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정형외과용 의료기기 업체 유앤아이의 주가가 에디슨EV의 지분 참여 소식에 극심한 변동성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에디슨EV 주식에 대한 먹튀 의혹을 받고 있는 투자자들이 재차 등장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은 지난해 투자조합 형태로 에디슨EV 주식을 대거 사들인 뒤 쌍용차 인수를 추진한다는 소식에 주가가 폭등하자 단기 차익실현에 나섰고 당국은 이에 대해 불공정행위 여부를 살피고 있다. 수년째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에디슨EV는 현재 대규모 자금조달이 연거푸 지연되며 쌍용차 인수 작업에 난항을 겪고 있다.
최근 유앤아이 주가는 관련 공시들이 이뤄지기 직전 상한가로 치솟았고 13년간 KT&G가 보유해 왔던 대규모의 유앤아이 주식도 직전에 매매가 이뤄져 사전 정보를 활용한 대량 매집이 아니냐는 의혹도 받고 있다.

에디슨EV ‘치고 빠진’ 세력, 이번엔 유앤아이로
16일 한국거래소 및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이달 초만 해도 5000원대에 머물던 유앤아이 주가는 순식간에 2만원(15일 종가)을 넘어서며 일주일 새 3배 넘게 폭등했다. 지난 10일과 11일 연달아 발표한 총 950억원 이상의 유상증자, CB, BW 발행 공시가 모멘텀으로 작용한 모습이다.
이 과정에서 지난해 에디슨EV 투자에 참여했다가 금세 차익실현에 나선 투자조합과 관련 인물들이 재차 등장했다. 유앤아이 자금조달 과정에서 이들의 이름이 다시 나오자 이번에도 주가 급등을 이용한 단기 차익실현을 꾀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유앤아이는 지난 10일 자사주 6억원 가량을 한정현 씨에게 처분했다. 한 씨는 유앤아이가 발행한 400억원 규모의 7, 8회차 CB 발행 대상인 여의도글로벌투자의 최대출자자에도 이름을 올렸다.
앞서 한 씨는 에디슨EV 투자에도 조합 등 다양한 형태로 참여했다. 에디슨EV는 지난해 6월과 7월 400억원 규모의 CB와 BW를 주식회사 한앤김을 대상으로 발행했는데 한 씨는 한앤김 지분 50%를 보유하고 있었다. 그는 투자조합 중 아임홀딩스 관계자로도 이름을 올렸다. 한 씨가 속해 있던 아임홀딩스는 지난해 6월 에디슨EV의 지분 5.49%를 보유했다가 3개월도 채 지나지 않은 시점에 조합원 현물 배분을 통해 지분율을 0%까지 낮췄다. 에디슨모터스가 쌍용차 인수의향서를 제출한 뒤 얼마 되지 않은 시기였다.
이번 유앤아이 9회차 CB와 1회차 BW 인수 기업인 한투오의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는 한수지씨도 스타라이트 투자조합에 참여했다. 스타라이트는 지난해 5월 에디슨 EV의 지분 5.3%를 보유했다가 8월에 지분율을 2.6%까지 낮췄다. 지분율을 5% 아래로 낮추면서 지분 보유 공시 의무에서 벗어난 것. 업계 관계자는 “M&A 과정에서 정보 공개가 제한적인 투자조합의 형태를 활용해 단기간에 대규모 주식을 사고팔며 막대한 수익을 거두고 빠져나가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설명했다.
에디슨EV는 지난해 7월 타법인증권 인수 목적으로 발행키로 한 800억원 규모의 3~6회차 CB가 수차례 지연되고 있는 상태다. 이 회사는 지난 2019년부터 2년 연속 당기순손실을 기록했고 지난해 역시 3분기까지 누적 적자가 지속되고 있다. 지난해 11월 8만2400원까지 찍었던 주가는 현재 2만원대 중반까지 추락한 상태다.
공시 전 이미 상한가..“불공정거래 모니터링 중”
유앤아이가 에디슨EV와 관련된 유상증자와 CB, BW 발행을 잇달아 발표하자 주가는 호재로 받아들이며 연일 급등세를 탔다. 하지만 공시가 발표되기 전 이미 상한가까지 올랐고 사전에 대규모 장외거래가 이뤄지는 등 미리 정보를 활용해 대규모 매집을 시도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유앤아이는 지난 10일 상한가를 기록했고 시장감시위원회로부터 투자경고종목 지정이 예고됐다. 이날 장 마감 후 에디슨EV에 155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진행하는 공시가 나왔고 그 외 자금조달 공시는 일제히 다음날 오전 발표됐다.
주가 급등 직전 대규모 거래도 있었다. 지난 8일 KT&G가 13년간 보유해 온 유앤아이 지분 12.82%(96만633주)를 장외 거래를 통해 처분한 것. 매수자는 민법상 조합으로 추정되는 티지코스닥벤처일반사모투자신탁 제1호, 로열티골드, 센트럴골드다. 이들은 주당 7451원에 해당 물량을 전부 사들였는데 이는 당시 주가 6540원(종가 기준)보다 약 14% 비싼 가격이다. KT&G 관계자는 “최근 매수를 희망하는 인수자 측 제안을 받고 매각하게 됐다”며 “인수자 측 관련 정보와 제안 시점에 대해서는 민감한 사항이라 밝히기 어렵다”고 말했다.
거래 가격과 주가를 감안하면 현재 보유할 경우 인수자 측은 매수 후 일주일 만에 174%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약 125억원의 수익금이 발생한 것으로 추산된다. 공시 직전 주당 5564원에 자사주 6억원어치를 받아간 한정현씨는 같은 기간 267%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16억원의 수익을 거둔 것으로 계산된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불공정거래를 검토하고 있는 사안을 직접적으로 공개하긴 힘들지만 거래소에서 각별한 모니터링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