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약품 조제·관리 자동화기기 업체 제이브이엠이 수출 증가와 판가 인상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미국 및 유럽 내 약국 자동화 장비 수요가 증가하면서 수혜가 본격화할 것이란 분석이다.
지난 1977년 설립된 제이브이엠은 한미사이언스의 계열사로 2006년 코스닥에 상장했다. 조제/관리 시스템 부문이 주력 사업이며 최근 다관절 로봇을 적용한 조제 자동화 시스템 등으로 라인업 다변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제이브이엠은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1.7%, 61.8% 증가한 342억원, 57억원을 기록했다. 조제/관리 시스템 부문의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7.5% 증가했고 소모품 매출액 또한 8.2% 증가해 실적 성장을 견인했다.
제이브이엠은 지난해 3분기부터 다섯 분기 연속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올해 북미지역에서의 약진이 외형 성장을 이끌었다.
이건재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북미지역은 의료 종사자 특히, 약사들의 인력 부족이 코로나 팬데믹 이후 지속되고 있어 약국 장비의 자동화 흐름이 강화되고 있다”며 “제이브이엠의 북미 시장 약진은 결국 수익성 높은 해외 시장으로의 진출 확대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화투자증권은 4분기가 계절적 성수기로 국내 소모품 판가 인상 효과가 본격적으로 제이브이엠의 실적에 반영될 것으로 전망했다. 수출 판가 인상분은 리드타임을 고려할 시 내년 상반기부터 반영될 것으로 추정했다.
김용호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수출이 내수 대비 ASP(평균판매단가)가 높은 만큼 수출 비중이 높아질수록 이익률이 제고된다”며 “중앙조제약국을 중심으로 미국 및 유럽 내 약국 자동화 장비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이브이엠은 내년부터 영국에서 블리스터 팩 자동화 장비 판매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여기에 건기식 조제 자동화 시스템 또한 오는 2024년 건기식 소분사업 법제화를 대비해 선제적으로 연구개발 및 양산을 준비하며 라인업 확대에 힘쓰고 있다.
실적 향상과 성장 기대감에 힘입어 주가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연초 대비 30% 넘게 상승하며 약세장 속에서도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현재 시가총액은 2000억원대 수준이고 최대주주는 한미사이언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