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신한금융그룹은 금융그룹 중 처음으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평가모형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습니다. 기업의 ESG 수준 평가를 통해 여신·투자 등 다양한 의사결정에 활용하기 위한 취지입니다.
이번 ESG 평가모형은 신한금융지주와 신한은행이 공동 개발했습니다. 신한금융의 ESG 평가모형은 ▲기업의 ESG 투자 수준을 평가하는 '신한 ESG 모형'과 ▲해당 투자에 따른 영향과 지속가능 수준을 평가하는 '신한 지속가능 모형'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ESG 평가모형은 기업의 전반적인 ESG 수준을 ▲A+~A-(우수) ▲B+~B-(보통) ▲C(미흡) 등 7개 등급으로 평가합니다. 신한금융은 데이터 공개 규모가 비교적 큰 IFRS(국제회계기준)와 외부감사 기업에 대한 평가를 시작으로, 향후 관련 데이터 누적을 통해 비외감 중소기업까지 평가를 확대하도록 모형을 더 정교하게 만들 계획입니다.
신한은행은 은행권 최초로 ESG 평가모형을 통해 산출된 등급을 '신한 ESG 우수 상생지원대출'의 대상 선정기준으로 활용할 예정입니다. 신한금융그룹은 그룹사들이 ESG 평가 결과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강구해 나갈 계획입니다.
신한금융그룹은 지난 3월 금융자산의 탄소배출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금융배출량 측정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체계적인 ESG 리스크 관리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것이 은행 측 설명입니다.
조용병 신한금융그룹 회장은 "신한금융지주와 신한은행이 공동 개발한 이번 ESG 평가모형은 기업의 ESG 수준을 데이터에 기반해 정량적으로 평가 가능하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며 "ESG 리딩 금융그룹으로서 탄소배출량 넷제로 달성을 목표로 ESG 실천을 더욱 가속화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