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지난해 주말 미세먼지가 '나쁨'을 기록하면 한강 편의점의 평균 매출은 11%가 감소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KB국민카드는 지난 2019년부터 올해까지 4년간 개인 신용・체크카드 매출 데이터와 미세먼지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오프라인 가맹점 매출을 분석한 결과를 30일 공개했습니다. KB국민카드는 최근 3년 간(2020 ~2022년)의 미세먼지 농도와 SNS·블로그·뉴스 게시물 중 ‘미세먼지’ 단어를 포함한 문서를 살폈습니다.

국민카드에 따르면, 미세먼지 농도와 한강공원지역 편의점의 매출건수 증감을 검토한 결과, 2019년 미세먼지 '나쁨(미세먼지 농도 81㎍/㎥ 이상)'인 날의 매출건수는 16%(여의도 26%, 잠실 10%, 반포 6%) 감소했습니다. 주중 매출건수는 25% 감소했고, 주말 매출건수는 17% 줄었습니다. 코로나19 기간인 지난해에는 11% (여의도 11%, 잠실 20%, 반포 14%) 감소했고 주말에는 18% 하락했습니다.
같은 조건에서 한강공원지역 편의점의 미세먼지가 '나쁨'인 날 시간대별 매출건수 증감을 조사한 결과도 나왔습니다. 2019년 매출하락이 가장 높은 시간대는 15~18시로 주간 매출건수는 25%(주중 36%, 주말 28%) 감소했습니다. 반면 18시 이후 매출하락은 11%(주중 26%,주말 2%)에 그쳐 낮시간대보다 매출하락폭이 적었습니다. 지난해와 올해도 낮 시간대 보다 밤 시간대의 매출하락폭이 감소했습니다.

지난 4년 간 1~5월 미세먼지가 '나쁨'인 날의 여가·오락서비스 업종 매출건수 증감을 살펴보면, 2019년 실외형 여가·오락서비스의 주중 매출건수는 9%, 주말 매출건수 1% 감소했습니다. 지난해에는 주말 12%, 올해 주말에 22% 감소하면서 코로나19 전보다 감소 폭이 더 컸습니다.
2019년 미세먼지가 '나쁨’인 날의 실내형 여가·오락서비스 업종 매출은 주중 4% 감소한 반면 주말은 2%늘었습니다. 반면 지난해와 올해 주말 실내형 여가·오락서비스 업종 매출은 각각 13%, 9% 감소했습니다.

한편 2020년 1월부터 올해 5월까지 SNS·블로그·뉴스 등에서 ‘미세먼지’ 단어 발생 현황을 보면, 서울시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높았던 2021년 3월의 ‘미세먼지’ 단어 발생 문서는 약 30만건으로 집계됐습니다. 또한 올해 3월 미세먼지 단어 발생건수는 12만건 이상으로 코로나19 기간에도 미세먼지 농도가 높았습니다. 관련 내용으로 SNS·블로그·뉴스 등에서 언급량이 증가해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뜨거웠습니다.
KB국민카드 데이터전략그룹 관계자는 "국민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에 대하여 카드 매출 데이터와 공공데이터·SNS 등의 비정형데이터를 활용해 고객의 소비패턴을 더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며 "향후에도 다양한 주제로 소비 행태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을 할 예정이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