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이진솔 기자ㅣ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인수가 사실상 확정된 가운데 우리나라가 지난 1월 세계 선박 수주량에서 중국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세계 선박업계 발주량도 주춤하는 추세지만 한국 조선사들의 주력 선종 가격은 상승세를 유지했다.
12일 영국 조선·해운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달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214만CGT(78척)로 나타났다.
국가별 수주량은 중국이 108만CGT(57척)로 한국 58만CGT(12척)를 제치고 1위에 올랐다. 3위는 24만CGT(3척)를 수주한 이탈리아였고 일본은 20만CGT(4척)로 뒤를 이었다.
세계 선박업계 발주량 증가세는 둔화됐다. 지난달 전 세계 발주량은 수주 가뭄을 겪던 2016년 1월 135만CGT에서 59% 증가했지만 358만CGT를 기록한 지난해 1월에 비해 40% 감소했으며 지난해 월평균 발주량 248만CGT에도 다소 못 미쳤다.

수주잔량도 감소했다. 지난달 말 전 세계 수주잔량은 지난해 12월 말 대비 168만CGT가 줄어든 7959만CGT로 나타났다. 수주잔량은 계약을 체결했지만 아직 선주에게 인도하지 않은 물량이다. 수치가 높을수록 조선소 일감도 많은 것으로 여겨진다.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 2890만CGT(36%)·한국 2161만CGT(27%)·일본 1369만CGT(17%)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12월보다 각각 중국 45만CGT·한국 65만CGT·일본 48만CGT 씩 감소한 수치다.
선박 인도량은 12월에 줄었다 이듬해 크게 증가하는 업계 특성상 연초에 높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지난달 선박 인도량은 373만CGT로 지난해 월평균 인도량인 254만 CGT에 비해 큰 폭으로 늘었다. 다만 지난해 1월 인도량 503만CGT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초대형원유운반선(VLCC)과 액화천연가스(LNG)선의 선가 상승세는 유지됐다. VLCC는 50만달러, LNG선은 100만달러 올랐다. 국내 2위 대우조선해양 인수로 고부가가치 선박인 VLCC와 LNG 부문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갖추게 된 현대중공업에는 유리한 환경이 만들어지는 셈이다.
조선업계 먹구름이 걷힐지는 미지수다. 7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달 우리나라 선박 수출액은 20억 1100만달러로 전년 동월 24조 4450만달러에서 17.8% 감소했다.
산자부 관계자는 “지난해 1월 선박 수출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와 2016년 수주 절벽에 따른 파급효과 때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