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올 하반기에 반도체 산업의 다운 사이클이 종료되고 업황이 반등할 것이란 전망을 증권가에서 나오고 있다. 특히, 3분기부터 메모리 가격 인상 가능성을 바탕으로 관련기업들의 실적도 개선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2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제조업 PMI지수가 과거 역사적 하단 평균 구간에 이미 근접했다. 이에 따라 추가적인 반도체 수요 하락은 제한적이고 현재 수준에서 유지될 것이란 전망이다.
고영민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수요 하락이 멈춘 상황에서 생산업체들의 감산 효과는 하반기 확대될 것”이라며 “2분기 생산업체들의 공격적인 판매 기조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신한투자증권은 공급 축소 효과 확대에 따른 상대수요 개선과 DDR5 효과에 따른 2분기 ASP(평균판매단가) 하락세 둔화가 단기적으로 가장 중요한 데이터라고 전했다. 최근 서버 고객사들의 DDR5 전환 흐름이 확인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고 연구원은 “단가 높은 DDR5를 통해 ASP 하락폭이 둔화될 수 있다”며 “투자 축소 및 수율 이슈를 감안할 시 내년 공급 숏티지 우려로 고객사들은 선제적 재고 축적을 지속할 수 있기 때문에 ASP 측면에서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NH투자증권은 올해 3분기부터 메모리 고정거래가격이 상승반전할 것으로 예측했다. 현물 가격이 고정거래 가격보다 3~4개월 가량 선행해서 움직이는 상황에서 최근 현물 가격 변동이 고정거래가격 상승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도현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메모리 재고 역시 올해 2분기 고점을 기록한 후 감소세로 전환할 것”이라며 “메모리 3사가 모두 의미있는 수준으로 감산을 진행중인 상황에서 수요가 개선되면서 실적이 3분기부터 반등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반도체 산업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과 더불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가도 오랜만에 기지개를 켰다. 26일 기준 삼성전자는 이틀 연속 ‘7만전자’를 기록하며 연이틀 52주 신고가를 찍었고 SK하이닉스 역시 지난해 5월 25일 이후 1년 만에 11만원을 터치하는 등 상승세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