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내년에도 해운업 호황 국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제조업의 성장은 둔화하고 내수·서비스업의 업황은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하나은행소속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2022년 산업 전망 보고서’를 27일 발표했습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팬데믹 특수로 호실적을 보였던 IT·자동차·반도체 등 최종재 제조업의 경기 사이클이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최근의 ▲공급망 차질 ▲중국 경기둔화 리스크 ▲원자재 가격 부담이 국내 주요 산업의 회복세를 끌어내릴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전기차 전환에 따른 수요가 증가하는 2차전지와 물동량 증가세가 지속되는 해운업은 호황 국면이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화학·정유·철강 등 소재산업군은 제품가격 상승의 수혜가 사라지겠지만 전방 수요 개선으로 인해 상대적 호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위드코로나 환경으로 전환됨에 따라 거리두기가 완화되고 소비심리도 개선되면서 내수·서비스업은 업황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특히 음식료는 외식 수요확대에도 건강 및 웰빙기능식품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팬데믹 위기가 완화되더라도 ▲공급망 교란 지속 ▲기후 위기 대응 부담 ▲위드코로나의 일상화에 따른 변화를 기업들이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위드코로나 환경으로의 전환이 서비스 업종에 따라 다른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유통·디지털플랫폼의 성장 지속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전망을 보였지만 온라인화·무인화 등으로 운영 형태의 전환을 통해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여행·숙박·공연업은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코로나 이전 수준까지 도달하기에는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김남훈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코로나 시대에 억눌렸던 소비가 빠르게 회복될 수 있다”며 “하지만 공급차질로 인한 제조업의 생산차질 리스크가 남아 있고 공급원가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부담도 높아 기업들의 경영관리 역량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