, 문화공헌활동의 뜻에서 '작은 도서관'도 운영하고 있다.
◇ 서점이 있는 은행..컬처뱅크·병영카폐

최근 KEB하나은행이 컬처뱅크 3호점을 오픈하면서 많은 관심을 받았다. 컬처뱅크는 은행과 카페, 서점을 한 곳에 모아놓은 듯한 이색적인 공간이다. KEB하나은행은 지난해 말 1호점(방배서래점·공예), 지난5월 ‘힐링서점’(광화문역) 2호점에 이어 지난 10일 잠실 레이크팰리스 지점에 ‘ 3호점’을 열었다.
컬처뱅크 2호점인 광화문역 지점은 ‘책과 힐링’을 테마로 하고 있다. ‘책맥(책과 맥주)’이라는 신조어를 탄생시킨 독립서점 ‘북바이북’과의 협업을 통해 은행과 서점이 한 공간에 공존하는 복합 문화 공간을 탄생시켰다.
‘컬처뱅크 2호점’은 광화문역에 위치해 있다는 장점 때문에 직장인들이 많이 방문하고 있다. 실제 한 직장인은 “은행 업무를 보기 위해 방문하기도 하지만 일부로 책을 보기 위해 오기도 한다”고 말했다.
최근 오픈한 컬처뱅크 3호점은 책 뿐만 아니라 자연주의를 지향하는 메뉴로 구성된 각종 상품·판매물품을 구경할 수 있다. ‘도심 속 자연’을 주제로 한 각종 기획 상품공간은 예술전시관 못지 않다는 평을 받고 있다.
컬처뱅크의 또 다른 장점은 주말에도 이용가능하다는 점이다. 일반 은행 영업이 종료돼도 지점 내 카페와 편의 시설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8시까지, 토요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8시까지 누구나 이용 가능하다.
군장병을 위한 ‘병영독서카폐’도 눈길을 끈다. IBK기업은행은 (사)사랑의책나누기운동본부와 협업해 경기도 과천에 위치한 국군기무사령부에 이 독서카폐를 건립했다. 향후에도 국군 기무사를 포함해 연말까지 총 세 곳에 건립을 지원할 계획이다.

‘병영독서카페’는 컨테이너를 개조한 소규모 도서관으로 700여권의 도서, 편의시설, 냉난방시설이 완비된 문화공간이다. 장병들의 인성함양과 자기계발 지원을 위해 2015년 12사단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총 8개의 병영독서카페 건립을 지원한 바 있다.
김도진 기업은행 행장은 “국토방위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 군장병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병영독서카페가 장병들이 꿈과 미래, 인생의 전환점을 마련하는 의미있는 장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지역 도서관 운영..사회공헌활동 조성 사업
이밖에 은행들이 다양한 독서 관련 프로그램과 경제금융교육 등도 접목한 ‘작은 도서관’도 운영하고 있다.

우선 KB국민은행은 문화소외지역 청소년과 주민들을 위해 지방자치단체 유휴공간을 도서관으로 개보수해 주고 있다. 꿈과 희망, 소통과 여가가 공존하는 ‘작은도서관’ 조성 사업이다. 올해 7개의 작은 도서관이 새로 건립될 예정이다.
KB국민은행 ‘작은도서관’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함께 2008년 첫발을 내디딘 이래 강원도 영월 ‘월담작은도서관’(사진), 경북 칠곡 ‘동명작은도서관’, 전북 군산 ‘구암작은도서관’, 강원 평창 ‘방림계촌작은도서관’ 등 전국 69개 유휴공간이 도서관으로 탈바꿈했다.
여기에 직원들도 도서를 기증하며 힘을 보태고 있다. 2015년부터 6월 말 현재까지 작은 도서관에 기증된 도서는 총 1만9381권에 달한다.
이외에도 우리은행은 주거래 고객을 위한 ‘행복도서관’을 운영한다. 매월 500종의 50000권의 우수도서를 선정해 선물하는 이벤트도 제공하고 있다. SC제일은행은 지난 2011년부터 시각장애인을 위한 ‘착한도서관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이처럼 은행이 도서로 사회공헌활동을 지향하고, 문화콘텐츠 사업에 투자하는 모습을 두고 소비자들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또 도서시장업계에서도 출판시장의 전반적인 침체와 독서율 하락, 구매 수요 감소 등으로 변화하는 출판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은행을 통해 문화공유를 한다는 분석이다.
실제 은행의 도서를 이용한 고객은 “대형서점에서 책을 사려면 비싼 금액에 구입해야 하지만 은행에서 운영하는 책은 공짜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볼 수 있다”며 “기존의 은행, 도서관 등의 딱딱하다는 이미지를 탈피한다는 부분에서 긍정적으로 생각 한다”고 말했다.
김우성 한국서점조합연합회 과장은 “지역주민과 공유할 수 있는 문화 플랫폼으로 은행과 서점이 한 공간에 공존하는 복합문화 공간을 구성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은행은 독립서점 성향을 띈 복합서점의 공간으로써 훌륭하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