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국내 주요 금융그룹과 은행, 자산운용사가 참여하는 탄소회계금융연합(PCAF) 한국조직이 공식 출범했습니다.
PCAF와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은 24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국내 8대 금융그룹 등 15개 금융기관이 참여한 가운데 국내 금융기관의 금융배출량 산정과 공시 촉진을 통한 넷제로(Net-Zero) 달성을 지원하기 위해 'PCAF-KOREA' 발족식을 했다고 밝혔습니다.
PCAF는 금융기관이 주도하는 글로벌 연합체로 그간 유럽, 북아메리카, 라틴아메리카, 아시아, 아프리카 등 5개 지역분류체제로 운영되다가 가입 금융기관 수가 늘면서 네덜란드, 영국, 일본 등 국가별 조직도 만들어졌습니다.
PCAF-KOREA는 국내 금융기관 가입 증가와 아시아지역 금융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해 출범한 4번째 국가별 조직입니다.
PCAF-KOREA 초대 의장사는 KB금융그룹이 맡았습니다. 기업은행, 미래에셋자산운용, 신용보증기금, 신한금융그룹, 애큐온저축은행, 애큐온캐피탈, 우리금융그룹, 키움자산운용, 하나금융그룹, 한화자산운용, BNK금융그룹, DGB금융그룹, NH농협금융그룹(가나다순)이 참여합니다.
PCAF는 금융자산의 온실가스 배출량인 '금융배출량(financed emission)' 산정과 공시방법론에 대한 국제적인 기준을 제공합니다.
온실가스 배출에서 금융기관은 조직 경계안에서 발생하는 직접배출량(Scope1)과 전력사용 등 간접배출량(Scope2)보다 투자·대출·보험 등 금융 비즈니스 활동 그 자체만으로 발생하는 조직경계밖 배출량(Scope3)이 막대하다고 PCAF는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자산 포트폴리오상에서 발생하는 금융배출량은 곧 금융기관의 기후리스크와 직결되고 금융배출량을 파리기후협정과 일치해 감축하는 활동이 금융기관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이라고 진단합니다.
양춘승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상임이사는 "금융기관의 넷제로 목표설정과 감축활동의 시작은 금융배출량의 정확한 산정에서 시작된다"며 "온실가스 배출량을 포함한 기후 관련 공시의 의무화가 필요하지만 금융기관은 그 전에라도 투자·대출·보험 등 대상에 정보공개를 요구하는 활동을 적극 전개해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PCAF-KOREA 초대 의장사를 맡은 KB금융그룹 ESG본부 문혜숙 상무는 "PCAF-KOREA는 PCAF GLOBAL과 함께 금융기관의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는 장이 될 것"이라며 "민간주도협의체로서 대한민국의 저탄소 경제전환에 한 축을 담당하고 나아가 아시아 금융시장에 선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의지를 밝혔습니다.
이날 PCAF-KOREA 발족식에서는 티앙가 웨이 PCAF Asia 총괄이 PCAF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소개하고 자본시장연구원 송홍선 선임연구위원이 '금융기관의 넷제로 이행의 중요성'을, 금융위원회 김광일 과장(공정시장과)이 'ESG 공시정책 현황 및 향후 방향'에 대해 발제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