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올해 8월까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아파트 매매거래량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큰 폭으로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30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2년 1~8월 누계 주택통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1만1866건으로 지난해 동 기간보다 69.7%가 줄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서울·경기·인천을 합친 수도권 또한 6만5509건으로 전년 같은기간 대비 69.8%가 감소했습니다.
수도권과 지방을 합친 전국 아파트 누계 매매거래량은 22만5486건으로 집계되며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4.3%가 줄었습니다. 8월에 발생한 아파트 거래량 만을 놓고 볼 경우 지난해 6만1170건에서 68.1%가 줄은 1만9516건에 그쳤습니다.
아파트, 빌라, 다세대 등을 합친 1~8월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의 경우 38만5391건으로 지난해 동기에 기록한 73만7317건보다 47.7%가 감소했습니다. 지역별로는 서울은 4만3818건, 수도권은 15만4448건, 지방은 23만943건으로 나타나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53.8%, 57.3%, 38.5% 감소했습니다.
매매 시장의 '거래 절벽' 심화 현상이 가속화되는 것과 달리 전월세 등 임대거래는 증가세를 나타내며 거래량 200만건을 돌파했습니다. 올해 1~8월 누계 임대거래량은 200만8960건으로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27.7% 증가했습니다.
지역별 누계 임대거래량은 서울 62만5139건, 수도권 135만8498건, 지방 65만462건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4.1%, 27.0%, 29.2% 늘었습니다. 임차유형별로는 월세 거래량 비중이 51.6%로 전세 거래보다 비중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으며, 서울과 지방의 경우 월세거래 비중이 53.0%로 전체 월세거래 비중을 앞지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올해 1~8월 전국 아파트 인허가 실적은 28만2810가구로 전년 동기 21.4%가 늘었습니다. 그러나 착공 실적은 19만9279가구, 분양 승인 실적은 16만3714가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23.0%, 18.7% 감소했습니다. 일반분양 승인의 경우 13만1550가구로 전년 동기보다 12.3%가 줄었습니다.
서울의 경우 착공 실적은 3만3902가구로 전년 동기보다 94.4%가 증가했으나 인허가 실적은 1만8614가구, 분양 승인 실적은 4539가구로 각각 39.0%, 24.6% 감소했습니다.
아울러,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8월말 기준 3만2722가구로 집계되며 전월 대비 1438가구 증가했습니다. 이 중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7330가구로 지난 달 보다 58가구 감소했습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5012가구, 지방이 2만7710가구로 전월보다 각각 483가구, 955가구 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