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유은실 기자ㅣ코로나19 확산 여파에 은행권은 다사다난한 2020년을 지나왔습니다. 점포 축소와 충당금 적립, 금융지원, 빚투·영끌 열풍에 신용대출 중단까지 코로나19가 지난해 은행권을 뒤흔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본격적인 ‘포스트 코로나’ 시대인 2021년을 맞아 은행권을 좌우할 주요 이슈를 조명해봅니다. 올 한해는 ‘디지털 먹거리’를 선점하기 위한 은행·빅테크간 경쟁이 어느 때보다 치열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비재무적 요소인 ‘ESG(환경·사회·지배구조, 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와 재무적 요소인 신용리스크 관리 모두 한층 더 중요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 ‘디지털 먹거리’ 선점 중요..“은행 차별성으로 승부”
올해 은행권의 가장 큰 이슈는 ‘디지털 먹거리’가 될 전망입니다. 저금리·저성장 시대에 은행권 주요 수익 창출원으로 꼽히던 순이자마진(NIM)이 사상 최저치로 떨어졌고 빅테크 공습에 은행 고객 증가세도 발목을 잡힌 상황에서 돌파구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지난해 본격화된 금융의 디지털화 바람으로 네이버, 카카오, SK텔레콤, KT 등 국내 빅테크사의 금융산업 진입이 가시화되면서 디지털 먹거리 선점 경쟁에 불이 붙었습니다. 국내 세 번째 인터넷은행인 토스뱅크도 오는 7월 출범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은행권은 올해 도입될 예정인 마이페이먼트사업에 힘을 쏟을 계획입니다. 마이페이먼트사업은 선불로 충전하는 절차 없이 사업자가 은행에 지급지시를 하면 은행이 소비자 계좌에서 바로 가맹점 계좌로 입금하는 구조입니다.
마이페이먼트사업에서 좋은 성적을 보이면 ‘오픈뱅킹’과 ‘마이데이터’에도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평가입니다. 로그인 한번 만으로 모든 계좌를 활용해 결제·송금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더해 공인인증서 대체재인 ‘금융인증서’ 경쟁도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전문가들은 은행이 전통적인 기능만으로는 빅테크를 넘어설 수 없다고 조언합니다. 은행 서비스에 디지털 기술력을 접목해 승부수를 던져야 승산이 있다는 겁니다.
서병호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디지털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은행들은 자사 플랫폼의 개방성을 높이고 킬러 상품을 개발하는 등 차별성을 키워야 한다”며 “예를 들어 방문판매와 연계한 온라인 버전의 PB·기업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선택 아닌 필수 ‘ESG’..“상품·조직에 녹인다”
은행 채권 상품 뿐 아니라 조직개편·경영에서도 ‘ESG’가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에너지·재활용 등 환경 이슈, 고객만족·데이터보호 등 사회 이슈, 이사회 구성·내부고발 등 지배구조 이슈에 관심을 갖고 관리에 들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금융연구원도 ESG 경영 강화로 비재무적 리스크를 타이트하게 관리해야 한다고 진단했습니다. ESG 관심이 높은 밀레니얼 세대를 고객으로 유인하고 은행 이미지 광고시 환경이나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행사한다는 점을 강조한 겁니다.
코로나19로 기후·환경·사회에 대한 국내외 인식도 높아진 상황입니다. 실제로 2020년 은행권 ESG 채권 발행 증가율은 37.2%로 집계됐습니다. 하나은행은 이번에 ESG 전담 부서인 ‘ESG기획 섹션’을 신설하기도 했습니다.
◇ 신용리스크 관리에 ‘적극’..구체적인 방법은?
은행권은 어느 때보다 신용리스크 관리에 적극적으로 나설 전망입니다. 코로나19 여파로 은행권 대출이 유례없이 급증했고 영끌·빚투까지 겹치면서 가계대출도 폭증했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응해 KB국민·신한은행도 작년 12월부터 신용대출 중심으로 대출 문을 걸어 잠궜습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 사태의 장기화에 대비하고 현재 환경이 1~2년간 이어질 수 있다는 가정 아래 은행은 ‘여신 포트폴리오’를 관리하고 ‘대손충당금’을 보수적으로 적립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합니다.
잠재부실 현실화와 버블붕괴 가능성에 대비하라는 겁니다. 특히 금융지원 차원에서 발생한 대출자산의 편중·가치변동 리스크는 대출 매매시장과 CDS(신용부도스와프)를 활용해 헤지하고 대손준비금도 적립해야 재무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제시했습니다.
은행권이 신축년(辛丑年) 생존 과제라고 할 수 있는 ‘디지털·친환경 은행’으로 거듭날 수 있을지, 소비자보호 강화 기조를 따라가면서도 리스크관리에 선방할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