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B증권이 22일 후성에 대해 LiPF6(전해질) 가격 상승과 중국 내 폐수처리장 증설 효과로 실적 턴어라운드를 전망했다. 이에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7만원을 유지했다.
KTB증권은 전해질 가격 상승 효과는 올해 2분기부터 드러날 것으로 예상했다. 3분기부터 동사는 현물 가격 중심 대응 계획을 세워 판가 상승세는 더욱 가팔라질 것으로 추정된다.
전해질 가격 상승은 더욱 가팔라지고 있는 추세다. 2017년 전해질은 대규모 치킨게임 이후 공급 과잉이 지속됐다. 그러나 최근 중국 배터리 소재 업체 환경 규제 강화에 따른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서 전해질 공급 부족도 발생하고 있다. 김양재 KTB증권 연구원은 공급 부족은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후성은 폐수처리시설 증설이 마무리되는 대로 올해 하반기부터 공장 가동을 바로 할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따라 전해질 가격을 톤 당 5만달러로 가정한다면 해당 소재 매출은 기존 1200억원에서 3080억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작년 동사의 전사 매출은 2161억원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