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4일 한미약품[128940]이 올해 3분기 영업이익 369억 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했다고 잠정 공시했습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03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5% 증가했습니다.
한미약품은 작년 3분기 사노피와의 파트너십 계약 종료로 공동연구비 잔액을 일괄 정산하면서 적자가 발생했으나, 매 분기 안정적 실적과 3분기 국내외 매출 호조로 흑자전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영업이익 흑자전환에는 중국 자회사의 실적이 기여했습니다. 한미약품의 중국 현지법인 북경한미약품은 전년 동기 대비 82.6% 성장한 754억 원의 매출과, 약 200배 상승한 193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

제품 별로 살펴보면 ▲로수젯(고지혈증치료 복합신약)은 284억 원 ▲아모잘탄패밀리(고혈압치료 복합신약)는 286억 원 ▲에소메졸(역류성식도염치료제) 122억원의 3분기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한미약품은 작년 처방매출 100억원 이상의 블록버스터 제품을 총 12종 배출했으며, 올해도 그 이상의 실적을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R&D 부문도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미약품의 첫 번째 바이오신약 롤론티스(호중구감소증 치료제)가 지난 1일 출시됐습니다. ▲에페글레나타이드(GLP-1 당뇨 치료제) ▲LAPSTriple Agonist(NASH 치료제) ▲포지오티닙(폐암 치료제) 등은 임상 결과가 해외 학술지에 지속적으로 등재됐습니다.
북경한미약품의 경우 ▲이탄징(진해거담제)이 245억 원 ▲어린이정장제 마미아이가 194억 원 ▲변비약 리똥이 174억 원의 3분기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북경한미약품은 중국 전역에서 판매량이 급증하는 시럽제 생산을 효율화하기 위해 생산 라인을 증설했다고 전했습니다. 연간 최대 2억 2500만 병을 생산할 수 있는 이 시설은 지난 7월 중국 정부로부터 GMP(의료기기 품질 관리심사) 인증을 받았습니다. 유통과 생산 관리를 위해 스마트 자동화 물류창고도 건설했습니다.
우종수 한미약품 대표이사 사장은 “코로나19 여파로 주춤했던 모습을 탈피해 완연한 성장세로 돌아선 의미있는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며 “개량·복합신약의 탄탄한 성장과 자회사의 안정적 실적, R&D가 선순환하는 지속가능 경영에 매진하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