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이진솔 기자ㅣ 삼성전자가 8K 대형 디스플레이에 최적화된 디스플레이 구동 칩(DDI) ‘S6CT93P’를 29일 공개했다. 디스플레이 규격인 USI-T(Unified Standard Interface for TV) 2.0 인트라 패널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반도체다.
3300만 화소 8K(7680X4320) 디스플레이는 200만 화소 FHD(1920X1080)보다 화소 수가 16배 많다. 그만큼 8K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려면 16배 늘어난 고용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 속 화소에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S6CT93P DDI는 삼성전자가 자체 개발한 USI-T 2.0을 내장해 초당 4기가바이트 속도로 이미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기존 USI-T 1.0보다 전송 속도가 2배 빨라졌다. 이 제품을 사용하면 TV 속 데이터 전송 회선을 줄여 TV를 더 얇게 만들 수 있다.

또 삼성전자는 S6CT93P에 ‘스마트 이퀄라이저(Smart Equalizer)’ 기능을 적용해 패널 개발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디스플레이 패널 개발자는 이미지 데이터가 티콘(TCON)에서 DDI로 이동하며 손실되는 왜곡현상을 줄이기 위해 DDI 이퀄라이저 회로를 직접 점검해야 했다.
스마트 이퀄라이저는 티콘과 각 DDI 사이에 양방향 통신을 지원한다. 티콘을 조절하면 DDI가 알아서 최적 화질을 맞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삼성전자 측은 “개발자 실수로 인한 오작동을 줄여 TV 개발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글로벌 TV 회사들은 8K 해상도에 65인치 이상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채용한 초고해상도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삼성전자도 CES2019에서 8K QLED TV를 선보였다. 삼성전자를 포함한 TV 제조사들은 ‘8K 협의체’를 함께 만들어 기술 표준화와 시장 확대를 계획하고 있다.
허국 삼성전자 System LSI사업부 마케팅팀 전무는 “4K를 넘어 8K 해상도의 대형 TV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초당 4기가비트(Gbps)급의 고속신호 전송이 효율적”이라며 “USI-T 2.0의 신규 고속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S6CT93P로 8K TV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