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롯데쇼핑(대표 강희태)이 ‘희망퇴직 관련 일회성 비용’ 발생과 마트·슈퍼 등 오프라인 매장의 ‘재난지원금 사용처 제외’ 영향으로 3분기 영업적자를 내며 실적 부진을 이어갔습니다.
롯데쇼핑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73.9% 감소한 289억원을 기록했다고 4일 공시했습니다. 매출은 4조66억원으로 같은 기간 2.4% 감소했습니다.
백화점과 홈쇼핑, 컬쳐윅스는 매출이 증가한 반면 마트·슈퍼와 이커머스, 하이마트는 매출 하락을 피하지 못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백화점의 경우, 명품·남성스포츠 중심으로 기존점 매출 성장세가 지속되며 매출 656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1.7% 오른 수치입니다. 다만 희망퇴직 비용이 일시적으로 반영되며 201억원의 영업적자를 냈습니다.
마트는 영업이익 120억원으로 50.5% 감소했습니다. 매출은 8.4% 줄어든 1조4810억원입니다. 슈퍼는 3분기 매출은 3800억원으로 16.5% 줄었고, 영업이익은 6.7% 증가한 30억을 기록했습니다. 재난지원금 사용처에서 제외된 게 마트와 슈퍼 매출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입니다.
이커머스 부문은 3분기 매출 24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0% 줄었고, 영업이익은 46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온라인 사업의 시너지 강화를 위해 각 사업부의 온라인 사업 조직을 이커머스로 이관하는 등 조정 작업을 올해 8월 진행하면서 판관비가 증가했고 영업적자 규모가 확대됐습니다.
하이마트의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7% 감소한 1조400억원, 영업이익은 9.0% 줄어든 51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집콕 영향에 백색가전 매출이 활황을 보였으며, 이로 인한 기저효과가 커 매출은 -0.7% 줄었고 판관비 증가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9.0% 줄었습니다.
홈쇼핑은 3분기 매출 2710억원, 영업이익 240억원의 실적을 보였습니다. 채널 번호 개선으로 매출은 4.9% 증가했으나 채널 번호 개선으로 인한 방송수수료 증가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0.0% 감소했습니다.
컬처웍스는 3분기 매출 790억원, 영업이익 -320억원을 기록했으며 지난해 코로나 영향이 컸기에 올해 매출의 경우 20.2% 증가했고 영업적자 규모도 전년 대비 축소했습니다.
롯데쇼핑 관계자는 “2020년과 2021년에 걸쳐 오프라인 구조조정을 통한 체질 개선과 병행해 온라인 사업 본격 도약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있는 중”이라며 “리빙, 중고거래 등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투자와 제휴도 지속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