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국내 조선업계가 지난해 세계 선박 수주량 2위를 기록했습니다.
9일 영국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인 4168만CGT(1723척) 중 한국은 24%에 해당하는 1008만CGT(218척)를 수주하며 2493만CGT(1117척, 60%)를 수주한 중국에 이어 2위에 랭크했습니다.
지난해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의 경우 전년인 2022년(5117만CGT, 1975척) 대비 19% 감소한 수치입니다. 전년 대비 한국은 수주량이 40%가 감소했으며 중국은 4%가 줄었습니다. 2022년 한국은 1676만CGT(304척)를, 중국은 2589만CGT(1064척)을 수주한 바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만을 놓고 수주량을 볼 경우 전체 수주량은 185만CGT(77척)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한국은 20만CGT(7척, 11%)를 수주하며 146만CGT(60척, 79%)의 수주량을 기록한 중국에 이어 2위를 유지했습니다.
2023년말 누계 수주 실적은 전월 대비 117만CGT 감소한 1억2441만CGT인 것으로 나타났니다. 국가별로는 한국이 3930만CGT(32%), 중국이 6124만CGT(49%)로 집계됐습니다. 전월 대비 한국은 73만CGT가 감소했으며, 중국은 5만CGT가 증가했습니다.
야드별로는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가 1060만CGT로 글로벌 1위를 기록했으며,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1010만CGT), 한화오션 옥포조선소(810만CGT)가 각각 2, 3위를 기록했습니다.
2023년말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178.36포인트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16.5P 올랐습니다.
선박 종류별로 구분할 경우 ▲LNG운반선 2억6500만달러 ▲초대형 유조선 1억2800만달러 ▲초대형 컨테이선 2억3550만달러입니다.