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생명보험 가입자가 1명 이상인 가구 비율이 3년 전보다 5%p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금·저축성보험 세제혜택 축소와 1인 가구 비율 증가 등의 영향이라는 분석입니다.
생명보험협회는 지난 9월 11일부터 11월 2일까지 전국 2000가구를 대상으로 ‘제16차 생명보험 성향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생명보험사의 가구가입률이 81.0%로 나타났다고 20일 밝혔습니다.

생명보험 가구가입률은 민간 생명보험사와 수협·신협, 우체국의 생명보험에 1명이라도 가입한 가족 구성원이 있는지 표시하는 지표입니다. 가구가입률 81.0%는 이전 조사시기인 2018년(86.0%)보다 5%p 하락한 수치입니다. 민간 생명보험사 가구가입률(78.2%)도 3년 전에 비해 5.5%p 떨어졌습니다.
생보협회는 연금·저축성보험의 세제혜택이 축소되면서 판매실적이 낮아지고 코로나19와 경기침체 장기화로 인해 보험 해지가 증가해 가구가입률이 하락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평균 가구원 수 감소·1인 가구 증가 등 가구 구조 변화도 생명보험 가구가입률 감소를 촉진시켰다는 해석입니다.

민간 생명보험의 가입가구당 평균 가입건수는 4.3건, 월 평균 납입보험료는 39만 1000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간으로 계산하면 469만 2000원입니다. 3년 전에 비해 평균 가입건수는 0.2건, 월 평균 납입보험료는 5만 6000원이 줄었습니다.
가구주나 배우자가 민간 생보사 연금보험에 가입한 비율은 19.3%였습니다. 안정적인 노후를 위한 월 연금액은 50만 원~100만 원이라고 대답한 사람이 27.2%, 100만 원~150만 원이라는 응답자가 31.9%를 차지했습니다. 다만 현재 가입된 민간 생보사 연금보험의 월 연금액은 10만 원~50만 원(46.2%)과 50만 원~100만 원(33.4%)이 대다수였습니다.

가구주의 퇴직연금 가입률은 14.2%로 나타났습니다. 가입 유형은 DB형(확정급여형)이 57.8%로 가장 많았으며 ▲IRP(개인형) 25.4% ▲DC형(확정기여형) 17.3% 순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가입 시 선호하는 설계사 유형은 ‘특정 보험회사에 소속돼 소속사의 상품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설계사’가 46.9%로 가장 높았습니다. 인터넷·모바일 등 디지털 채널을 통한 보험 가입을 경험한 비율은 10.0%로 나타났습니다.
생보협회 관계자는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생산 노동 인구의 지속적 감소와 코로나19로 인한 장기간 경기침체 등으로 전반적인 보험수요가 위축된 상황”이라며 “맞춤형 상품개발과 판매 전략 등 변화하는 환경 요인과 소비자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다각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